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immunoprecipitation 후 2D gel 실험 문의

immunoprecipitation(IP) 후에 2D electrophoresis를 하려고 합니다. 보통 1D로 할땐 SDS와 B-ME가 들어있는 sample buffer에서 cook을 해서 beads에서 떼어낼 수 있는데, 2D 시에는 charge를 유지해야하기에 cook을 할 수없게되는데, Urea가 든 rehydration buffer로 떼어낼수 있을까요? 95도에서 cook도 하면 안되는 거겠죠? IP후 2D 하셔서 blot이나 silver 하신분들 도움 좀 부탁드려요~~
  • immunoprecipitation
  • 2D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IP 후에 2-DE를 사용한 관련 논문을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의 경우에도 여러 가지 논문을 참고하였습니다만, urea buffer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 같더군요. 9.5M urea, 4% CHAPS, 40mM tris, 0.8% ampholytes, 1% DTT, 1mM PMSF, 1mM EDTA의 조성으로 사용하였구요. SDS 대신에 nonionic 또는 ziwitterionic detergents (CHAPS, ASB14 등)를 사용합니다. 첨부한 논문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immunoprecipitation(IP) 후에 >2D electrophoresis를 하려고 합니다. > >보통 1D로 할땐 SDS와 B-ME가 들어있는 sample buffer에서 cook을 해서 >beads에서 떼어낼 수 있는데, >2D 시에는 charge를 유지해야하기에 cook을 할 수없게되는데, >Urea가 든 rehydration buffer로 떼어낼수 있을까요? >95도에서 cook도 하면 안되는 거겠죠? > > >IP후 2D 하셔서 blot이나 silver 하신분들 도움 좀 부탁드려요~~
    IP 후에 2-DE를 사용한 관련 논문을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저의 경우에도 여러 가지 논문을 참고하였습니다만, urea buffer를 이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 같더군요. 9.5M urea, 4% CHAPS, 40mM tris, 0.8% ampholytes, 1% DTT, 1mM PMSF, 1mM EDTA의 조성으로 사용하였구요. SDS 대신에 nonionic 또는 ziwitterionic detergents (CHAPS, ASB14 등)를 사용합니다. 첨부한 논문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immunoprecipitation(IP) 후에 >2D electrophoresis를 하려고 합니다. > >보통 1D로 할땐 SDS와 B-ME가 들어있는 sample buffer에서 cook을 해서 >beads에서 떼어낼 수 있는데, >2D 시에는 charge를 유지해야하기에 cook을 할 수없게되는데, >Urea가 든 rehydration buffer로 떼어낼수 있을까요? >95도에서 cook도 하면 안되는 거겠죠? > > >IP후 2D 하셔서 blot이나 silver 하신분들 도움 좀 부탁드려요~~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