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Qiagen kit을 사용하여 DNA purification후 남는 하얀 물질

요즘 DNA를 정제하다보면, elution을 받을 때, 하얀 가루 같은 게 보입니다. 이걸 Gel 상에 loading해서 running 하면, DNA가 어느 정도 있는 걸로 보이는데요, 이 하얀 가루가 많을 수록, PURITY가 떨어집니다. 이게 무엇일까요? 혹시 아시는 분들 계십니까?
  • DNA purification
  • Qiagen ki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오은정님의 답변

    >요즘 DNA를 정제하다보면, >elution을 받을 때, 하얀 가루 같은 게 보입니다. >이걸 Gel 상에 loading해서 running 하면, >DNA가 어느 정도 있는 걸로 보이는데요, >이 하얀 가루가 많을 수록, PURITY가 떨어집니다. >이게 무엇일까요? >혹시 아시는 분들 계십니까? 어떤 kit을 쓰는지 모르겠습니다만 혹시 bead를 쓰는 type이 아닌가요? 만약 그렇다면 final elute상에 소량의 bead가 포함되어서 나오기도 합니다. 이경우 다음 cloning work(Enzyme digestion, ligation)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연히 DNA가 붙어있을 수 있기에 Agarose gel에서 band가 약간 보이구요... 이런경우 elute에서 다시 supt.부분만을 다시 취하시는게 일반적인 해경방법입니다. 만약 column type인데 이런일이 나타난다면, claim 대상이겠죠??
    >요즘 DNA를 정제하다보면, >elution을 받을 때, 하얀 가루 같은 게 보입니다. >이걸 Gel 상에 loading해서 running 하면, >DNA가 어느 정도 있는 걸로 보이는데요, >이 하얀 가루가 많을 수록, PURITY가 떨어집니다. >이게 무엇일까요? >혹시 아시는 분들 계십니까? 어떤 kit을 쓰는지 모르겠습니다만 혹시 bead를 쓰는 type이 아닌가요? 만약 그렇다면 final elute상에 소량의 bead가 포함되어서 나오기도 합니다. 이경우 다음 cloning work(Enzyme digestion, ligation)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또한 당연히 DNA가 붙어있을 수 있기에 Agarose gel에서 band가 약간 보이구요... 이런경우 elute에서 다시 supt.부분만을 다시 취하시는게 일반적인 해경방법입니다. 만약 column type인데 이런일이 나타난다면, claim 대상이겠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