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혐기성 조건에 관해서..

지난번에 What is?에 혐기성 배양시 혐기성 조건이 되었는지 알 수 있는 Indicator에 대해 질문을 드렸었구요..고마우신 답변 덕분에 소중한 지식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를 해결해 나가던 도중에 한가지 또 다른 의문점에 봉착하게 되어서요.. 메틸렌블루나 resazurin, Bromothymol blue모두 산화 환원의 반응을 이용한 지시약 이더군요.. 만일 물을 가지고 실험을 할 시에... 혐기적 조건이 형성되었을때는 용액 내 환원된 색이 변하지 않게 되는데요.. 이때 주변 공간에 CO2가 공급이 되면 물에 잘 녹는 이산화 탄소때문에 용액이 산화가 되어 호기성일때랑 똑같은 색을 띠더라구요.. 이 세가지를 정확히 구별할 수 있는 시약은 없을까요?? 이틀동안 구글 청소하듯 뒤지고 해도..실력이 모자란터라...다시 여기에 글을 올립니다.ㅜㅠ 고수님들 부탁 드려요 ㅠㅠ
  • 혐기성
  • 산화 환원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Fe nano powder를 사용하여 보세요. 호기성에서는 Fe색상이 red/orange로 되며, 혐기성에서는 gray 색상으로 됩니다. Fe powder는 가능하면 미세분말이 좋습니다.
    Fe nano powder를 사용하여 보세요. 호기성에서는 Fe색상이 red/orange로 되며, 혐기성에서는 gray 색상으로 됩니다. Fe powder는 가능하면 미세분말이 좋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지난번에 What is?에 혐기성 배양시 혐기성 조건이 되었는지 알 수 있는 >Indicator에 대해 질문을 드렸었구요..고마우신 답변 덕분에 >소중한 지식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를 해결해 나가던 도중에 >한가지 또 다른 의문점에 봉착하게 되어서요.. > >메틸렌블루나 resazurin, Bromothymol blue모두 산화 환원의 반응을 이용한 >지시약 이더군요.. 만일 물을 가지고 실험을 할 시에... >혐기적 조건이 형성되었을때는 용액 내 환원된 색이 변하지 않게 되는데요.. >이때 주변 공간에 CO2가 공급이 되면 물에 잘 녹는 이산화 탄소때문에 >용액이 산화가 되어 호기성일때랑 똑같은 색을 띠더라구요.. > >이 세가지를 정확히 구별할 수 있는 시약은 없을까요?? >이틀동안 구글 청소하듯 뒤지고 해도..실력이 >모자란터라...다시 여기에 글을 올립니다.ㅜㅠ >고수님들 부탁 드려요 ㅠㅠ bismuthate나 permanganate를 사용해 보세요. 첨가하는 자료의 산화,환원제를 참고하셔서 몇가지 더 테스트 해보세요.
    >지난번에 What is?에 혐기성 배양시 혐기성 조건이 되었는지 알 수 있는 >Indicator에 대해 질문을 드렸었구요..고마우신 답변 덕분에 >소중한 지식 알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문제를 해결해 나가던 도중에 >한가지 또 다른 의문점에 봉착하게 되어서요.. > >메틸렌블루나 resazurin, Bromothymol blue모두 산화 환원의 반응을 이용한 >지시약 이더군요.. 만일 물을 가지고 실험을 할 시에... >혐기적 조건이 형성되었을때는 용액 내 환원된 색이 변하지 않게 되는데요.. >이때 주변 공간에 CO2가 공급이 되면 물에 잘 녹는 이산화 탄소때문에 >용액이 산화가 되어 호기성일때랑 똑같은 색을 띠더라구요.. > >이 세가지를 정확히 구별할 수 있는 시약은 없을까요?? >이틀동안 구글 청소하듯 뒤지고 해도..실력이 >모자란터라...다시 여기에 글을 올립니다.ㅜㅠ >고수님들 부탁 드려요 ㅠㅠ bismuthate나 permanganate를 사용해 보세요. 첨가하는 자료의 산화,환원제를 참고하셔서 몇가지 더 테스트 해보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