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Cell line(293T)에 처리할 화합물의 농도를 희석

배지가 들어있는 화합물을 293t cell에 처리하여서 MTS assay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그러나 문제가 좀있는것 같아 질문을 드립니다. DMSO에 고농도로 녹아있는 화합물을 배지(DMEM) 또는 DW를 이용해 농도를 희석하려고 하는데 위 두가지를 이용하여 희석하였더니, 화합물을 넣자마자 뿌옇게 변하는 것이였습니다. 왜 화합물을 희석하는데 색깔이 뿌옇게 될까요? 그리고 뿌옇게 변한걸 실험에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요?
  • cell culture
  • compound dilu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물론 안됩니다. 뿌옇게 흐려졌다는 것은 분산된 상태 (micelle 또는 emulsion)이지 완전히 수용액 상에 녹아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부분적인 농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입니다. 따라서, 적당한 농도까지 희석하여 DMSO (or ethanol etc.)에 녹이실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지용성이 강한 화합물을 세포에 처리해주실 경우에는 carrier protein으로 BSA (bovine serum albumin)을 일정량 섞어주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배지가 들어있는 화합물을 293t cell에 처리하여서 MTS assay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 >그러나 문제가 좀있는것 같아 질문을 드립니다. > >DMSO에 고농도로 녹아있는 화합물을 배지(DMEM) 또는 DW를 이용해 농도를 희석하려고 하는데 위 두가지를 이용하여 희석하였더니, 화합물을 넣자마자 뿌옇게 변하는 것이였습니다. >왜 화합물을 희석하는데 색깔이 뿌옇게 될까요? >그리고 뿌옇게 변한걸 실험에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요?
    물론 안됩니다. 뿌옇게 흐려졌다는 것은 분산된 상태 (micelle 또는 emulsion)이지 완전히 수용액 상에 녹아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부분적인 농도에 있어서 차이를 보입니다. 따라서, 적당한 농도까지 희석하여 DMSO (or ethanol etc.)에 녹이실 필요가 있습니다. 보통 지용성이 강한 화합물을 세포에 처리해주실 경우에는 carrier protein으로 BSA (bovine serum albumin)을 일정량 섞어주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배지가 들어있는 화합물을 293t cell에 처리하여서 MTS assay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 >그러나 문제가 좀있는것 같아 질문을 드립니다. > >DMSO에 고농도로 녹아있는 화합물을 배지(DMEM) 또는 DW를 이용해 농도를 희석하려고 하는데 위 두가지를 이용하여 희석하였더니, 화합물을 넣자마자 뿌옇게 변하는 것이였습니다. >왜 화합물을 희석하는데 색깔이 뿌옇게 될까요? >그리고 뿌옇게 변한걸 실험에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신재욱님의 답변

    뿌옇게 변한다는 것은 아마 화합물의 화합물의 용해도가 떨어져서 생기는 현상 같습니다. 용해도가 떨어지면 화합물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는 상태로 될 것 같기 때문에 제 생각에는 완전한 assay가 되지 않을 거으로 생각되어집니다. 만일, 그렇다면 첨가 최고 농도를 DMSO로 희석해 놓고 농도를 줄일때는 시료 볼륨을 줄인다든지(그러면 control이 여러개가 되어 힘듬) 아니면 DMSO로 희석하고 control로 화합물이 없는 DMSO만을 첨가하여 나온 수치를 대조구로 사용하여 계산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또한 화합물이 몇 %의 DMSO이상에서 뿌연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지 확인하시고 그 농도부터 assay하시는 것도 괜잖을 듯합니다. 물론 그 %DMSO의 control은 있어야 하구요. 왜냐하면 DMSO가 세포증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야 하니까요. 성공적인 실험이 되시길...
    뿌옇게 변한다는 것은 아마 화합물의 화합물의 용해도가 떨어져서 생기는 현상 같습니다. 용해도가 떨어지면 화합물이 완전히 용해되지 않는 상태로 될 것 같기 때문에 제 생각에는 완전한 assay가 되지 않을 거으로 생각되어집니다. 만일, 그렇다면 첨가 최고 농도를 DMSO로 희석해 놓고 농도를 줄일때는 시료 볼륨을 줄인다든지(그러면 control이 여러개가 되어 힘듬) 아니면 DMSO로 희석하고 control로 화합물이 없는 DMSO만을 첨가하여 나온 수치를 대조구로 사용하여 계산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또한 화합물이 몇 %의 DMSO이상에서 뿌연 현상이 나타나지 않는지 확인하시고 그 농도부터 assay하시는 것도 괜잖을 듯합니다. 물론 그 %DMSO의 control은 있어야 하구요. 왜냐하면 DMSO가 세포증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여야 하니까요. 성공적인 실험이 되시길...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용원님의 답변

    유기화합물이 DMSO에 녹여져 있을 경우 이를 이용한 실험시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1. 유기화합물의 수용성 정도 2. 최종 희석액에서 DMSO의 농도 3. 최종 분석 방법이 DMSO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여부 1과 관련하여서는 예를들어 10 mM in DMSO 화합물을 DPBS나 세포배양 배지와 같이 물로 준비된 용액에 희석할때, 유의해야 합니다. 1 mM 용액이 필요한데, 원액을 1/10로 희석하였을 때, 용액이 혼탁해지거나 침전물이 생긴다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는 화합물의 원액 농도를 더 높여서(예를 들어, 100 mM)이를 이용하여 1/100으로 희석한다듣지 하는 시도를 해 보아야 합니다. 요즘은 인터넷을 뒤져보면 웬만한 화합물의 용해도를 찾을 수 있으니 이를 참고하시면 더 좋을 것입니다. 2와 관련하여서는 DMSO 농도가 높은 경우 세포 독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개 최종 배지 혹은 처리 용액에서 DMSO 농도가 1%를 넘지 않도록 하느는 것이 좋습니다. 3과 관련하여서는 assay 방법에 따라서는 DMSO가 함유도 농도에 따라 분석 결과에 원치않는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미리 확인하시고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정확한 결과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배지가 들어있는 화합물을 293t cell에 처리하여서 MTS assay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 >그러나 문제가 좀있는것 같아 질문을 드립니다. > >DMSO에 고농도로 녹아있는 화합물을 배지(DMEM) 또는 DW를 이용해 농도를 희석하려고 하는데 위 두가지를 이용하여 희석하였더니, 화합물을 넣자마자 뿌옇게 변하는 것이였습니다. >왜 화합물을 희석하는데 색깔이 뿌옇게 될까요? >그리고 뿌옇게 변한걸 실험에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요?
    유기화합물이 DMSO에 녹여져 있을 경우 이를 이용한 실험시 다음과 같은 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1. 유기화합물의 수용성 정도 2. 최종 희석액에서 DMSO의 농도 3. 최종 분석 방법이 DMSO에 의해 영향을 받는지 여부 1과 관련하여서는 예를들어 10 mM in DMSO 화합물을 DPBS나 세포배양 배지와 같이 물로 준비된 용액에 희석할때, 유의해야 합니다. 1 mM 용액이 필요한데, 원액을 1/10로 희석하였을 때, 용액이 혼탁해지거나 침전물이 생긴다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이와 같은 경우는 화합물의 원액 농도를 더 높여서(예를 들어, 100 mM)이를 이용하여 1/100으로 희석한다듣지 하는 시도를 해 보아야 합니다. 요즘은 인터넷을 뒤져보면 웬만한 화합물의 용해도를 찾을 수 있으니 이를 참고하시면 더 좋을 것입니다. 2와 관련하여서는 DMSO 농도가 높은 경우 세포 독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대개 최종 배지 혹은 처리 용액에서 DMSO 농도가 1%를 넘지 않도록 하느는 것이 좋습니다. 3과 관련하여서는 assay 방법에 따라서는 DMSO가 함유도 농도에 따라 분석 결과에 원치않는 영향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미리 확인하시고 분석을 진행하는 것이 정확한 결과를 얻는데 도움이 될 겁니다. >배지가 들어있는 화합물을 293t cell에 처리하여서 MTS assay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 >그러나 문제가 좀있는것 같아 질문을 드립니다. > >DMSO에 고농도로 녹아있는 화합물을 배지(DMEM) 또는 DW를 이용해 농도를 희석하려고 하는데 위 두가지를 이용하여 희석하였더니, 화합물을 넣자마자 뿌옇게 변하는 것이였습니다. >왜 화합물을 희석하는데 색깔이 뿌옇게 될까요? >그리고 뿌옇게 변한걸 실험에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전정용님의 답변

    윗분들 말처럼 농도를 더 희석하시는게 좋을거 같구요 DMSO에 꼭 섞지 않고 미리 처리 한 후에 실험하시는것은 어떨런지요 >배지가 들어있는 화합물을 293t cell에 처리하여서 MTS assay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 >그러나 문제가 좀있는것 같아 질문을 드립니다. > >DMSO에 고농도로 녹아있는 화합물을 배지(DMEM) 또는 DW를 이용해 농도를 희석하려고 하는데 위 두가지를 이용하여 희석하였더니, 화합물을 넣자마자 뿌옇게 변하는 것이였습니다. >왜 화합물을 희석하는데 색깔이 뿌옇게 될까요? >그리고 뿌옇게 변한걸 실험에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요?
    윗분들 말처럼 농도를 더 희석하시는게 좋을거 같구요 DMSO에 꼭 섞지 않고 미리 처리 한 후에 실험하시는것은 어떨런지요 >배지가 들어있는 화합물을 293t cell에 처리하여서 MTS assay를 진행하려고 합니다. > >그러나 문제가 좀있는것 같아 질문을 드립니다. > >DMSO에 고농도로 녹아있는 화합물을 배지(DMEM) 또는 DW를 이용해 농도를 희석하려고 하는데 위 두가지를 이용하여 희석하였더니, 화합물을 넣자마자 뿌옇게 변하는 것이였습니다. >왜 화합물을 희석하는데 색깔이 뿌옇게 될까요? >그리고 뿌옇게 변한걸 실험에 사용해도 아무런 문제가 없을까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