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4-24
org.kosen.entty.User@63d8588d
박재성(chrisrub)
- 2
sephadex LH-20컬럼으로 식물추출물을 분획후 흡광도에 따라 분획물을 합치기 위해
UV-spectrophotometer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습니다.
작은 스케일의 실험에서는 흡광도가 분획물별로 예를 들어 1에서 3까지 다양한 흡광도를
나타내었습니다. 그러나 scaling-up을 한 이번 실험에서는 모든 분획물의 흡광도가
3이상을 나타내었습니다. 심지어는 처음 void volume에서 용출된 분획물의 흡광도도
3이상인 최대흡광도를 나타내었습니다.
이런 현상이 혹시 컬럼의 오염에서 비롯된 것인가요?
P.S : 컬럼제조시 먼저 sephadex 50g을 가지고 컬럼을 만든뒤
scaling-up을 하기 위해 컬럼에서 sephadex를 뺀 후 30g을 더 swelling 시켜
이전의 것과 합친후 다시 컬럼을 제조하였습니다.
그리고 분획시 컬럼에 공기가 자주 차 sephadex 뺀 후 재패킹도 3~4회
실시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오는 오염에 의한 것일까요?
혹 컬럼이 오염되었다면 그 해결방안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간절히 답변 부탁드립니다. Sephadex의 가격도 그렇거니와 그동안 여기에
쏟아부은 시간이ㅠㅠ 너무 무지한 상태에서 실험을 시작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 sephadex LH-20
- gel filtr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9-04-24- 2
>sephadex LH-20컬럼으로 식물추출물을 분획후 흡광도에 따라 분획물을 합치기 위해 > >UV-spectrophotometer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습니다. > >작은 스케일의 실험에서는 흡광도가 분획물별로 예를 들어 1에서 3까지 다양한 흡광도를 > >나타내었습니다. 그러나 scaling-up을 한 이번 실험에서는 모든 분획물의 흡광도가 > >3이상을 나타내었습니다. 심지어는 처음 void volume에서 용출된 분획물의 흡광도도 > >3이상인 최대흡광도를 나타내었습니다. > >이런 현상이 혹시 컬럼의 오염에서 비롯된 것인가요? > >P.S : 컬럼제조시 먼저 sephadex 50g을 가지고 컬럼을 만든뒤 > > scaling-up을 하기 위해 컬럼에서 sephadex를 뺀 후 30g을 더 swelling 시켜 > > 이전의 것과 합친후 다시 컬럼을 제조하였습니다. > > 그리고 분획시 컬럼에 공기가 자주 차 sephadex 뺀 후 재패킹도 3~4회 > > 실시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오는 오염에 의한 것일까요? > > 혹 컬럼이 오염되었다면 그 해결방안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 간절히 답변 부탁드립니다. Sephadex의 가격도 그렇거니와 그동안 여기에 > > 쏟아부은 시간이ㅠㅠ 너무 무지한 상태에서 실험을 시작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Small scale에서는 흡광도가 1-3사이로 나온것으로 보아서 large scale에서는 분획속에 들어 있는 추출물들의 양이 많아서 그런것으로 보입니다. 레진하고는 흡광도가 관계는 없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small scale로 여러번 하는 방법을 권장합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25- 0
>sephadex LH-20컬럼으로 식물추출물을 분획후 흡광도에 따라 분획물을 합치기 위해 > >UV-spectrophotometer로 각각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습니다. > >작은 스케일의 실험에서는 흡광도가 분획물별로 예를 들어 1에서 3까지 다양한 흡광도를 > >나타내었습니다. 그러나 scaling-up을 한 이번 실험에서는 모든 분획물의 흡광도가 > >3이상을 나타내었습니다. 심지어는 처음 void volume에서 용출된 분획물의 흡광도도 > >3이상인 최대흡광도를 나타내었습니다. > >이런 현상이 혹시 컬럼의 오염에서 비롯된 것인가요? > >P.S : 컬럼제조시 먼저 sephadex 50g을 가지고 컬럼을 만든뒤 > > scaling-up을 하기 위해 컬럼에서 sephadex를 뺀 후 30g을 더 swelling 시켜 > > 이전의 것과 합친후 다시 컬럼을 제조하였습니다. > > 그리고 분획시 컬럼에 공기가 자주 차 sephadex 뺀 후 재패킹도 3~4회 > > 실시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오는 오염에 의한 것일까요? > > 혹 컬럼이 오염되었다면 그 해결방안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 > 간절히 답변 부탁드립니다. Sephadex의 가격도 그렇거니와 그동안 여기에 > > 쏟아부은 시간이ㅠㅠ 너무 무지한 상태에서 실험을 시작하지 않았나 생각이 듭니다 참고자료
저도 분획물의 농도가 높아서 그런게 아닌가 생각해 보았으나, -small scale에서의 시료양이 현재와와 약1ml 밖에 차이가 안나고, -시료로딩후, 초반에 용출되는 즉, void volume의 흡광도도 3 이상이 나온지라...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