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O(propylene oxide)의 polarity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PO(propylene oxide)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pH나 pKa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마땅한 자료를 찾지 못하여 질문드립니다. PO의 polarity나 pH/pKa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꼭 좀 부탁드립니다. 안녕히계세요.
  • PO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찾고자 하는 답변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1)polarity: propylene oxide나 ethylene oxide와 같은 물질은 고분자량화 될수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polarity는 없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을 poloxamer molecular라고 총칭하고 있음. (2)pH : 8.1 로써 알카리쪽에 해당 (3)pKa : acid constant로써 알카리에는 해당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몇가지 참고자료를 첨부합니다.
    찾고자 하는 답변이 맞는지 모르겠습니다> (1)polarity: propylene oxide나 ethylene oxide와 같은 물질은 고분자량화 될수있는 물질이기 때문에 polarity는 없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물질을 poloxamer molecular라고 총칭하고 있음. (2)pH : 8.1 로써 알카리쪽에 해당 (3)pKa : acid constant로써 알카리에는 해당이 없다고 할 수 있습니다. 몇가지 참고자료를 첨부합니다.

    답글 감사드립니다~^-^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PO(propylene oxide)의 pH나 pKa에 대한 정보를 저도 관심이 있는 것이어서 찾아본적이 있지만 너무 어렵더군요. 특히 C-H 결합의 pKa값에 대해선 관심이 많습니다. 알려진 자료가 없다는게 문제긴 합니다. 앞서 답변한 분이 pH 근거자료로 올려주신 자료는 오류가 많은 사이트에서 인용하신 겁니다. 제 경험상 chemland21 이라는 사이트에 올려져 있는 자료 중에는 잘못된 데이터가 굉장히 많습니다. 내용도 동의하기 어렵구요. PO의 구조로부터 basic material 이라고 생각할만한 부분을 찾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온화되기 어려운 물질이쟎습니까? 굳이 pH값이 필요하시다면 직접 측정하시는 방법이 좋겠습니다. 물을 용매로 사용하신다면요.....
    PO(propylene oxide)의 pH나 pKa에 대한 정보를 저도 관심이 있는 것이어서 찾아본적이 있지만 너무 어렵더군요. 특히 C-H 결합의 pKa값에 대해선 관심이 많습니다. 알려진 자료가 없다는게 문제긴 합니다. 앞서 답변한 분이 pH 근거자료로 올려주신 자료는 오류가 많은 사이트에서 인용하신 겁니다. 제 경험상 chemland21 이라는 사이트에 올려져 있는 자료 중에는 잘못된 데이터가 굉장히 많습니다. 내용도 동의하기 어렵구요. PO의 구조로부터 basic material 이라고 생각할만한 부분을 찾을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온화되기 어려운 물질이쟎습니까? 굳이 pH값이 필요하시다면 직접 측정하시는 방법이 좋겠습니다. 물을 용매로 사용하신다면요.....

    pH가 시간에 따라 변한다는 것은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로 인한 것입니다. PO 자체가 나타내는 pH가 아닌 것입니다. PO 같은 epoxide계 화합물은 산성 수용액에서 불안정합니다. 친핵성 부가반응에 의해 gylcol로 전환되기 때문이죠. glycol 역시 수용액의 산도를 증가시키는 물질은 아닙니다.

    답글 감사드립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첨부파일

    PO의 pH가 정확히 맞지 않는 것이 옳습니다. 왜냐하면 PO가 물과 혼합되면 가수분해되면서 계속 다른 물질로 전이되어 가기 때문에 어느시점의 pH를 PO의 정확한 pH로 하느냐 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먼저 PO에는 반감기라는 개념이 도입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pH7~9인 용액에서의 반감기는 약 11일인데, 이보다 더 낮은 pH에서는 반감기가 6일 정도로 떨어진다는 예도 있습니다. PO의 oxide가 계속 proton과 반응하여 물질의 성질이 변화하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산성용액에서의 proton의 활동계수가 높으므로) 이상과 같이 적용할려고 하는 standard를 정하여 이를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pH를 측정하여 결과치를 적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PO의 pH가 정확히 맞지 않는 것이 옳습니다. 왜냐하면 PO가 물과 혼합되면 가수분해되면서 계속 다른 물질로 전이되어 가기 때문에 어느시점의 pH를 PO의 정확한 pH로 하느냐 하는 것이 문제입니다. 먼저 PO에는 반감기라는 개념이 도입된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pH7~9인 용액에서의 반감기는 약 11일인데, 이보다 더 낮은 pH에서는 반감기가 6일 정도로 떨어진다는 예도 있습니다. PO의 oxide가 계속 proton과 반응하여 물질의 성질이 변화하기 때문으로 생각됩니다. (산성용액에서의 proton의 활동계수가 높으므로) 이상과 같이 적용할려고 하는 standard를 정하여 이를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pH를 측정하여 결과치를 적용하는 것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답글 감사드립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안녕하세요. > >PO(propylene oxide)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pH나 pKa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마땅한 자료를 찾지 못하여 질문드립니다. > >PO의 polarity나 pH/pKa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꼭 좀 부탁드립니다. > >안녕히계세요. > PO의 알려진 pH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pH라는 것은 H+의 농도를 측정한 지표이기 때문에 PO자체가 물에 녹지도 않을 뿐더라 이것이 H+을 방출할 수 없기 때문이죠. 따라서 pH와 pKa는 정확한 자료화된 문헌이 없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 >PO(propylene oxide)를 정제하는 과정에서 pH나 pKa 정보가 필요하게 되었는데 마땅한 자료를 찾지 못하여 질문드립니다. > >PO의 polarity나 pH/pKa에 대한 정보가 있다면 꼭 좀 부탁드립니다. > >안녕히계세요. > PO의 알려진 pH는 없습니다. 왜냐하면 pH라는 것은 H+의 농도를 측정한 지표이기 때문에 PO자체가 물에 녹지도 않을 뿐더라 이것이 H+을 방출할 수 없기 때문이죠. 따라서 pH와 pKa는 정확한 자료화된 문헌이 없을 것입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