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Expression확인이 안 됩니다.

pcDNA3-HA에 원하는 유전자의 mutant 를 cloning하였습니다. Enzyme digestion과 sequencing을 통해 cloning이 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세포에 transfection하여 western으로 발현을 확인하려고 하는데 5가지 construct 중에 유독 하나가 발현이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Cloning은 성공하였는데 발현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pcDNA-HA
  • Cloning
  • Express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전주홍님의 답변

    epitope tag에 대한 antibody로 웨스턴을 했을 때 발현확인이 안된다는 것인지요? taget protein에 대한 antibody가 available 하다면 그것으로 확인해 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epitope tag에 대한 antibody의 senstivity는 사용하는 gene에 따라 상당히 큰 차이를 보일 수 있고, 심지어 인식을 못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저 또한 epitope tag에 대한 antibody로 하면 전혀 발현 확인이 안되는데, taget protein에 대한 antibody로 하면 발현이 확인되는 경우가 몇번 있었습니다. 이유로는 partner protein에 따라 epitope의 노출정도나 epitope region의 modification 등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pcDNA3-HA에 원하는 유전자의 mutant 를 cloning하였습니다. > >Enzyme digestion과 sequencing을 통해 cloning이 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 >세포에 transfection하여 western으로 발현을 확인하려고 하는데 > >5가지 construct 중에 유독 하나가 발현이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 >Cloning은 성공하였는데 발현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epitope tag에 대한 antibody로 웨스턴을 했을 때 발현확인이 안된다는 것인지요? taget protein에 대한 antibody가 available 하다면 그것으로 확인해 보시는게 좋을 듯 합니다. epitope tag에 대한 antibody의 senstivity는 사용하는 gene에 따라 상당히 큰 차이를 보일 수 있고, 심지어 인식을 못하는 경우도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저 또한 epitope tag에 대한 antibody로 하면 전혀 발현 확인이 안되는데, taget protein에 대한 antibody로 하면 발현이 확인되는 경우가 몇번 있었습니다. 이유로는 partner protein에 따라 epitope의 노출정도나 epitope region의 modification 등으로 이해되고 있습니다. >pcDNA3-HA에 원하는 유전자의 mutant 를 cloning하였습니다. > >Enzyme digestion과 sequencing을 통해 cloning이 되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 >세포에 transfection하여 western으로 발현을 확인하려고 하는데 > >5가지 construct 중에 유독 하나가 발현이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 >Cloning은 성공하였는데 발현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