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19
org.kosen.entty.User@124e1411
권미형(voideye)
- 3
chemokine은 세포의 이동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러한 chemokine이 어떠한 기작으로(방식으로) 세포 이동을 유발하나요?
chemokine도 일종에 signal이라고 생각되는데, 기존에 signal 들은 결국 TF가 작용하도록 하여 단백질 발현양 조절을 한다고 생각해왔는데 chemokine은 이런것들과 다른원리로 작용하여 세포의 이동을 유발하나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chemokin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9-01-20- 0
> >chemokine은 세포의 이동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 >이러한 chemokine이 어떠한 기작으로(방식으로) 세포 이동을 유발하나요? > >chemokine도 일종에 signal이라고 생각되는데, 기존에 signal 들은 결국 TF가 작용하도록 하여 단백질 발현양 조절을 한다고 생각해왔는데 chemokine은 이런것들과 다른원리로 작용하여 세포의 이동을 유발하나요? > >답변 부탁드립니다. > > Chemokines에 대한 정리된 자료를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답변
신재욱님의 답변
2009-01-29- 0
Chemokine(chemotaxis+cytokine)은 small cytokine으로 약 100여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져 있으며, 선택적으로 백혈구소집단의 세포접합, 화학유인작용, 활성화등을 조절합니다. Chemokine은 CC와 CXC chemokine의 두 가지 종류로 구분되어지며, Chemokine receptor(현재 약 50가지 이상의 chemokine receptor가 알려져 있습니다.)가 chemokine과 결합하면, GTP binding protein이 activation되어지고, cAMP, IP3 등을 통하여 활성화 신호를 전달하게 됩니다. Chemokine에 의해 activation이 되면 integrin의 발현 증가, 활성산소등이 만들어지고, 단백질분해효소, histamin 방출등이 일어납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2-04- 0
> >chemokine은 세포의 이동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 >이러한 chemokine이 어떠한 기작으로(방식으로) 세포 이동을 유발하나요? > >chemokine도 일종에 signal이라고 생각되는데, 기존에 signal 들은 결국 TF가 작용하도록 하여 단백질 발현양 조절을 한다고 생각해왔는데 chemokine은 이런것들과 다른원리로 작용하여 세포의 이동을 유발하나요? > >답변 부탁드립니다. > > > 첨부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