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LDL oxidant 를 TBARS방법으로 하는데 질문있습니다.

LDL oxidant 를 TBARS방법으로 하는데 계산식을 잘 모르겠어서요. 논문마다 다르던데 1.MDA표준시료를 이용하는것은 아래처럼 나타나구요 MDA(nM/ml)=(f/F)*10 F: 표준시료의 흡광도 f: 검체의 흡광도 2. 어떤것은 inhibition ratio(%)=[(A-A1)/A]*100 A=control의 absorbance A1= sample의 absorbance 질문은 1.이 둘중에 어느것을 쓰면 되나요? 2.TBARS 측정값이 높아야 항산화력이 좋은건가요? 아님 낮아야 좋은건가요? 답변꼭부탁드립니다.
  • LDL oxidant
  • TBAR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윤예랑님의 답변

    MDA 값으로 계산했습니다. 상황에 따라 % inhibition으로 교수님께 보여드린 적은 있었지만 보통은 MDA를 표준용액으로 이용하여 계산하는 게 맞을 듯 합니다. 그리고 두번째 질문의 답은 TBAR 측정값이 높으면 지질과산화가 많이 일어났다는 말이 되므로 샘플을 처리했을 때라면 낮은게 좋겠죠?? 건승하세요..\
    MDA 값으로 계산했습니다. 상황에 따라 % inhibition으로 교수님께 보여드린 적은 있었지만 보통은 MDA를 표준용액으로 이용하여 계산하는 게 맞을 듯 합니다. 그리고 두번째 질문의 답은 TBAR 측정값이 높으면 지질과산화가 많이 일어났다는 말이 되므로 샘플을 처리했을 때라면 낮은게 좋겠죠?? 건승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