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EMI 차폐율 그래프의 의미

첨부파일


제 EMI차폐율 데이터 그래프 입니다. 현재 20개정도의 데이터가 있는데 대부분 같은 물질을 조금씩 바꾼 것들 입니다. 그런데 특정 주파수 영역 5000MHz에서 dB값이 뚝 떨어집니다.(20개 모두다) 그런데 이 이유를 모르겠네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보시는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 EMI
  • 차폐
  • 분석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세로축(y-축)을 어떻게 정의했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집니다. 세로축이 만약 입사파/반사파의 임피던스 비율로 정의되었다면 반사파 비율이 높아졌다는 말이고.... 이 말은 물질에 들어가는 파의 대부분이 반사가 되는 주파수라는 말입니다. 만약 반사파/입사파의 비율로 정의가 되었다면 반사파가 줄어드는 곳, 즉 대부분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거나 투과된다는 말입니다. 5 GHz 대역에서 의미있는 결과가 나왔는데... 만약 핸드폰과 같은 마이크로웨이브 영역이라면 2.4~2.6 GHz 영역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두면 좋겠군요. y-축을 로그 스케일로 잡았으므로 실제 비율은 큰 수자라는 할 수 있겠지요. >제 EMI차폐율 데이터 그래프 입니다. >현재 20개정도의 데이터가 있는데 대부분 같은 물질을 조금씩 바꾼 것들 입니다. >그런데 특정 주파수 영역 5000MHz에서 dB값이 뚝 떨어집니다.(20개 모두다) >그런데 이 이유를 모르겠네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보시는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세로축(y-축)을 어떻게 정의했느냐에 따라 해석이 달라집니다. 세로축이 만약 입사파/반사파의 임피던스 비율로 정의되었다면 반사파 비율이 높아졌다는 말이고.... 이 말은 물질에 들어가는 파의 대부분이 반사가 되는 주파수라는 말입니다. 만약 반사파/입사파의 비율로 정의가 되었다면 반사파가 줄어드는 곳, 즉 대부분 반사되지 않고 흡수되거나 투과된다는 말입니다. 5 GHz 대역에서 의미있는 결과가 나왔는데... 만약 핸드폰과 같은 마이크로웨이브 영역이라면 2.4~2.6 GHz 영역을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아두면 좋겠군요. y-축을 로그 스케일로 잡았으므로 실제 비율은 큰 수자라는 할 수 있겠지요. >제 EMI차폐율 데이터 그래프 입니다. >현재 20개정도의 데이터가 있는데 대부분 같은 물질을 조금씩 바꾼 것들 입니다. >그런데 특정 주파수 영역 5000MHz에서 dB값이 뚝 떨어집니다.(20개 모두다) >그런데 이 이유를 모르겠네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보시는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종구님의 답변

    모든 물질은 자기 공진 주파수를 가지고 있고, 구조 또는 물성에 따라서 공진 포인트가 달라지게 된다고 하고, 공진점에서 신호의 전송 효율이 높아진다고 들었습니다. 5GHz에서의 상태를 공진의 개념으로도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모든 물질은 자기 공진 주파수를 가지고 있고, 구조 또는 물성에 따라서 공진 포인트가 달라지게 된다고 하고, 공진점에서 신호의 전송 효율이 높아진다고 들었습니다. 5GHz에서의 상태를 공진의 개념으로도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아마 전자기파의 신호가 다른 장비로 들어갈 때 신호 감소를 따지는 경우나 전자기파가 공간에서 물질을 만나서 신호가 내부로 어떻게 전달되는가를 따지는 경우로 볼 수 있는데, impedance matching이라는 용어를 검색해보면 원하는 답이 있을 겁니다. 구글 같은 검색엔진에서 찾아보십시오. 단순히 resonance 개념으로만 설명하기에는 실험할 때 구축한 환경을 모르기 때문에 뭐라고 답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닙니다. >제 EMI차폐율 데이터 그래프 입니다. >현재 20개정도의 데이터가 있는데 대부분 같은 물질을 조금씩 바꾼 것들 입니다. >그런데 특정 주파수 영역 5000MHz에서 dB값이 뚝 떨어집니다.(20개 모두다) >그런데 이 이유를 모르겠네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보시는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아마 전자기파의 신호가 다른 장비로 들어갈 때 신호 감소를 따지는 경우나 전자기파가 공간에서 물질을 만나서 신호가 내부로 어떻게 전달되는가를 따지는 경우로 볼 수 있는데, impedance matching이라는 용어를 검색해보면 원하는 답이 있을 겁니다. 구글 같은 검색엔진에서 찾아보십시오. 단순히 resonance 개념으로만 설명하기에는 실험할 때 구축한 환경을 모르기 때문에 뭐라고 답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닙니다. >제 EMI차폐율 데이터 그래프 입니다. >현재 20개정도의 데이터가 있는데 대부분 같은 물질을 조금씩 바꾼 것들 입니다. >그런데 특정 주파수 영역 5000MHz에서 dB값이 뚝 떨어집니다.(20개 모두다) >그런데 이 이유를 모르겠네요 >다른 분들은 어떻게 보시는지 의견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