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DSC로 열분해온도를 볼 수 있나요?

첨부파일


DSC로 열분해온도를 볼 수 있나요? 이 그래프에서 230~250도 부근에 보이는 푹들어간 두개의 피크를 Tm으로 봐야할지.. 아니면 열분해가 되어서 열량이 마구 달라지는 것으로 해석해야할지 (따라서 230도 부근부터 열분해가 시작된다고봐야할지) DSC로 원래 열분해온도도 확인하고 그러나요? 정확한 온도지점은 모르더라도 대충 이부분부터 열분해가 시작되는 구나..정도라도요..
  • DSC 분석
  • 열분해온도
  • 고분자물질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고문주님의 답변

    DSC를 찍으 시기 전에 반드시 TGA를 이용해서 열분해 온도가 몇도인지 확인해 보시길 추천 (정석)합니다. DSC로 물론 열분해 온도 얼마든지 알아 볼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사용 하시면, 연구실 모든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으 실거고, 또한 지도 교수님으로 부터 엄청난 미움을 받으실겁니다. 왜냐하면 DSC의 챔버를 오염시켜서 다른 사람이 측정할때 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챔버는 보통 백금 코팅으로 되어 있으며, 따로 주문 하실려면 아주 돈이 많이 필요 하실겁니다.
    DSC를 찍으 시기 전에 반드시 TGA를 이용해서 열분해 온도가 몇도인지 확인해 보시길 추천 (정석)합니다. DSC로 물론 열분해 온도 얼마든지 알아 볼수 있습니다. 그러나, 그렇게 사용 하시면, 연구실 모든 사람들에게 미움을 받으 실거고, 또한 지도 교수님으로 부터 엄청난 미움을 받으실겁니다. 왜냐하면 DSC의 챔버를 오염시켜서 다른 사람이 측정할때 까지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챔버는 보통 백금 코팅으로 되어 있으며, 따로 주문 하실려면 아주 돈이 많이 필요 하실겁니다.

    ㅋㅋ네~ 제가 정말 잘못했습니다. ㅎㄷㄷ^^;;;;

  • 답변

    심용호님의 답변

    DSC 분석 조건이 어떻게 되는건지요? 또 어떤 물질(고분자류) 인가요? 순수 물질 인가요 혼합 물질인가요? 이러한 내용을 올려주시면 자세한 답변을 얻을수 있을것입니다. 분석조건에 따라서 조금씩 변화가 있기에, 또 혼합물질인 경우 더 복잡해집니다. 할수 있다면 2 런으로 두번째 피크들을 관찰해보세요. 온도상승 조건은 어땠나요? DSC로 많은 정보를 알 수 있으나, 위의 조건들을 모르는 상태에서는 그래프를 해석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위의 댓글에서처럼 TGA로 확인하고 나머지 분석을 같이 하는것이 더 바람직해보입니다. >DSC로 열분해온도를 볼 수 있나요? > > >이 그래프에서 230~250도 부근에 보이는 푹들어간 두개의 피크를 Tm으로 봐야할지.. >아니면 열분해가 되어서 열량이 마구 달라지는 것으로 해석해야할지 (따라서 230도 부근부터 열분해가 시작된다고봐야할지) >DSC로 원래 열분해온도도 확인하고 그러나요? 정확한 온도지점은 모르더라도 대충 이부분부터 열분해가 시작되는 구나..정도라도요..
    DSC 분석 조건이 어떻게 되는건지요? 또 어떤 물질(고분자류) 인가요? 순수 물질 인가요 혼합 물질인가요? 이러한 내용을 올려주시면 자세한 답변을 얻을수 있을것입니다. 분석조건에 따라서 조금씩 변화가 있기에, 또 혼합물질인 경우 더 복잡해집니다. 할수 있다면 2 런으로 두번째 피크들을 관찰해보세요. 온도상승 조건은 어땠나요? DSC로 많은 정보를 알 수 있으나, 위의 조건들을 모르는 상태에서는 그래프를 해석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위의 댓글에서처럼 TGA로 확인하고 나머지 분석을 같이 하는것이 더 바람직해보입니다. >DSC로 열분해온도를 볼 수 있나요? > > >이 그래프에서 230~250도 부근에 보이는 푹들어간 두개의 피크를 Tm으로 봐야할지.. >아니면 열분해가 되어서 열량이 마구 달라지는 것으로 해석해야할지 (따라서 230도 부근부터 열분해가 시작된다고봐야할지) >DSC로 원래 열분해온도도 확인하고 그러나요? 정확한 온도지점은 모르더라도 대충 이부분부터 열분해가 시작되는 구나..정도라도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앞서 답변하신 분의 말씀처럼 TGA 분석을 병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TGA 분석을 해야하는 이유는 DSC thermogram을 좀 더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열분해와 Tm을 판단할 때도 그렇습니다. Thermogram의 endo 피크의 기울기로 봐선 250도 부근이 Tm이라고 생각됩니다. 230도 부근은 용매 등의 불순물로 보입니다. 일단은 baseline이 깨끗지 않아 여러가지 점을 보완하여 재실험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용융에 이어 열분해가 일어날 경우 커브가 활처럼 휘면서 exo 또는 endo 커브를 나타내는게 보통인데 첨부해주신 thermogram은 제 능력으론 판단하기가 어렵네요.
    앞서 답변하신 분의 말씀처럼 TGA 분석을 병행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TGA 분석을 해야하는 이유는 DSC thermogram을 좀 더 정확하게 해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열분해와 Tm을 판단할 때도 그렇습니다. Thermogram의 endo 피크의 기울기로 봐선 250도 부근이 Tm이라고 생각됩니다. 230도 부근은 용매 등의 불순물로 보입니다. 일단은 baseline이 깨끗지 않아 여러가지 점을 보완하여 재실험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용융에 이어 열분해가 일어날 경우 커브가 활처럼 휘면서 exo 또는 endo 커브를 나타내는게 보통인데 첨부해주신 thermogram은 제 능력으론 판단하기가 어렵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