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1-20
org.kosen.entty.User@42415287
고은성(ghost0922)
- 2
불용성 양극을 이용한 전기도금 관련 질문입니다.
불용성 양극을 이용하여 주석을 도금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도금을 하던 도중 불용성 양극의 뒷면에
주석이 도금이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어떠한 이유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
- 불용성 양극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9-01-20- 0
Sn이 도금되는 과정을 보면(다른 금속도 같음) Sn(s) -----> Sn+4(aq) + 4e (oxidation) 으로 이루어 지는데, 아마 전극을 양극 하나, 음극 하나로 하여서 서로 마주 보도록 하여 하는 것 같습니다. 이때 마주 보는 공간에서는 전장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Sn+4이온이 이동하여 도금이 되나, 전극의 뒷면은 전장의 세기가 매우 미약합니다. 따라서 Sn+4(aq)이온이 양극과의 금속간 전위차(S.E.V)에 의한 인력에 의하여 양극에 deposition됩니다. 이때 전극을 3개로 하여, 양극을 중심에 두고, 음극을 양쪽에 배치하는 구조로 변경하는 것이 좋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30- 0
>불용성 양극을 이용한 전기도금 관련 질문입니다. > >불용성 양극을 이용하여 주석을 도금하고 있습니다. > >하지만 도금을 하던 도중 불용성 양극의 뒷면에 > >주석이 도금이 일어나는 현상이 발생하였습니다. > >어떠한 이유로 이러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감사합니다. 새해 福 많이 받으세요~~ 용해성 양극(Soluble Anode)은 도금의 조성과 동일한 양극 사용해야 하며, 고전류밀도에서도 부동태화하지 않고 양극(+)에서 균일하게 용해해야 하고, 내산성 재질의 양극백을 사용 해야 합니다. 불용성 양극에서 일어나는 반응은, 2H2O 4e → O2 + 4H+입니다.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