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TGDTA peak분석 문의

첨부파일


TG-DTA에 대해 무식한 질문 드립니다. 보이는 그림에서, DTA peak(300도부근)의 차이는(이유를) 뭘로 봐야하나요? 같은 종류의 고분자와 무기물을 이용해 같은 조성비로 만든 물질입니다. (셋의 차이는 방법상의 차이입니다만, 자세한것 뭐해서..ㅡㅡ;; 죄송) DSC분석하는중에 여러 고수님께 조언구합니다.
  • TG-DTA
  • 고분자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TG-DTA에 대해 무식한 질문 드립니다. >보이는 그림에서, >DTA peak(300도부근)의 차이는(이유를) 뭘로 봐야하나요? >같은 종류의 고분자와 무기물을 이용해 같은 조성비로 만든 물질입니다. >(셋의 차이는 방법상의 차이입니다만, 자세한것 뭐해서..ㅡㅡ;; 죄송) >DSC분석하는중에 여러 고수님께 조언구합니다. > DTA 데이타중에 300도 부근에서의 차이는 발열 반응(exothermic reaction)중에 시료와 기준물질간의 온도차가 더 커져서 피크상에 차이가 나게 됩니다.
    >TG-DTA에 대해 무식한 질문 드립니다. >보이는 그림에서, >DTA peak(300도부근)의 차이는(이유를) 뭘로 봐야하나요? >같은 종류의 고분자와 무기물을 이용해 같은 조성비로 만든 물질입니다. >(셋의 차이는 방법상의 차이입니다만, 자세한것 뭐해서..ㅡㅡ;; 죄송) >DSC분석하는중에 여러 고수님께 조언구합니다. > DTA 데이타중에 300도 부근에서의 차이는 발열 반응(exothermic reaction)중에 시료와 기준물질간의 온도차가 더 커져서 피크상에 차이가 나게 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TG-DTA에 대해 무식한 질문 드립니다. >보이는 그림에서, >DTA peak(300도부근)의 차이는(이유를) 뭘로 봐야하나요? >같은 종류의 고분자와 무기물을 이용해 같은 조성비로 만든 물질입니다. >(셋의 차이는 방법상의 차이입니다만, 자세한것 뭐해서..ㅡㅡ;; 죄송) >DSC분석하는중에 여러 고수님께 조언구합니다. > TG에서 보면 유기물에 무기물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입니다.이는 열에 의한 체적 변화가 계속 일어나다가(체적이 적어지다가)어느 온도이상에서는 체적변화가 없이 일정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다음 이를 분석한 DTA는 처음 1차 peak에서 유기물이 분해되기 시작하는 온도로 나오고 있으며, 다음 무기물에서 체적이 줄어드는 peak가 뒤따르고 있습니다.
    >TG-DTA에 대해 무식한 질문 드립니다. >보이는 그림에서, >DTA peak(300도부근)의 차이는(이유를) 뭘로 봐야하나요? >같은 종류의 고분자와 무기물을 이용해 같은 조성비로 만든 물질입니다. >(셋의 차이는 방법상의 차이입니다만, 자세한것 뭐해서..ㅡㅡ;; 죄송) >DSC분석하는중에 여러 고수님께 조언구합니다. > TG에서 보면 유기물에 무기물이 혼합되어 있는 형태입니다.이는 열에 의한 체적 변화가 계속 일어나다가(체적이 적어지다가)어느 온도이상에서는 체적변화가 없이 일정하게 나오고 있습니다. 다음 이를 분석한 DTA는 처음 1차 peak에서 유기물이 분해되기 시작하는 온도로 나오고 있으며, 다음 무기물에서 체적이 줄어드는 peak가 뒤따르고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