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13
org.kosen.entty.User@73491e7f
정윤석(tjrvtjr)
- 4
보통 약물의 방출이 몇 %이상이 되어야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 할 수 있나요?
- 최고 혈중 농도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2010-01-12- 2
>보통 약물의 방출이 몇 %이상이 되어야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 할 수 있나요? 약물의 방출은 100%로 제제설계하는 것이므로 당연 100% 방출이 되어야 할 것 같구요. 최고혈중농도는 방출량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흡수량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약물의 용해, 용출율도 중요하구요. 단순히 방출 %에 최고혈중농도 도달한다라는 공식은 성립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
답변
손재운님의 답변
2009-04-15- 0
>보통 약물의 방출이 몇 %이상이 되어야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 할 수 있나요? 1. 약물 방출에 대한 생각 약물의 방출의 %는 투입한 량에 대한 단위입니다. 가령 1회 복용량이 10mg인 경우 50%방출되면 5mg이 나왔다고 볼 수있죠. 하지만 식약청에서는 4가지 액의 용출자료를 요구하며 그것은 pH 1.2, 4.0.6.8, 정제수입니다. 약물에 따라 pH에 의존적으로 용출이 달라지는 약물이 있고, 동일한 약물도 있습니다. 또한 난용성으로 분류(4액에서 85%이상 도달하지 않는 약물)되는 약물은 가용화제인 tween 80,이나 SLS를 사용하여 기시법을 잡도록 하고 있습니다. 약물의 방출되는 양이 흡수되고 방출되지 않는 것이 흡수가 되지 않는 다고는 말하지 못합니다. (물론 첫번째로 약물이 방출되어야 하고, 녹아야 하지만, 흡수는 지용성 약물이 더 잘되니깐요) 2. 혈중 농도에 대한 생각 혈중 농도는 말 그래도 혈액 내 약물의 농도를 측정한 것입니다. 경구 투여 약물은 방출 -> 흡수 (위나 소장) -> 간 대사 -> 혈액을 통한 조직분포(타켓 조직)으로 이동합니다. 따라서, 혈중 농도는 조직분포를 많이 하는 약물의 경우 낮을 수 있습니다. 이것이 반감기와 클리어런스가 다른 이유입니다. 3.종합 약물의 방출 %을 최고 혈중농도로 상관 짓기 보다는 흡수와 상관 지어야 할것 같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13- 0
첨부파일
참고 자료를 첨부합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17- 0
>보통 약물의 방출이 몇 %이상이 되어야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 할 수 있나요? 이상적으로는 loading한 약물이 모두 방출될 경우가 약물 전달의 효율성이 극대화가 되게 됩니다. 그러나 그런 경우는 거의 없고 대신 약물의 안정성을 높여서 원하는 타겟에서 약효를 나타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최고 혈중 농도에 도달하는 문제도 약물의 안정성과 같은데, 혈중에서 가급적이면 분해되지 않도록 protect하는 약물전달체를 이용하게 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 파일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