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3-31
org.kosen.entty.User@70f4bc6e
권유빈(akero)
- 2
B16F1 세포와 CCD986sk를 배양하고 있습니다.
보통의 세포를 배양할때 5%CO2에서 문안하게 자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랩을 옮기고 나서 현재 랩에서는 10%CO2 조건에서 B16F1을 welgene 제품 DMEM으로 배양을 하고 CCD-986SK를 IMDM을 배양하고 있던데요.
CCD-986sk상태가 P2짜리 해동해서도 금방 노화에 빠진 모양으로 바꿔어서요,
두가지 문제점을 다 보완하기 위해서 REVCO incubator CO2를 5%로 낮추고 B16F1세포를 우선 꺼내어 해동해 봤는데요.
세포가 부착을 못하고 있습니다. 빨리 세팅을 해야하는데 난감합니다~
1. 세포가 원래 10%조건에서 전 실험자가 실험을 하셔서 적응된 것을 재 해동해서 그런건지
2. 아니면 제대로 REVCO incubator의 CO2가 잘 안맞는건지
(두번이나 다시 세팅을 실험실 다른 분이 했습니다. 설명서를 보시고서,, 아직 기술자를 부르지는 않았어요,,-사람 부르기가 좀 어려운 위치에 있습니다)
3. 다른 여타의 문제점은?
배지 회사를 바꿔봐야 하나요?
아니면 세포를 다른 랩에서 가서 배양해 봐야 하는지
다른 랩의 세포를 가져와서 여기서 해 봐야하는지
4. CCD986세포는 CO2 10%조건에서 노화가 되는지도 아울러 여쭤봅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릴께요~~
- B16F1
- CCD-986sk
- CO2 10%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신재욱님의 답변
2009-03-31- 0
먼저 CO2 incubator에 표시되어있는 CO2 절대적으로 믿으서는 안됩니다. 특히 산지 오래 되었고 기기 validation을 정기적으로 하지 않는 이상은요. 기기에 표시된 setting값을 맞추는것이 아니라 CO2표준물질을 가지고 맞추어야 합니다.(<--굉장히 고가임) 기존의 연구자가 사용하고 다시 stock해 놓으셨다고 했는데 stock이 잘 못 되었을 수도 있고 기존 연구자 분이 이 세포주를 얼마나 사용하신지 기록이 없으시면 아마 세포의 성장 genenration을 초과했을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세포가 generation이 지나면 growth와 production에 크게 문제가 됩니다. 10% CO2를 사용하시면 배지상에 녹아들어가는 pH가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pH buffering 할 수 있는 시약을 좀 더 넣어주셔야 할 수도 있습니다. 기존에 사용하시던 분도 그렇게 했을 수 있지만, 세포가 많이 계대배양하거나 stock한지 오래 되셨으면 환경에 더 민감해졌을 수도 있습니다. CO2 incubator의 경우는 AS를 부르기 어려우시다면 똑같이 접종한 세포를 각기 다른 CO2에 넣어서 배양해 보시면 알게 될 것이고 pH의 경우는 세포가 자라든 안자라면 며칠 키울때 매일 주기적으로 한번 check해 보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되었을지 모르겠지만, 성공하시기 바랍니다. -
답변
홍동호님의 답변
2009-04-02- 0
>B16F1 세포와 CCD986sk를 배양하고 있습니다. > >보통의 세포를 배양할때 5%CO2에서 문안하게 자라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 >그런데 랩을 옮기고 나서 현재 랩에서는 10%CO2 조건에서 B16F1을 welgene 제품 DMEM으로 배양을 하고 CCD-986SK를 IMDM을 배양하고 있던데요. > >CCD-986sk상태가 P2짜리 해동해서도 금방 노화에 빠진 모양으로 바꿔어서요, > >두가지 문제점을 다 보완하기 위해서 REVCO incubator CO2를 5%로 낮추고 B16F1세포를 우선 꺼내어 해동해 봤는데요. > >세포가 부착을 못하고 있습니다. 빨리 세팅을 해야하는데 난감합니다~ > >1. 세포가 원래 10%조건에서 전 실험자가 실험을 하셔서 적응된 것을 재 해동해서 그런건지 > >2. 아니면 제대로 REVCO incubator의 CO2가 잘 안맞는건지 >(두번이나 다시 세팅을 실험실 다른 분이 했습니다. 설명서를 보시고서,, 아직 기술자를 부르지는 않았어요,,-사람 부르기가 좀 어려운 위치에 있습니다) > >3. 다른 여타의 문제점은? > 배지 회사를 바꿔봐야 하나요? > 아니면 세포를 다른 랩에서 가서 배양해 봐야 하는지 > 다른 랩의 세포를 가져와서 여기서 해 봐야하는지 > >4. CCD986세포는 CO2 10%조건에서 노화가 되는지도 아울러 여쭤봅니다 > > 많은 조언 부탁드릴께요~~ > > 또 다른 점검할 사항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세포가 DMSO와 같이 얼려져 있기 때문에 해동시 최대한 빨리 배양액으로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 예를 들면, 액체질소 탱크에서 커내어서 바로 물로 넣으면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10-15초 정도 클린 벤치에서 방치해 두고 37도의 Bath에서 빠른 시간에 녹인 후 배양액을 5 ml 정도 추가하여 15 ml 튜브에 섞은 후 원심분리를 하여 supernatant를 버리고 Pellet에 배양액을 넣어서 suspension을 한 후에 처음에는 20% FBS로 하루 정도를 배양한 후에 원래의 배양조건으로 바꾸어 주면 잘 자랄 수 있습니다. 그래도 잘 자라지 않으면 배양 플라스크를 T25를 사용하지 말고 6-well에서 잠시 키우다가 상태가 좋아지면 T25로 옮길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