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16
org.kosen.entty.User@68fff9a2
제이니(janie)
- 2
제가 최근에 알게된 사실인데 나노튜브를 합성하면서 암모니아 기체를 흘려주냐의 여부에 따라서 hollow structure가 되나 혹은 bamboo structure가 되나 이렇게 달라진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나중에 합성하고 나면 bamboo structure는 격자구조 안에 N (질소)가 포함된다고 하는데요. 사실 실제 확인하면 hollow에도 질소가 있는게 보입니다.
그래서 저의 질문은 제가 지금 이해한게 맞는지와 이러한 질소가 함유될경우 바이오센서에 application하는데 있어서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 CN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도형님의 답변
2009-01-19- 0
아래 쓰신 글에 답변 달았습니다. >제가 최근에 알게된 사실인데 나노튜브를 합성하면서 암모니아 기체를 흘려주냐의 여부에 따라서 hollow structure가 되나 혹은 bamboo structure가 되나 이렇게 달라진다고 합니다. -> 단순히 암모니아의 여부에 따라 구조가 달라지지는 않습니다.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두 구조 모두 가능합니다. 그러다 보니 나중에 합성하고 나면 bamboo structure는 격자구조 안에 N (질소)가 포함된다고 하는데요. 사실 실제 확인하면 hollow에도 질소가 있는게 보입니다. -> 말씀하신 것 처럼 암모니아를 사용하는 경우는 튜브에 N이 포함될 경우가 많습니다. > >그래서 저의 질문은 제가 지금 이해한게 맞는지와 이러한 질소가 함유될경우 바이오센서에 application하는데 있어서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 센서인지가 불분명하므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한 마디로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보통 센서로 사용한다면 N이 포함되었을 때 좋은 쪽보다는 안좋은 쪽으로 영향을 미칠 경우가 많습니다. 전자구조가 원하는 대로 나오지 않는다든지, 전기전도도가 떨어진다는 등의... -
답변
이정아님의 답변
2009-01-20- 0
제 개인적인 견해입니다. 1. 제가 최근에 알게된 사실인데 나노튜브를 합성하면서 암모니아 기체를 흘려주냐의 여부에 따라서 hollow structure가 되나 혹은 bamboo structure가 되나 이렇게 달라진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나중에 합성하고 나면 bamboo structure는 격자구조 안에 N (질소)가 포함된다고 하는데요. 사실 실제 확인하면 hollow에도 질소가 있는게 보입니다. ==> 나노튜브를 합성할 때 어떤 방법으로 합성하느냐와 어떤 원료 gas를 사용하는지 또 촉매 Metal을 어떤 것을 사용하는가 에 따라서 달라질 것으로 생각됩니다. 촉매 metal에 따라서도 bamboo 구조가 되기도 하고 hollow 구조가 되기도 하구요. 2. 그래서 저의 질문은 제가 지금 이해한게 맞는지와 이러한 질소가 함유될경우 바이오센서에 application하는데 있어서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 나노튜브의 성질상 질소가 함유될 경우 센서에 어떤 영향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시기 위해서는 일단은 gas sensor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한 관련 논문을 보신 다음 고민해 보시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왜냐하면 바이오센서의 경우 대부분 chemical molecules과의 반응과 관련되니까요. >제가 최근에 알게된 사실인데 나노튜브를 합성하면서 암모니아 기체를 흘려주냐의 여부에 따라서 hollow structure가 되나 혹은 bamboo structure가 되나 이렇게 달라진다고 합니다. 그러다 보니 나중에 합성하고 나면 bamboo structure는 격자구조 안에 N (질소)가 포함된다고 하는데요. 사실 실제 확인하면 hollow에도 질소가 있는게 보입니다. > >그래서 저의 질문은 제가 지금 이해한게 맞는지와 이러한 질소가 함유될경우 바이오센서에 application하는데 있어서 어떤 영향이 미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