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2-03
org.kosen.entty.User@ec110bb
서소연(linzer)
- 3
Ti, P, C, O 등으로 이루어져있는 백색의 분체입니다.
시료 중, P,C 성분이 존재하는지 C는 얼마나 존재하는지
정성,정량분석을 하고 싶은데 어떤 분석장비를 이용해야 할까요?
IR이나 Mass만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는지요...?
그리고 시료가 1.5g 정도 밖에 없는데,
이 적은 양으로도 분석이 가능한게 어떤게 있을지 도움 좀 주세요~ ^-^
- 분석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9-02-03- 0
>Ti, P, C, O 등으로 이루어져있는 백색의 분체입니다. >시료 중, P,C 성분이 존재하는지 C는 얼마나 존재하는지 >정성,정량분석을 하고 싶은데 어떤 분석장비를 이용해야 할까요? >IR이나 Mass만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는지요...? >그리고 시료가 1.5g 정도 밖에 없는데, >이 적은 양으로도 분석이 가능한게 어떤게 있을지 도움 좀 주세요~ ^-^ elemental analyzer(EA)를 이용할 경우 sample중 C의 %를 알 수 있습니다. -
답변
최규석님의 답변
2009-02-06- 0
>Ti, P, C, O 등으로 이루어져있는 백색의 분체입니다. >시료 중, P,C 성분이 존재하는지 C는 얼마나 존재하는지 >정성,정량분석을 하고 싶은데 어떤 분석장비를 이용해야 할까요? >IR이나 Mass만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는지요...? >그리고 시료가 1.5g 정도 밖에 없는데, >이 적은 양으로도 분석이 가능한게 어떤게 있을지 도움 좀 주세요~ ^-^ 저는 EA, NMR, MS 및 기타등등의 기자재를 담당하는 사람으로써 글을 올려주신들의 의견을 읽어봤는데요. Ti, P, C, O 등으로 이루어져있는 백색의 분체 시료중 P,C의 존재여부를 알고 싶고, C는 얼마나 존재하는지 이런거 알고 싶은데 EA의 경우 CHNS-O 일반적으로 이런것을 정량적으로 알아 보는 장비임으로 P의 여부를 아는것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NMR로 P가 있는지를 볼려면 표준시료도 준비하는 번거로움도 있고요, 일단 백색 가루를 용매로 녹여서 측정해야됨으로 가루를 녹일수 있는 용매도 찾아야되고요, 뭐 탄소는 금방 알수있으니까요 생각안해도 되고요, 고체 NMR을 사용하다고 해도 MS를 하기 위해서는 꼭 용매를 찾아야되고요.(제가 설명드린 내용은 답변을 주신분들이 틀렸다는 것이 아니라 그런 장비를 이용하는데 이러한 점들이 있으니까 참조하라는 내용이고요) 음.. 제 생각으로는 일단 시료 전처리도 거의 간단한, 거의 필요없는 대략적인 정량 방법으로 EDX(EDS,에닥스), EPMA를 측정하여,Ti, P, C, O 시료 전체의 데이터를 %로 알아 본후 파우더가 전체적으로 균질하다면 EA를 이용하여 탄소의 함량이 EPMA와 비슷한지 알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검출한계라는 것도 있으니까 ppm, ppb으로 들어있는지 아니면 더 많은 양이 있는지, 더 적은양인지 이런것도 알아서 어떤 장비를 이용할것인지 알아본후 실험을 진행하세요 그리고 최종적으로 ED-XRF로 함 해보세요..ㅋㅋㅋ괜찮을꺼 같네요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30- 0
첨부파일
>Ti, P, C, O 등으로 이루어져있는 백색의 분체입니다. >시료 중, P,C 성분이 존재하는지 C는 얼마나 존재하는지 >정성,정량분석을 하고 싶은데 어떤 분석장비를 이용해야 할까요? >IR이나 Mass만으로도 충분히 알 수 있는지요...? >그리고 시료가 1.5g 정도 밖에 없는데, >이 적은 양으로도 분석이 가능한게 어떤게 있을지 도움 좀 주세요~ ^-^ XRF가 비교적 좋을 것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