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12
org.kosen.entty.User@2d3f34c8
정윤석(tjrvtjr)
- 3
sustained release를 하려고 tablet 제조시 보통 hpmc 를 넣는데
어떤 약은 hpmc가 약물보다 많고 어떤 약은 hpmc가 약물보다 더 적습니다.
그 차이는 뭔가요? 혹시 약물의 특성 때문인가요?
그렇다면 어떤 특성때문 인가요?
- hpmc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2010-01-12- 3
>sustained release를 하려고 tablet 제조시 보통 hpmc 를 넣는데 > >어떤 약은 hpmc가 약물보다 많고 어떤 약은 hpmc가 약물보다 더 적습니다. > >그 차이는 뭔가요? 혹시 약물의 특성 때문인가요? > >그렇다면 어떤 특성때문 인가요? HPMC는 molecular weight에 따라 여러 등급이 있습니다. 약물의 용해도, 용출율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HPMC양은 많을 수록 정제의 붕해속도가 느려지기때문에 용해도가 높은 약물에 유리하구요, 용해도가 떨어진다면 HPMC만으로는 서방제 설계가 어렵구요. 다공성 부형제도 함께 써주어서 약물의 붕해속도는 늦추면서 약물의 방출속도는 빠르게 조절해 주어야 합니다.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09-04-13- 0
일반적으로 서방성 제제의 경우 혈중 약물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장시간 효과가 지속되도록 만든 약물 제형의 한가지 입니다. 따라서, 물론 약물의 종류 및 특성, 약효에 따라서 매트릭스의 양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약물의 특성이라 함은 고유한 활성 약물 (active compounds)의 안정성 (반감기), 유효 농도, 장내에서의 흡수 정도 등을 들 수 있겠지요. >sustained release를 하려고 tablet 제조시 보통 hpmc 를 넣는데 > >어떤 약은 hpmc가 약물보다 많고 어떤 약은 hpmc가 약물보다 더 적습니다. > >그 차이는 뭔가요? 혹시 약물의 특성 때문인가요? > >그렇다면 어떤 특성때문 인가요? -
답변
손재운님의 답변
2009-04-15- 0
>sustained release를 하려고 tablet 제조시 보통 hpmc 를 넣는데 > >어떤 약은 hpmc가 약물보다 많고 어떤 약은 hpmc가 약물보다 더 적습니다. > >그 차이는 뭔가요? 혹시 약물의 특성 때문인가요? > >그렇다면 어떤 특성때문 인가요? 만약, 동일한 약물이 동일한 용출을 보이는데 HPMC 량이 다르다고 한다면 grade의 차이(점도 차이)라 생각 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서방정의 경우 1일 1회 복용하는 것이 대부분이지만 약물 자체가 서방화처럼 용출 패턴을 보이는 것도 있습니다. 일례로, 위에서 잘 녹고 장에서 잘 녹지 않는 약물의 경우 장용코팅만으로도 서방화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