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투과도와 흡광도에 관해서

투과도와 흡광도의 차이에 대해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 투과도
  • 흡광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광화학이나 화학분야에서 Lamber-Beer의 법칙으로 설명할 때 정의를 정확히 이해해야 할 듯 합니다. 일반적인 경우에 대하여 말하자면.... 투과율이 있는데, 투과율은 입사광의 강도(intensity)와 투과광의 강도 사이의 비율입니다. 즉, 어떤 단색광을 용액에 쏘았을 때 반사가 없다고 가정하면 입사할 때의 강도와 통과한 빛의 강도를 비교하는 값으로 1과 같거나 흡수가 일어나면 1보다 작은 값이겠지요. 단색광이 통과할 때 흡수가 조금 일어나거나 많이 일어날 때 비교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투과율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음의 값으로 나옵니다. 여기에다 광화학에서 정의하는 기준값을 곱해줍니다. (예를 들어 용액의 농도나 통과하는 빛이 길이 등) 이렇게 특정값을 곱해서 나오는 값이 투과도입니다. 당연히 흡수율(A=1-I/I0=1-T)을 용액의 성질이나 기타 광화학에서 설정하는 값을 곱하면 흡수도가 나오겠지요. 광화학의 정의를 잘 살펴보면 이해가 될 것입니다. 이렇게 하여 각 단색광에 대하여 정의를 하고 파장이나 진동수를 변화시키면 각 파장에 따른 투과도의 그래프가 그려집니다. >투과도와 흡광도의 차이에 대해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광화학이나 화학분야에서 Lamber-Beer의 법칙으로 설명할 때 정의를 정확히 이해해야 할 듯 합니다. 일반적인 경우에 대하여 말하자면.... 투과율이 있는데, 투과율은 입사광의 강도(intensity)와 투과광의 강도 사이의 비율입니다. 즉, 어떤 단색광을 용액에 쏘았을 때 반사가 없다고 가정하면 입사할 때의 강도와 통과한 빛의 강도를 비교하는 값으로 1과 같거나 흡수가 일어나면 1보다 작은 값이겠지요. 단색광이 통과할 때 흡수가 조금 일어나거나 많이 일어날 때 비교하기 쉽게 하기 위해서 투과율에 상용로그를 취하면 음의 값으로 나옵니다. 여기에다 광화학에서 정의하는 기준값을 곱해줍니다. (예를 들어 용액의 농도나 통과하는 빛이 길이 등) 이렇게 특정값을 곱해서 나오는 값이 투과도입니다. 당연히 흡수율(A=1-I/I0=1-T)을 용액의 성질이나 기타 광화학에서 설정하는 값을 곱하면 흡수도가 나오겠지요. 광화학의 정의를 잘 살펴보면 이해가 될 것입니다. 이렇게 하여 각 단색광에 대하여 정의를 하고 파장이나 진동수를 변화시키면 각 파장에 따른 투과도의 그래프가 그려집니다. >투과도와 흡광도의 차이에 대해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투과도와 흡광도에 대하여 몇번 언급된 사항입니다. eisenbahn님의 답변과 같이 입사한 광의 강도를 100이라 가정하고, 투과한 광의 강도가 60이라면 40은 흡수 되었겠지요. 이러한 광의 흡수는 물질의 두께가 두꺼우면 흡수도가 클 것이고, 표면에서 반사가 많으면 흡수가 적어질 것이고, 물체의 흡수 계수가 크면 투과도가 적어질 것입니다. 이의 상관 관계 식을 참고자료로 첨부합니다. site를 접속하시면 몇가지의 반도체에 대한 자료가 나와있습니다.
    >투과도와 흡광도에 대하여 몇번 언급된 사항입니다. eisenbahn님의 답변과 같이 입사한 광의 강도를 100이라 가정하고, 투과한 광의 강도가 60이라면 40은 흡수 되었겠지요. 이러한 광의 흡수는 물질의 두께가 두꺼우면 흡수도가 클 것이고, 표면에서 반사가 많으면 흡수가 적어질 것이고, 물체의 흡수 계수가 크면 투과도가 적어질 것입니다. 이의 상관 관계 식을 참고자료로 첨부합니다. site를 접속하시면 몇가지의 반도체에 대한 자료가 나와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고승학님의 답변

    >투과도와 흡광도의 차이에 대해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투과도와 흡광도의 정의는 다른분들이 윗글에서 어느정도 설명되었고... 저는 두가지를 가지고 응용되는 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쉽게 말해서 측정방식으로 접근해서 빛 100개를 쏴서 30개가 투과해서 나오면 투과해서 나온 30개를 디텍트해서 스펙트럼을 만드는게 IR(InfraRed spectrum)입니다. 투과도를 측정해서 나온 스펙트럼은 peak이 위에서 아래로 흡수 밴드과 그려지고, 흡광도는 30개를 뺀 70개를 디텍트해서 스펙트럼을 만듭니다. NMR, UV, Raman등등...이 흡광도로 계산해서 얻는 스펙트럼입니다. 흡수 스펙트럼은 아래에서 위로 peak이 그려집니다. 물론 화합물의 특성(예,작용기)에 의해서 투과도 혹은 흡광도가 틀려집니다. 단순히 말하면 스펙트럼의 계산방식의 차이라고도 설명이 됩니다.
    >투과도와 흡광도의 차이에 대해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투과도와 흡광도의 정의는 다른분들이 윗글에서 어느정도 설명되었고... 저는 두가지를 가지고 응용되는 점을 알려드리겠습니다. 쉽게 말해서 측정방식으로 접근해서 빛 100개를 쏴서 30개가 투과해서 나오면 투과해서 나온 30개를 디텍트해서 스펙트럼을 만드는게 IR(InfraRed spectrum)입니다. 투과도를 측정해서 나온 스펙트럼은 peak이 위에서 아래로 흡수 밴드과 그려지고, 흡광도는 30개를 뺀 70개를 디텍트해서 스펙트럼을 만듭니다. NMR, UV, Raman등등...이 흡광도로 계산해서 얻는 스펙트럼입니다. 흡수 스펙트럼은 아래에서 위로 peak이 그려집니다. 물론 화합물의 특성(예,작용기)에 의해서 투과도 혹은 흡광도가 틀려집니다. 단순히 말하면 스펙트럼의 계산방식의 차이라고도 설명이 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투과도와 흡광도의 차이에 대해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투과도는 빛의 반사와는 반대로 빛이 충돌하는 면을 뚫고 들어가서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종이나 금속의 반대쪽에서 빛을 쏘았을 경우 빛이 뒤쪽으로 뚫고 나오는 경우 투과하였다고 말합니다..이것을 수식화하여 어느 정도 투과되었는지를 수식으로 나타낸 것을 투과도라고합니다. 빛의 흡수란 빛이 충돌하는 면의 결정구조나 일정한 분자구조등 내부의 모습에 대하여 빛의 파동에너지가 입자를 진동시키거나 움직이게 하여 입자의 탄성에너지나 운동에너지로 전환을 시켜서 결국 빛의 에너지는 충돌면의 입자의 에너지로 전환이 되는 경우 빛은 흡수 되었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이중결합구조를 가지고 있는 물질이나, aromatic rin구조로 되어 있는 화합물의 경우는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투과도와 흡광도의 차이에 대해 좀 설명 부탁드립니다. 투과도는 빛의 반사와는 반대로 빛이 충돌하는 면을 뚫고 들어가서 진행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종이나 금속의 반대쪽에서 빛을 쏘았을 경우 빛이 뒤쪽으로 뚫고 나오는 경우 투과하였다고 말합니다..이것을 수식화하여 어느 정도 투과되었는지를 수식으로 나타낸 것을 투과도라고합니다. 빛의 흡수란 빛이 충돌하는 면의 결정구조나 일정한 분자구조등 내부의 모습에 대하여 빛의 파동에너지가 입자를 진동시키거나 움직이게 하여 입자의 탄성에너지나 운동에너지로 전환을 시켜서 결국 빛의 에너지는 충돌면의 입자의 에너지로 전환이 되는 경우 빛은 흡수 되었다고 말합니다. 예를 들어서, 이중결합구조를 가지고 있는 물질이나, aromatic rin구조로 되어 있는 화합물의 경우는 특정 파장의 빛을 흡수하는 능력이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