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hloroacetic acid에 대해서..

chloroacetic acid에 대해서 좀 여쭤 보려구요... 세포가 chloroacetoc acid를 섭취 하였을때... 대사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습니다. 예를 들면..fluoroacetic acid는 TCA회로에서 아세틸COA와 결합하여 fluoroacetyl COA를 만들어 내어 aconitase의 합성을 방해하는 등의 대사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 싶습니다.. 부탁드릴게요!!
  • chloroacetic acid
  • 대사과정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chloroacetic acid에 대해서 좀 여쭤 보려구요... > >세포가 chloroacetoc acid를 섭취 하였을때... >대사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예를 들면..fluoroacetic acid는 TCA회로에서 아세틸COA와 결합하여 >fluoroacetyl COA를 만들어 내어 aconitase의 합성을 방해하는 등의 > >대사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 싶습니다.. >부탁드릴게요!! Chloroacetic acid는 gluthathione-S-transferase (GST)에 결합하는 것으로 보고(Dierckz PJ. In vitro binding of acetic acid and its chlorinated derivates by the soluble gluthathione-S-transferase from rat liver. Res Commun Chem Pathol Pharmacol 1984;44:327-30.) 되어 지고 있는 것과 다른 한편으로는 glutathione or other sulfhydryl containing substances에 결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인간의 경우에는, chloroacetoc acid의 대다수가 대사되지 않은채로 배출되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소수만이 glutathione과 반응해서 conjugate로서 urine으로 배출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아주 적은 양이 대사되어 CO2로서 배출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Dancer GH, Morgan A, Hutchinson WP. A case of skin contamination with carbon-14 labelled chloroacetic acid. Health Phys 1965;11:1055-8.). Mouse의 경우는, 투여된 Chloroacetic acid의 80-90%가 24시간내에 대사체 형태로 urine으로 배출되고 약 8%정도가 CO2로서 exhaled air로서 배출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Yllner S. Metabolism of chloroacetate (1-14C) in the mouse. Acta, Pharmacol Toxicol 1971;30:69-80.).
    >chloroacetic acid에 대해서 좀 여쭤 보려구요... > >세포가 chloroacetoc acid를 섭취 하였을때... >대사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예를 들면..fluoroacetic acid는 TCA회로에서 아세틸COA와 결합하여 >fluoroacetyl COA를 만들어 내어 aconitase의 합성을 방해하는 등의 > >대사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 싶습니다.. >부탁드릴게요!! Chloroacetic acid는 gluthathione-S-transferase (GST)에 결합하는 것으로 보고(Dierckz PJ. In vitro binding of acetic acid and its chlorinated derivates by the soluble gluthathione-S-transferase from rat liver. Res Commun Chem Pathol Pharmacol 1984;44:327-30.) 되어 지고 있는 것과 다른 한편으로는 glutathione or other sulfhydryl containing substances에 결합하는 것으로 보고되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인간의 경우에는, chloroacetoc acid의 대다수가 대사되지 않은채로 배출되어지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소수만이 glutathione과 반응해서 conjugate로서 urine으로 배출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아주 적은 양이 대사되어 CO2로서 배출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Dancer GH, Morgan A, Hutchinson WP. A case of skin contamination with carbon-14 labelled chloroacetic acid. Health Phys 1965;11:1055-8.). Mouse의 경우는, 투여된 Chloroacetic acid의 80-90%가 24시간내에 대사체 형태로 urine으로 배출되고 약 8%정도가 CO2로서 exhaled air로서 배출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Yllner S. Metabolism of chloroacetate (1-14C) in the mouse. Acta, Pharmacol Toxicol 1971;30:69-8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chloroacetic acid에 대해서 좀 여쭤 보려구요... > >세포가 chloroacetoc acid를 섭취 하였을때... >대사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예를 들면..fluoroacetic acid는 TCA회로에서 아세틸COA와 결합하여 >fluoroacetyl COA를 만들어 내어 aconitase의 합성을 방해하는 등의 > >대사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 싶습니다.. >부탁드릴게요!! 첨부자료
    >chloroacetic acid에 대해서 좀 여쭤 보려구요... > >세포가 chloroacetoc acid를 섭취 하였을때... >대사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예를 들면..fluoroacetic acid는 TCA회로에서 아세틸COA와 결합하여 >fluoroacetyl COA를 만들어 내어 aconitase의 합성을 방해하는 등의 > >대사과정에서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지 알고 싶습니다.. >부탁드릴게요!! 첨부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