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HPLC문의

식품의성분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이 친수성이여서 x-terra역상컬럼과 버퍼(Sodium heptanesulfonate, sodium dihydrogenphosphate in water, water&ACN)를 넣은 이동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버퍼를 사용한이후부터 압력이 급속도로 올라간다거나(0.5 flow로 흘려줬을때 압력이 4000psi 가까이 올라갑니다. ),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다거나 하는 문제들이 발생하더니 얼마전에는 어떤 시료를 인젝션하던지 똑같은 크로마토 그램이 나오더군요. 버퍼 이동상 쓴 이후에는 water로 하루정도 워싱하고, acn으로 워싱후 보관했구요. 시료는 전처리를 거쳐 필터 후 인젝션합니다. 도대체 뭐가 문제이길래 이런문제들이 발생하는 걸까요? .ㅠㅠ 답변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HPLC
  • 컬럼
  • 압력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오정민님의 답변

    안녕하세요..분석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시네요 제가 경험은 많지 않지만, 제 생각에는 압력이 높아지는 것은 아마 HPLC 내부에 어떤 이 유에서든지 막혀서 그럴 것 같습니다. 컬럼을 걸고, buffer를 흘려 주면서,pump에서 시작 해서 검출기 쪽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볼트들을 순차대로 하나씩 풀어보면서, 압력이 떨 어지지 않는 구간을 찾으시면, 그 구간에 막힌 것으로 생각됩니다..그 후 조치는 A/s를 받 으셔야 할 것 같구요.. 그게 아니라 컬럼 문제이면, 컬럼을 연결하고 컬럼 윗 부분을 개방한 후에 증류수로 1ml 이상의 높은 속도로 유속을 높여서, 10분 이상 씻어내어 컬럼 안에 혹시 막혀 있을 지 모르는 것을 제거해보시고, 그래도 안 되면, 컬럼을 거꾸로 달아서 한 번 해 보시고... 그래도 안 되면...컬럼을 바꾸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분석하시느라 수고가 많으시네요 제가 경험은 많지 않지만, 제 생각에는 압력이 높아지는 것은 아마 HPLC 내부에 어떤 이 유에서든지 막혀서 그럴 것 같습니다. 컬럼을 걸고, buffer를 흘려 주면서,pump에서 시작 해서 검출기 쪽으로 생각할 수 있는 모든 볼트들을 순차대로 하나씩 풀어보면서, 압력이 떨 어지지 않는 구간을 찾으시면, 그 구간에 막힌 것으로 생각됩니다..그 후 조치는 A/s를 받 으셔야 할 것 같구요.. 그게 아니라 컬럼 문제이면, 컬럼을 연결하고 컬럼 윗 부분을 개방한 후에 증류수로 1ml 이상의 높은 속도로 유속을 높여서, 10분 이상 씻어내어 컬럼 안에 혹시 막혀 있을 지 모르는 것을 제거해보시고, 그래도 안 되면, 컬럼을 거꾸로 달아서 한 번 해 보시고... 그래도 안 되면...컬럼을 바꾸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식품의성분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이 친수성이여서 x-terra역상컬럼과 버퍼(Sodium heptanesulfonate, sodium dihydrogenphosphate in water, water&ACN)를 넣은 이동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그런데 버퍼를 사용한이후부터 압력이 급속도로 올라간다거나(0.5 flow로 흘려줬을때 압력이 4000psi 가까이 올라갑니다. ),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다거나 하는 문제들이 발생하더니 얼마전에는 어떤 시료를 인젝션하던지 똑같은 크로마토 그램이 나오더군요. > >버퍼 이동상 쓴 이후에는 water로 하루정도 워싱하고, acn으로 워싱후 보관했구요. >시료는 전처리를 거쳐 필터 후 인젝션합니다. > >도대체 뭐가 문제이길래 이런문제들이 발생하는 걸까요? .ㅠㅠ > >답변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두,세가지 원인을 생각해 볼 수 있을거 같습니다. 우선, buffer를 이동상으로 사용하기전에 이런 현상이 없었다면 사용하는 buffer의 제조일자와 buffer 자체의 침전 여부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침전이 없다면 buffer사용으로 인한 salt의 응집으로 인하여 라인상에 막힘을 초래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경우 컬럼을 연결하지 않은채로 사용한 pH로 맞춘 nonbuffer 시스템으로 washing 해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컬럼의 이상유무를 체크해 볼 수 있는데 사용한 buffer의 pH가 어느 정도인지요? 역상컬럼이라면 pH가 3이하이거나 10이상일 경우에는 컬럼 레진인 octadecyl이나 octyl group들이 해리(컬럼이 사용 횟수가 많을 경우)가 되면서 컬럼 outlet부분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컬럼 압력이 증가되면서 분리능이나 재현성 등이 매우 떨어지게 됩니다. 그런데 다른 시료를 주입했는데 같은 크로마토그램이 나온것으로 보아서 컬럼의 수명이 다 된것으로 판단됩니다. 위의 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컬럼을 역방향으로 연결시킨후에 inlet부분은 오픈한채로 washing후에도 같은 증세가 나오면 컬럼을 교환하셔야 될 거 같습니다.
    >식품의성분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이 친수성이여서 x-terra역상컬럼과 버퍼(Sodium heptanesulfonate, sodium dihydrogenphosphate in water, water&ACN)를 넣은 이동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그런데 버퍼를 사용한이후부터 압력이 급속도로 올라간다거나(0.5 flow로 흘려줬을때 압력이 4000psi 가까이 올라갑니다. ),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다거나 하는 문제들이 발생하더니 얼마전에는 어떤 시료를 인젝션하던지 똑같은 크로마토 그램이 나오더군요. > >버퍼 이동상 쓴 이후에는 water로 하루정도 워싱하고, acn으로 워싱후 보관했구요. >시료는 전처리를 거쳐 필터 후 인젝션합니다. > >도대체 뭐가 문제이길래 이런문제들이 발생하는 걸까요? .ㅠㅠ > >답변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두,세가지 원인을 생각해 볼 수 있을거 같습니다. 우선, buffer를 이동상으로 사용하기전에 이런 현상이 없었다면 사용하는 buffer의 제조일자와 buffer 자체의 침전 여부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침전이 없다면 buffer사용으로 인한 salt의 응집으로 인하여 라인상에 막힘을 초래한 것으로 생각됩니다. 이런 경우 컬럼을 연결하지 않은채로 사용한 pH로 맞춘 nonbuffer 시스템으로 washing 해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컬럼의 이상유무를 체크해 볼 수 있는데 사용한 buffer의 pH가 어느 정도인지요? 역상컬럼이라면 pH가 3이하이거나 10이상일 경우에는 컬럼 레진인 octadecyl이나 octyl group들이 해리(컬럼이 사용 횟수가 많을 경우)가 되면서 컬럼 outlet부분을 막을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컬럼 압력이 증가되면서 분리능이나 재현성 등이 매우 떨어지게 됩니다. 그런데 다른 시료를 주입했는데 같은 크로마토그램이 나온것으로 보아서 컬럼의 수명이 다 된것으로 판단됩니다. 위의 분이 말씀하신 것처럼 컬럼을 역방향으로 연결시킨후에 inlet부분은 오픈한채로 washing후에도 같은 증세가 나오면 컬럼을 교환하셔야 될 거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식품의성분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이 친수성이여서 x-terra역상컬럼과 버퍼(Sodium heptanesulfonate, sodium dihydrogenphosphate in water, water&ACN)를 넣은 이동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그런데 버퍼를 사용한이후부터 압력이 급속도로 올라간다거나(0.5 flow로 흘려줬을때 압력이 4000psi 가까이 올라갑니다. ),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다거나 하는 문제들이 발생하더니 얼마전에는 어떤 시료를 인젝션하던지 똑같은 크로마토 그램이 나오더군요. > >버퍼 이동상 쓴 이후에는 water로 하루정도 워싱하고, acn으로 워싱후 보관했구요. >시료는 전처리를 거쳐 필터 후 인젝션합니다. > >도대체 뭐가 문제이길래 이런문제들이 발생하는 걸까요? .ㅠㅠ > >답변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첨부 자료
    >식품의성분을 분석하고 있습니다. >분석하고자 하는 물질이 친수성이여서 x-terra역상컬럼과 버퍼(Sodium heptanesulfonate, sodium dihydrogenphosphate in water, water&ACN)를 넣은 이동상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그런데 버퍼를 사용한이후부터 압력이 급속도로 올라간다거나(0.5 flow로 흘려줬을때 압력이 4000psi 가까이 올라갑니다. ),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다거나 하는 문제들이 발생하더니 얼마전에는 어떤 시료를 인젝션하던지 똑같은 크로마토 그램이 나오더군요. > >버퍼 이동상 쓴 이후에는 water로 하루정도 워싱하고, acn으로 워싱후 보관했구요. >시료는 전처리를 거쳐 필터 후 인젝션합니다. > >도대체 뭐가 문제이길래 이런문제들이 발생하는 걸까요? .ㅠㅠ > >답변기다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첨부 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