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PR data에 대해서

첨부파일


질문이 있습니다. 1. 보통 SPR 을 찍게 되면 association 이 일어나고 dissociation 이 일어납니다. 그러면, 제가 첨부한 왼쪽 그림이 나오는데, 오른쪽 그림처럼 갑자기 signal이 뚝 떨어졌다가 올라오는 이유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관련 논문을 찾기도 힘들고 한두번도 아니고, 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런 모양을 띱니다. purity 때문인지,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혹시나 알고 계시는 분 계실까요? 2. 그리고 보통 antibody-antigen결합을 할때 blocking하면, BSA혹은 HSA, PEG를 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tween20을 쓴다고 하더라구요. 제가 좀 알아본 바로는 비공유결합을 이용할때는 사용하지 말아라고 되어 있던 것 같은데 맞나요? 정말 답답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혹시 알고 계시는 분들은 도와주세요. ^^;;
  • SPR
  • surface plasmon resonanc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정재현님의 답변

    첨부파일의 오른쪽 그림을 보면 전형적인 버퍼링 효과인 것 처럼 보입니다. SPR 실험을 할 때 시료마다 솔루션의 굴절률이 조금씩 달라서 저런 효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런 경우에는 보정을 해 주면 될 것 같습니다. (굴절률을 측정해 보셔도 되구요) 오른쪽 데이터는 무엇보다 association 이 일어난 것이 아니라 바로 세츄레이션이 되는 것으로 보아 버퍼링 이펙트가 맞는 것 같습니다. 한번 실험 하신 것을 복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솔루션을 만들때 고려해야 하는 팩터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blocking 할 때 tween20을 쓰면 가능합니다. 단 tween20은 엄밀히 말해서 계면활성제이기 때문에 리간드를 씻어버릴 위험이 있지요 클리닝을 잘 해 주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 >1. 보통 SPR 을 찍게 되면 association 이 일어나고 dissociation 이 일어납니다. > 그러면, 제가 첨부한 왼쪽 그림이 나오는데, 오른쪽 그림처럼 갑자기 signal이 뚝 떨어졌다가 올라오는 이유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관련 논문을 찾기도 힘들고 한두번도 아니고, 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런 모양을 띱니다. purity 때문인지,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혹시나 알고 계시는 분 계실까요? > >2. 그리고 보통 antibody-antigen결합을 할때 blocking하면, BSA혹은 HSA, PEG를 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tween20을 쓴다고 하더라구요. 제가 좀 알아본 바로는 비공유결합을 이용할때는 사용하지 말아라고 되어 있던 것 같은데 맞나요? > >정말 답답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혹시 알고 계시는 분들은 도와주세요. ^^;;
    첨부파일의 오른쪽 그림을 보면 전형적인 버퍼링 효과인 것 처럼 보입니다. SPR 실험을 할 때 시료마다 솔루션의 굴절률이 조금씩 달라서 저런 효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그런 경우에는 보정을 해 주면 될 것 같습니다. (굴절률을 측정해 보셔도 되구요) 오른쪽 데이터는 무엇보다 association 이 일어난 것이 아니라 바로 세츄레이션이 되는 것으로 보아 버퍼링 이펙트가 맞는 것 같습니다. 한번 실험 하신 것을 복기해 보시기 바랍니다. (솔루션을 만들때 고려해야 하는 팩터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blocking 할 때 tween20을 쓰면 가능합니다. 단 tween20은 엄밀히 말해서 계면활성제이기 때문에 리간드를 씻어버릴 위험이 있지요 클리닝을 잘 해 주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 >질문이 있습니다. > >1. 보통 SPR 을 찍게 되면 association 이 일어나고 dissociation 이 일어납니다. > 그러면, 제가 첨부한 왼쪽 그림이 나오는데, 오른쪽 그림처럼 갑자기 signal이 뚝 떨어졌다가 올라오는 이유가 무엇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관련 논문을 찾기도 힘들고 한두번도 아니고, 실험이 지속적으로 이런 모양을 띱니다. purity 때문인지,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혹시나 알고 계시는 분 계실까요? > >2. 그리고 보통 antibody-antigen결합을 할때 blocking하면, BSA혹은 HSA, PEG를 쓰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tween20을 쓴다고 하더라구요. 제가 좀 알아본 바로는 비공유결합을 이용할때는 사용하지 말아라고 되어 있던 것 같은데 맞나요? > >정말 답답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혹시 알고 계시는 분들은 도와주세요.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