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20
org.kosen.entty.User@71093fc0
조환영(lastpride)
- 4
첨부파일
첨부한 사진은 연료전지 셀에관한 그림인데요.
cathode reaction loss가 anode reaction loss보다 큰 이유에 대해 자세히
설명좀 해주세요. 대충 알고는 있는데 정리가 안되네요.
- 연료전지
- 손실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9-01-20- 0
연료전지는 외부에서 가하여 지는 전원이 없이 자체적으로 전자의 이동에 의하여 기전력을 일으키는 기본 원리입니다. 즉, 전기는 가장 기본이 되는 전자가 있어야 되며 이의 흐름에 의하여 전류가 흐르게 됩니다(반대 방향으로 흐른다고 정의하였음). 연료전지에서 내부 회로와 외부 회로로 나누어 생각 할 수 있는데, 내부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은 Metal(s)-------> M+(ion) + e로 cathode에서 일어나는데,cathode에서 발생한 전자는 양극으로 들어가서 회부 회로로 흐르며, 이로 인하여 전류가 흐름. cathode에서 전자가 방출되므로 cathode는 전자 부족상태로 되며, 전하 보존의 원칙에 의하여 전자는 외부 회로를 통하여 cathode로 들어가게 됨.동시에 전해질의 양이온은 +--->-로 흐르는 원칙에 의하여 cathode쪽으로 이동하게 됨. 이와 같이 cathode에서 Metal이 이온화하여 외부로 방출되면서 전자가 발생하므로 음극의 손실이 더 많게 나오는 것입니다. (그러나 외부에서 전력을 양극에 가하는 반응은 이와 반대로 양극의 손실이 크게 나타납니다) -
답변
김정렬님의 답변
2009-05-12- 0
안녕하세요. 제가 이해한 것을 나누고자 합니다. 연료전지의 기본 개념에서 Anode 에서 수소(H2) 분자가 해리됩니다. 이것은 백금의 촉매 표면에서 가능합니다. 이 백금이 수소의 해리 에너지를 낮춥니다. 그래서, 상온의 온도 약 20 - 25 도에서 무리없이 해리가 되어 외부회로를 타고 Cathode 로 전달이됩니다. 또한, 해리된 수소(H+, Proton) 은 나피온이라는 전해질에서 Cathode 로 Grothus 메카니즘으로 전달이 됩니다. 전달된 프로톤이 Cathode 전극 촉매에서 해리된 산소이온(O2-) 를 손쉽게 만나야 합니다. 하지만, 산소 분자의 산소이온으로 해리되는 것은 상온에서 많이 느립니다. 그래서, 연료전지의 반응 결정 단계가 Cathode 에 있습니다. 이것으로 Cathode 와 Anode 의 촉매에 백금 담지량을 달리하고 있습니다. 연료전지의 온도가 상승함으로 Cathode 의 산소분자의 해리는 빨라집니다. 정확한 Gibbs Free Energy 는 책을 참조하여 기억하여 두시면 좋겠고, 여기에서 모두 알려주면 책을 찾지 않을 것 같아서 이것은 남겨두겠습니다. >첨부한 사진은 연료전지 셀에관한 그림인데요. >cathode reaction loss가 anode reaction loss보다 큰 이유에 대해 자세히 >설명좀 해주세요. 대충 알고는 있는데 정리가 안되네요.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30- 0
>첨부한 사진은 연료전지 셀에관한 그림인데요. >cathode reaction loss가 anode reaction loss보다 큰 이유에 대해 자세히 >설명좀 해주세요. 대충 알고는 있는데 정리가 안되네요. 연료전지의 기본원리를 알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첨부자료 참고하세요. -
답변
유승호님의 답변
2010-02-04- 0
>첨부한 사진은 연료전지 셀에관한 그림인데요. >cathode reaction loss가 anode reaction loss보다 큰 이유에 대해 자세히 >설명좀 해주세요. 대충 알고는 있는데 정리가 안되네요. anode에서는 수소분해 반응이 cathode 에서는 산소 분해 반응이 일어납니다. 수소 분해 반응에 비해서 산소 분해 반응이 느립니다. 반응이 느리므로 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는 거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