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treptavidin의 반응원리가 알고 싶어요

학교에서 실험하다 배운 streptavidin에 대해서좀 더 알고 싶습니다.. streptavidin이 지지체 같은 것에 작용하는 원리를 알고 싶어요 streptavidin이 biotin과 반응하는 것 말고 지지체나 다른것에 고정되는 원리를 알고 싶어요 그리고 streptavidin이 고정되지 않는 물질이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 strepavidi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박재봉님의 답변

    >학교에서 실험하다 배운 streptavidin에 대해서좀 더 알고 싶습니다.. > >streptavidin이 지지체 같은 것에 작용하는 원리를 알고 싶어요 > >streptavidin이 biotin과 반응하는 것 말고 지지체나 다른것에 고정되는 원리를 >알고 싶어요 > >그리고 streptavidin이 고정되지 않는 물질이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Streptoavidin과 같은 단백질을 지지체에 고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질문하시는 것 같습니다. 지지체에 붙어 있는 반응성이 큰 작용기 (예를 들어 아미노기, SH, OH기)와 단백질의 작용기 (SH, OH, 아미노기)등을 cross-linker 로 반응시켜 연결하거나 지지체 자체가 반응성이 큰 물질로 개발된 것이 있으면 그것을 단백질과 섞어 반응시켜 연결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회사에서 Streptoavidin이 붙어 있는 기존의 지지체를 팔고 있음으로 애써서 합성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학교에서 실험하다 배운 streptavidin에 대해서좀 더 알고 싶습니다.. > >streptavidin이 지지체 같은 것에 작용하는 원리를 알고 싶어요 > >streptavidin이 biotin과 반응하는 것 말고 지지체나 다른것에 고정되는 원리를 >알고 싶어요 > >그리고 streptavidin이 고정되지 않는 물질이있으면 좀 알려주세요 Streptoavidin과 같은 단백질을 지지체에 고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질문하시는 것 같습니다. 지지체에 붙어 있는 반응성이 큰 작용기 (예를 들어 아미노기, SH, OH기)와 단백질의 작용기 (SH, OH, 아미노기)등을 cross-linker 로 반응시켜 연결하거나 지지체 자체가 반응성이 큰 물질로 개발된 것이 있으면 그것을 단백질과 섞어 반응시켜 연결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회사에서 Streptoavidin이 붙어 있는 기존의 지지체를 팔고 있음으로 애써서 합성할 필요가 없을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