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22
org.kosen.entty.User@37b5a685
박선영(pgene)
- 1
제가 BCA 정량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량을 정량하였는데...이 샘플에 대한 정확한 단백질량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도통 모르겠어서요.
우선 샘플에 대한 BCA 정량 후 OD값과 단백질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dilution(농도) result(단백질량) values(O.D값)
750 230.395 0.362
500 156.498 0.259
250 78.836 0.144
이 샘플 희석은 원래 농도가 0.44 mg/ml인데
제가 계산 실수로 0.833mg/ml을 기준으로 750/500/250농도 기준으로 희석을 하여
측정한 값입니다.
당연 원액은 측정하지 않았구요.
그리고 BSA에 대한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농도 value
1500 1.790
1000 1.278
750 0.984
500 0.703
250 0.393
125 0.225
25 0.046
위의 자료를 토대로 0.44 mg/ml 샘플에 해당되는 단백질량을 계산하길 원합니다.
자세한 계산법까지 답변해 주시면 너무나 감사하겠습니다.
부탁드립니다....급합니다...
-------------------------------------------------------------------
위에 750, 500, 250은 볼륨이 아닌 농도를 의미합니다.
0.833을 위의 농도로 희석해서 측정을 한 값입니다...
그리고 BSA 값은 스탠다드 값이구요.
이해가 잘 안가요~~
- protei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황현두님의 답변
2009-04-22- 0
>제가 BCA 정량법을 이용하여 단백질 량을 정량하였는데...이 샘플에 대한 정확한 단백질량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도통 모르겠어서요. >우선 샘플에 대한 BCA 정량 후 OD값과 단백질량은 아래와 같습니다. > >dilution result(단백질량) values(O.D값) > 750 230.395 0.362 > 500 156.498 0.259 > 250 78.836 0.144 > >이 샘플 희석은 원래 농도가 0.44 mg/ml인데 >제가 계산 실수로 0.833mg/ml을 기준으로 750/500/250농도 기준으로 희석을 하여 >측정한 값입니다. >당연 원액은 측정하지 않았구요. > >그리고 BSA에 대한 것은 아래와 같습니다. > >농도 value >1500 1.790 >1000 1.278 > 750 0.984 > 500 0.703 > 250 0.393 > 125 0.225 > 25 0.046 > >위의 자료를 토대로 0.44 mg/ml 샘플에 해당되는 단백질량을 계산하길 원합니다. >자세한 계산법까지 답변해 주시면 너무나 감사하겠습니다. >부탁드립니다....급합니다... 질문에서의 정보가 부족하여 제가 이해한데까지만 답변을 올리자면, stock solution의 농도를 0.44 ug/ul로 하셨고, 이를 750ul 준비하여 buffer와 dilution하여 OD를 측정하였을때 그 값이 0.984로 측정이 된 것인지요? 0.44 ug/ul이 아니라 0.833ug/ul로 잘못계산하셨다고 하니... 0.833 ug/ul * 750 ul = 624.75 ug의 단백질양에 대해 OD 값이 0.984 라고 하였을 때.. 여러번의 측정을 통해 OD=a*단백질양+b 와 같은 standard curve가 얻어질 것입니다. 이 때 측정하신 OD 값 얻어지는 0.362을 standard curve에 넣고 얻어지는 단백질 양이 230.395 ug이 되는 것 같습니다. (이 때는 0.833 ug/ul로 계산..) standard curve를 어떻게 구하셨는지는 모르지만.. 그냥 750 ul volume에 대한 OD값을 적용한다면.. 0.362/0.984*750ul*0.833ug/ul = 229.837 ug 으로 구해지죠. 아마 standard curve 식을 이용한다면 위 값(230.395 ug)이 나왔을 것 같네요. 그럼 이제 0.833 ug/ul이 아닌 0.44ug/ul로 계산해보면, 0.44ug/ul * 750 ul = 330 ug 에 대해 OD가 0.984로 측정된 것입니다. 이런식으로 위 표를 생각했을 때, standard curve는 X축을 0.44/0.833배 해준 것과 같은 curve가 되겠지요. 즉 기울기가 0.833/0.44배인 standard curve를 생각하셔야 될 것입니다. 따라서 위에서 구해진 단백질 양에 0.44/0.833을 곱해주면 될 것 같네요. (사실 standard curve 식을 제대로 알면 더 정확한 계산이 될 것 같습니다만..) 일단은 standard curve가 아닌 750 ul 의 OD값으로만 계산해보겠습니다. 0.362/0.984*750ul*0.44ug/ul = 121.402 ug 입니다. (=0.44/0.833*229.837u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