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약의 구성성분을 알 수 있나요?

실제 판매되고 있는 약의 구성성분 즉 실제 약물과 그 밖의 부형제의 양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7
  • 답변

    김도형님의 답변

    전에 필요해서 우연히 찾았던 것인데, 의약정보센터 KIMS 온라인에 가시면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 다시 들어가보니 성분정보까지 알려면 유료회원으로 가입해야 되네요...ㅠ,ㅜ 주소는 http://www.kimsonline.co.kr/ 입니다. >실제 판매되고 있는 약의 구성성분 > >즉 실제 약물과 그 밖의 부형제의 양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
    전에 필요해서 우연히 찾았던 것인데, 의약정보센터 KIMS 온라인에 가시면 확인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 다시 들어가보니 성분정보까지 알려면 유료회원으로 가입해야 되네요...ㅠ,ㅜ 주소는 http://www.kimsonline.co.kr/ 입니다. >실제 판매되고 있는 약의 구성성분 > >즉 실제 약물과 그 밖의 부형제의 양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신재욱님의 답변

    KIMS omline이나 DrugInfo같은 곳이 있기는 하나 주성분이나 주성분의 양은 알수가 있으나, 부형제의 종류나 양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회사 고유의 제제방법으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만약 실험자님이 찾으시는 약물이 새로운 종류의 제형이나 신약인 경우면 오히려 특허를 검색하시는 편이 도움이 될 듯합니다. 허지만 특허는 실제 사용하는 것보다 광범위하게 포함되어 있는 단점이 있지민요.
    KIMS omline이나 DrugInfo같은 곳이 있기는 하나 주성분이나 주성분의 양은 알수가 있으나, 부형제의 종류나 양은 어려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회사 고유의 제제방법으로 만들었기 때문입니다. 만약 실험자님이 찾으시는 약물이 새로운 종류의 제형이나 신약인 경우면 오히려 특허를 검색하시는 편이 도움이 될 듯합니다. 허지만 특허는 실제 사용하는 것보다 광범위하게 포함되어 있는 단점이 있지민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풍석님의 답변

    실제 의약품에 사용된 성분(주성분+첨가제)의 종류 및 사용량을 알 수 있는 방법은 허가증을 보는 방법외에는 없지요. 사용된 첨가제의 종류는 외국(특히 미국)의 제품 사용설명서를 참고하시고, 사용된 양은 아래 답변과 같이 특허(제제특허)를 통해서 짐작(?) 할 수 있겠습니다.
    실제 의약품에 사용된 성분(주성분+첨가제)의 종류 및 사용량을 알 수 있는 방법은 허가증을 보는 방법외에는 없지요. 사용된 첨가제의 종류는 외국(특히 미국)의 제품 사용설명서를 참고하시고, 사용된 양은 아래 답변과 같이 특허(제제특허)를 통해서 짐작(?) 할 수 있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손재운님의 답변

    >실제 판매되고 있는 약의 구성성분 > >즉 실제 약물과 그 밖의 부형제의 양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 시판되고 있는 약물과 부형제, 그리고 각종 량과 제조 공정은 식약청 등재자료입니다. 이는 연구 개발의 성과이기 때문에 구한다는 자체가 좀 그렇죠. 하지만 대조약의 경우 부형제의 종류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제네릭 하는 회사는 이 정도는 기본입니다. 한국과 달리 미국은 의약품 정보를 제공해야하고 제공합니다. (대조약의 경우 영문 설명서에 부형제의 종류를 표기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또한, FDA 홈페이지에서는 각 약물별 용출 기준에 대해서도 알려줍니다.) 중요한 한 가지. 동일한 부형제, 동일한 부형제의 양을 사용하더라도 제조 공정의 기기 및 조건에 따라 전혀 다른 약물이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식약청에서는 공정 validation이라는 작업을 요구하게 된겁니다. 식약청에서 이제 저런 사실을 알게된것이죠.
    >실제 판매되고 있는 약의 구성성분 > >즉 실제 약물과 그 밖의 부형제의 양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 시판되고 있는 약물과 부형제, 그리고 각종 량과 제조 공정은 식약청 등재자료입니다. 이는 연구 개발의 성과이기 때문에 구한다는 자체가 좀 그렇죠. 하지만 대조약의 경우 부형제의 종류는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제네릭 하는 회사는 이 정도는 기본입니다. 한국과 달리 미국은 의약품 정보를 제공해야하고 제공합니다. (대조약의 경우 영문 설명서에 부형제의 종류를 표기하게끔 되어 있습니다.) (또한, FDA 홈페이지에서는 각 약물별 용출 기준에 대해서도 알려줍니다.) 중요한 한 가지. 동일한 부형제, 동일한 부형제의 양을 사용하더라도 제조 공정의 기기 및 조건에 따라 전혀 다른 약물이 만들어집니다. 따라서, 식약청에서는 공정 validation이라는 작업을 요구하게 된겁니다. 식약청에서 이제 저런 사실을 알게된것이죠.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실제 판매되고 있는 약의 구성성분 > >즉 실제 약물과 그 밖의 부형제의 양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 부형제의 종류는 insert paper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지만 부형제의 양까지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실제 의약품 허가증으로 확인하는 방법밖에 없으나 이는 제조사와 식약청에서만 보관하고 있어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제화를 위한 것이라면 원료상에 요청하면 아마도 곧바로 구해줄 것으로 생각되네요.
    >실제 판매되고 있는 약의 구성성분 > >즉 실제 약물과 그 밖의 부형제의 양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 부형제의 종류는 insert paper를 통해 확인이 가능하지만 부형제의 양까지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는 없는 것으로 알고 있구요. 실제 의약품 허가증으로 확인하는 방법밖에 없으나 이는 제조사와 식약청에서만 보관하고 있어 어렵지 않을까 싶습니다. 제제화를 위한 것이라면 원료상에 요청하면 아마도 곧바로 구해줄 것으로 생각되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실제 판매되고 있는 약의 구성성분 > >즉 실제 약물과 그 밖의 부형제의 양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첨부 자료를 참고바랍니다.
    >실제 판매되고 있는 약의 구성성분 > >즉 실제 약물과 그 밖의 부형제의 양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첨부 자료를 참고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실제 판매되고 있는 약의 구성성분 > >즉 실제 약물과 그 밖의 부형제의 양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 실제 약물의 부형제 성분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참고하세요.
    >실제 판매되고 있는 약의 구성성분 > >즉 실제 약물과 그 밖의 부형제의 양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 실제 약물의 부형제 성분을 정리한 자료입니다. 참고하세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