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02
org.kosen.entty.User@2151070c
이정헌(circle999)
- 4
영구자석 Powder와 세라믹 유전체를 섞어 소성을 하여
Layer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질문 1. 영구 자석Powder 가 세라믹 유전체와 소성되었을때 자력을 잃어 버리진
안을까요? (소성온도 500℃)
질문 2. 자력을 갖고 있다고 했을때 Magnetic Field가 어떤 방향으로 생길까요?
자력은 쌍극자로 존재해서 각각의 Powder가 N/S극을 갖는다고 했을때
전체적으로 자장이 없이 중성이 되어 버리진 않을까요?
질문 3. 플라스마의 하전입자는 마그네틱 필드가 있는 상황에서 원운동을 한다고 하는데
200V 이상의 전기장이 평행으로 있는 상황에서 수직으로 자장을 걸어준다고 하면
재료의 자화의 강도는 어느정도 되어야 할까요?
자석에 대해서 잘몰라 이것저것 두서없이 질문합니다.
조금이라도 아는 부분이 있으시면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참고할 수 있는 자료나 Site를 알려주셔도 감사드리겠습니다.)
- 영구자석
- Powder
- 자장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9-04-03- 2
어떤 powder를 사용하는지 모르기 대문에 일반적인 사항만 말씀드립니다. 자석은 임계온도 이상으로 올라가면 자성을 잃어버립니다.(자장의 배열이 흐트러짐=자력이 없어짐) 분말과 유전체를 넣어서 열처리를 하는데, 이때 자장을 걸어 주든지, 직류전류(5~10V)를 연결하여 걸어주는데 직류편이 간편하겠습니다. 온도를 올려주고 난뒤 서냉하여 자석의 특성을 check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
답변
이종수님의 답변
2009-04-06- 2
> 질문 1. 영구 자석Powder 가 세라믹 유전체와 소성되었을때 자력을 잃어 버리진 > 안을까요? (소성온도 500℃) 답변1: 이것은 직접 해보지 않고서 알 수 없습니다. 다만, 자력을 잃어버릴 가능성이 충분한데 이것은 소성온도에 의한 영향보다는 세라믹 유전체의 비율이 자성물질의 것보다 많아 자성물질 사이에 작용하는 exchange interaction이 약화되어 자력이 사라질 수 있습니다. > 질문 2. 자력을 갖고 있다고 했을때 Magnetic Field가 어떤 방향으로 생길까요? > 자력은 쌍극자로 존재해서 각각의 Powder가 N/S극을 갖는다고 했을때 > 전체적으로 자장이 없이 중성이 되어 버리진 않을까요? 답변2: 자성 powder의 grain size가 얼마이고 세라믹 유전체의 몰비가 얼마인지가 중요하겠지요. 자성 powder의 경우에 grain size가 작으면 superparamagnetism이 되어 자성을 잃어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자성이 유지되기 위해서는 powder의 grainsize가 충분히 크고 magnetic domain이 bulk 전체에서 움직일 수 있을 정도로 자성입자의 몰비가 커야 할 것입니다. > 질문 3. 플라스마의 하전입자는 마그네틱 필드가 있는 상황에서 원운동을 한다고 하는데 > 200V 이상의 전기장이 평행으로 있는 상황에서 수직으로 자장을 걸어준다고 하면 > 재료의 자화의 강도는 어느정도 되어야 할까요? 답변3: 전기장이 걸린 상황에서 자장을 걸었다고 해서 자화의 강도가 전기장이 없었을 때보다 커지거나 달라지지 않습니다. 다만, Hall 현상이 생겨 전기적 transport에는 영향을 미치겠지요. 앞서 답변드린 분의 의견대로 어떤 재료를 선택하느냐에 따라 또한 어떤 몰비로 섞느냐에 따라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실험방법에 대한 정보가 필요할 듯 싶습니다. -
답변
김진철님의 답변
2009-05-11- 2
> > 영구자석 Powder와 세라믹 유전체를 섞어 소성을 하여 > Layer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 > 질문 1. 영구 자석Powder 가 세라믹 유전체와 소성되었을때 자력을 잃어 버리진 > 안을까요? (소성온도 500℃) > > 질문 2. 자력을 갖고 있다고 했을때 Magnetic Field가 어떤 방향으로 생길까요? > 자력은 쌍극자로 존재해서 각각의 Powder가 N/S극을 갖는다고 했을때 > 전체적으로 자장이 없이 중성이 되어 버리진 않을까요? > > 질문 3. 플라스마의 하전입자는 마그네틱 필드가 있는 상황에서 원운동을 한다고 하는데 > 200V 이상의 전기장이 평행으로 있는 상황에서 수직으로 자장을 걸어준다고 하면 > 재료의 자화의 강도는 어느정도 되어야 할까요? > > 자석에 대해서 잘몰라 이것저것 두서없이 질문합니다. > 조금이라도 아는 부분이 있으시면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참고할 수 있는 자료나 Site를 알려주셔도 감사드리겠습니다.) > 제가 알기로는 자석의 물질을 배합하여 성형 후 자화 시키는 것으로 아는데요~ 또 탈자 하기도 하고요~ 자석을 자화시킨 후 가열하면 자력이 없어지고요~ 자석의 물질에 맞게 자화 열처리도 해야하니 가열은 필수인데~~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30- 0
> > 영구자석 Powder와 세라믹 유전체를 섞어 소성을 하여 > Layer를 만들어 보려고 합니다. > > 질문 1. 영구 자석Powder 가 세라믹 유전체와 소성되었을때 자력을 잃어 버리진 > 안을까요? (소성온도 500℃) > > 질문 2. 자력을 갖고 있다고 했을때 Magnetic Field가 어떤 방향으로 생길까요? > 자력은 쌍극자로 존재해서 각각의 Powder가 N/S극을 갖는다고 했을때 > 전체적으로 자장이 없이 중성이 되어 버리진 않을까요? > > 질문 3. 플라스마의 하전입자는 마그네틱 필드가 있는 상황에서 원운동을 한다고 하는데 > 200V 이상의 전기장이 평행으로 있는 상황에서 수직으로 자장을 걸어준다고 하면 > 재료의 자화의 강도는 어느정도 되어야 할까요? > > 자석에 대해서 잘몰라 이것저것 두서없이 질문합니다. > 조금이라도 아는 부분이 있으시면 답변해 주시면 정말 감사드리겠습니다. > (참고할 수 있는 자료나 Site를 알려주셔도 감사드리겠습니다.) > 재료의 자기적 성질은 재료내의 전하에 의해 결정되는데 재료내의 전하가 외부에서 전압을 인가시 재료내에서 자기쌍극자(Magnetic-dipole)를 이루면서 자기적 성질을 갖게됩니다. 또한 외부 자기장이 가해지면 이들 자기쌍극자가 외부자기장에 따라 배열되고 이 외부자기장을 제거한 후에도 특성이 변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재료 특성을 가지는 것을 강자성체라 하며 다른 말로는 영구자석이라 합니다. 자세한 내용을 참고할 수 있는 사이트 소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