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모형매립지 Lysimeter 운영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모형매립지로 라이즈미터를 운영하려 합니다. 구상할수록 의문점이 상당히 많은데요. 1. 폐기물 수분함량을 40-50%로 유지하기 위해서 침출수 주입 주기는 하루가 좋은가요 ? 아님 주마다 주입하는게 좋은가요? 2. 혐기성 상태의 침출수 주입을 위해서 어떤 방법이 좋은가요? 배출되는 침출수를 밀폐된 통에 모아서 바로 재순환하는게 나은지...아님 온도를 최적 으로 맞추어 재순환하는게 좋은건지 3. 대부분 PVC 재질을 이용해 만들던데 온도유지할수 있는 방에 없을 시 온도 유지는 어떻 게 하나요? PVC 자체가 열선으로는 안되기에...
  • 발생가스 포집
  • 폐기물 충전크기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문철환님의 답변

    고생이 많으시네요. 모형매립지를 lysimeter로 만드는게 쉬운일은 아닙니다. 제가 했던 몇 가지 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수분함? 40-50%: 이게 제일 어려운 문제입니다. 일단은 수분함량을 40-50%로 맞추는거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폐기물의 무게를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험기간 동안 폐기물이 분해되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게 그걸 확인할 길이 없습니다. 또한 센서로 수분 함량을 측정하시겠지만, 아마도 위치별로 수분 함량이 틀리기 때문에 어떤 것을 기준으로 할지도 문제이기도 합니다. 다만 질문자께서 문의하신 부분에 대해서는 일단은 주기적이라면 상관없다고 보여지지만, 가능하다면 하루하루 하는 것이 그나마 일정한 함수량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2. 질문을 보니 침출수 재순환 실험을 하시는 것으로 보여지네요. 온도는 그리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일단은 현장 적용시 침출수를 재순환하더라도 온도를 올려서 재순환 할꺼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너무 낮은 온도만 아니라면 온도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이 되고요, 혹시나 산소가 녹아들어갈 수 있으니 주입전 질소가스로 purging을 한 후에 주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모형매립조의 온도 유지가 가장 어려운 문제인것 같습니다. 여름이라면 상관없겠지만 겨울철에는 실내라 할지라도 온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모형매립조 주위를 호수로 둘러싼 후 양동이 같은 곳에 물을 받아놓은 후 일정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물을 데워 주는 장치(이름이 생각이 안나네요!!)를 위치시킨 후 호수를 펌프와 연결한 후에 양동이에서 데워진 물이 계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장치를 만들었습니다. 돈이 조금 많이 들어갑니다. 펌프와 호수를 연결하여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메니폴더, 그리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급탕장치까지 있어야 하니말이죠. 더구나, 대조군도 포함되어야 하니까요. 저도 이렇게 해서 몇 개월 만에 모형매립조를 만들었던것 같습니다. 그럼 좋은 결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고생이 많으시네요. 모형매립지를 lysimeter로 만드는게 쉬운일은 아닙니다. 제가 했던 몇 가지 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1. 수분함? 40-50%: 이게 제일 어려운 문제입니다. 일단은 수분함량을 40-50%로 맞추는거 자체가 불가능합니다. 폐기물의 무게를 알고 있다고 하더라도 실험기간 동안 폐기물이 분해되는 것을 고려해야 하는게 그걸 확인할 길이 없습니다. 또한 센서로 수분 함량을 측정하시겠지만, 아마도 위치별로 수분 함량이 틀리기 때문에 어떤 것을 기준으로 할지도 문제이기도 합니다. 다만 질문자께서 문의하신 부분에 대해서는 일단은 주기적이라면 상관없다고 보여지지만, 가능하다면 하루하루 하는 것이 그나마 일정한 함수량을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2. 질문을 보니 침출수 재순환 실험을 하시는 것으로 보여지네요. 온도는 그리 중요한 것이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일단은 현장 적용시 침출수를 재순환하더라도 온도를 올려서 재순환 할꺼라고 생각되지 않습니다. 너무 낮은 온도만 아니라면 온도는 문제가 없다고 생각이 되고요, 혹시나 산소가 녹아들어갈 수 있으니 주입전 질소가스로 purging을 한 후에 주입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3. 모형매립조의 온도 유지가 가장 어려운 문제인것 같습니다. 여름이라면 상관없겠지만 겨울철에는 실내라 할지라도 온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저 같은 경우에는 모형매립조 주위를 호수로 둘러싼 후 양동이 같은 곳에 물을 받아놓은 후 일정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물을 데워 주는 장치(이름이 생각이 안나네요!!)를 위치시킨 후 호수를 펌프와 연결한 후에 양동이에서 데워진 물이 계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도록 장치를 만들었습니다. 돈이 조금 많이 들어갑니다. 펌프와 호수를 연결하여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메니폴더, 그리고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급탕장치까지 있어야 하니말이죠. 더구나, 대조군도 포함되어야 하니까요. 저도 이렇게 해서 몇 개월 만에 모형매립조를 만들었던것 같습니다. 그럼 좋은 결과 있기를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