2009-01-15
org.kosen.entty.User@7c07a4a7
임지연(umnya10)
- 4
첨부파일
답답해서 사진을 올립니다.
같은 물질이지만 ACID와 LACTONE 의 2가지 형태의 표준물질인데요,. 왜 피크가 뒷쪽에 뭉뚝하게 같이 나오는걸까요..?
원래 항상 한가지로 샤프하게 잘 나왔는데 언젠가 부터 피크가 모양이 이상해져서 오늘 컬럼 세척을 좀 오래 해봤는데,.
역상 컬럼 세척 방법에 준해서 5, 6 단계인 Methylen chloride와 hexane이 없어서 두가지는 빼고 나머지 용매들로 세척했거든요.. 그게 문제가 된 걸까요..?
참!! 컬럼을 세척하고 난 뒤에 세척 전과 압력이 조금 달라졌어요..
3.8에서,. 3.1로요..(단위:psi) 컬럼이 좀 문제가 있었던 걸까요..?
샘플 찍은 것도 이 부분에서 스탠다드와 동일하게 나오고요.. 이렇게 표준품에서 피크가 두개로 분리되서 나올 수는 없는거 아닌가요..? ㅜㅜ
스탠다드를 구입한 시기는 2007년 초 즘 입니다. 혹시 스탠다드의 변형이 이런 피크를 나타낼 수 있는 걸까요?
파일 확인하시고 답변 주시면 정말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무엇이 문제인지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답변,. 꼭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도와주세요~~ please~~~
- hplc
- monacolin K
- peak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9-01-16- 0
>답답해서 사진을 올립니다. > >같은 물질이지만 ACID와 LACTONE 의 2가지 형태의 표준물질인데요,. 왜 피크가 뒷쪽에 뭉뚝하게 같이 나오는걸까요..? > >원래 항상 한가지로 샤프하게 잘 나왔는데 언젠가 부터 피크가 모양이 이상해져서 오늘 컬럼 세척을 좀 오래 해봤는데,. > >역상 컬럼 세척 방법에 준해서 5, 6 단계인 Methylen chloride와 hexane이 없어서 두가지는 빼고 나머지 용매들로 세척했거든요.. 그게 문제가 된 걸까요..? > > > >참!! 컬럼을 세척하고 난 뒤에 세척 전과 압력이 조금 달라졌어요.. > >3.8에서,. 3.1로요..(단위:psi) 컬럼이 좀 문제가 있었던 걸까요..? > > > >샘플 찍은 것도 이 부분에서 스탠다드와 동일하게 나오고요.. 이렇게 표준품에서 피크가 두개로 분리되서 나올 수는 없는거 아닌가요..? ㅜㅜ > >스탠다드를 구입한 시기는 2007년 초 즘 입니다. 혹시 스탠다드의 변형이 이런 피크를 나타낼 수 있는 걸까요? > >파일 확인하시고 답변 주시면 정말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무엇이 문제인지 어떻게 해결해야할지 답변,. 꼭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 >도와주세요~~ please~~~ sample injection 양을 조절해 보세요. 현재 양보다 적은 양을 로딩해 보세요. 그리고 이동상도 H2O:ACN 또는 H2O:MeOH으로 용매비율을 조절해서 분석해 보세요. 그리고 압력이 낮아진것은 컬럼 워싱이 잘 되어서 낮이졌을 확률이 높습니다. 이렇게 해도 같은 현상이 지속될 경우에는 시료를 의심해봐야 될거 같습니다. 실온에서 시료가 수분을 흡수하게 되면 경우에는 lactone화합물의 경우 구조적으로 불안정해 질 수 있습니다. 단계적으로 확인이 필요할거 같습니다. -
답변
신재욱님의 답변
2009-01-16- 0
일반적으로 컬럼의 peak가 샤프하게 안나오는 원인은 1. 샘플의 양을 너무 많이 injection하였을때 하지만, 피크 형태를 보아하니 그런것 같지는 않습니다., 2. 컬럼에 압력이 정상적이지 않을 경우 일반적으로 에어가 들어갔을때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어지는데 baseline을 보았을때 이러한 현상은 아닌것 같습니다. 3. 컬럼의 세척이나 컬럼 수명의 한계에 도달 했을때.... 님의 peak를 보면 아마 아러한 문제에 해당되는 것 같습니다. 3번 항목을 중점으로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답변
심용호님의 답변
2009-01-16- 0
안녕하세요. 피크만을 봤을때 불순물로 보입니다. 꼬리가 아닌 피크가 따로 있는것으로 봐서 컬럼 입구쪽이나 인젝션 부분에 오염이 아닌가 싶네요. 더군다나 세척시 압력이 떨어졌다면 무언가 막고 있다가 그것이 제거되면서 압력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제일 간단한 진단 방법은... 1.유동상만을 인젝션해보고 2.시료를 녹이는데 사용한 용매만 인젝션 해보고 3.위의 표준시료말고 일반 시료를 인젝션 해보세요. 그림에서 보면 표준시료를 찍는데 앞에 자잘한 피크가 몇개 보이네요.. 표준시료들이 둘 다 오염이 됐다고 보기에는 힘들고, 두 스펙트라의 불순물들이 다른것을 봐서는 오염물질이 다른곳에서도 오는것 같습니다. 세척 외에도 컬럼을 떼거나 pre컬럼의 필터를 바꾸어보는것도 생각해보세요. 아니면 프리컬럼 없이 찍어보거나.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09-01-20- 0
첨부하신 chromatogram 2장을 보니 주피크의 형태가 같군요. 확실치는 않지만 작은 불순물 피크도 형태가 유사해 보이구요.. 이는 표준품이 분해되서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고 컬럼에 문제가 생긴 것입니다. 세척 후 압력이 감소한 것은 세척이 잘 되었다는 신호이기 때문에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하지만 피크의 형태로 볼때 컬럼 전단부(앞쪽)가 부분적으로 막혀 있는 듯 합니다. 컬럼 전단부에 너트를 풀러보면 충진물질 앞에 frit 이라는 부분이 있습니다. 불용성 이물이 컬럼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번더 걸러주는 역할을 하는데, 이 부분이 부분적으로 막히면 이러한 현상이 일어납니다. 시료에 포함된 작은 입자나 여과지 등에서 유래된 미세한 섬유소 같은 것이 원인입니다. 이러한 것을 예방하기 위해선 마이크로필터로 시료를 여과한 후 주입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현상은 frit을 교체하면 쉽게 개선됩니다. 여분의 frit이 없을 경우 사용하지 않는 컬럼에 있는 frit을 빼서 사용해도 됩니다. 하지만 frit을 교체하는 과정에서 내부 충진물질을 훼손시키면 오히려 상태를 악화시키게 되므로 주의를 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