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06
org.kosen.entty.User@4ce873df
김인기(perspex)
- 2
제가 해야하는 실험의 프로토콜입니다. 우선 Pentacarboxylporphyrin I dihydrochloride가 배달되어 올겁니다. 그러면 이걸 KOH에 녹이고보관 하는것 까지는 알겠습니다.
문제는 Pentaphorphyrin을 만들어야 하는데, Na-amalgam과 섞은 뒤에 질소를 이용해서 무엇을 하라는 것인지 전혀 감이 오지를 않네요.
KOH에 녹인 물질과 Na-amalgam을 섞은 뒤에, 여기에 N2 gas를 주입하라고 하는데요. 주사기가 나오고, 바늘이 나오고, 그런건 알겠는데, 일반적으로 N2 liquid를 그냥 바로 사용하지는 않잖아요. N2를 보관할 때 생기는 흰색기체 (액체위에 떠다니는)를 튜브에 주입하라는건지, 아니면 액체를 직접 섞으라는건지 (아닌듯) 감이 오지를 않습니다. N2 purge라고 보른다던데, 혹시 아시는 분 계시면 해석을 부탁드립니다.
Pentacarboxylporphyrin I dihydrochloride (Frontier Scientific, Inc., cat. no. P769-ID) was dissolved in 0.01 M KOH, and the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spectrophotometrically at 403 nm using an extinction coefficient of ε = 478 000 M?1 cm?1. This solution can be stored at 4 °C in a light-tight box for up to 1 month. Pentaporphyrinogen I was prepared4 by adding 200 μL of porphyrin solution (typically 200 μM) to a vial with a Teflon septum-lined screw cap. Sodium amalgam (Sigma-Aldrich, cat. no. 451894-10G) (4?6 particles) was added, and the vial was wrapped with foil to exclude light. The cap was loosened, a needle from the N2 source was inserted through the septum into the airspace above the solution, and N2 was allowed to flow for ~20 s before the cap was tightened and the needle removed. The solution was placed on a vortex mixer for ~5 min until the solution became colorless (foil removed temporarily). Two times during this mixing period, the vial was purged with N2 as above.
- Reduction with N2 liquid
- N2 purg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김영일님의 답변
2009-05-06- 0
>제가 해야하는 실험의 프로토콜입니다. 우선 Pentacarboxylporphyrin I dihydrochloride가 배달되어 올겁니다. 그러면 이걸 KOH에 녹이고보관 하는것 까지는 알겠습니다. > >문제는 Pentaphorphyrin을 만들어야 하는데, Na-amalgam과 섞은 뒤에 질소를 이용해서 무엇을 하라는 것인지 전혀 감이 오지를 않네요. >KOH에 녹인 물질과 Na-amalgam을 섞은 뒤에, 여기에 N2 gas를 주입하라고 하는데요. 주사기가 나오고, 바늘이 나오고, 그런건 알겠는데, 일반적으로 N2 liquid를 그냥 바로 사용하지는 않잖아요. N2를 보관할 때 생기는 흰색기체 (액체위에 떠다니는)를 튜브에 주입하라는건지, 아니면 액체를 직접 섞으라는건지 (아닌듯) 감이 오지를 않습니다. N2 purge라고 보른다던데, 혹시 아시는 분 계시면 해석을 부탁드립니다. > > >Pentacarboxylporphyrin I dihydrochloride (Frontier Scientific, Inc., cat. no. P769-ID) was dissolved in 0.01 M KOH, and the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spectrophotometrically at 403 nm using an extinction coefficient of ε = 478 000 M?1 cm?1. This solution can be stored at 4 °C in a light-tight box for up to 1 month. Pentaporphyrinogen I was prepared4 by adding 200 μL of porphyrin solution (typically 200 μM) to a vial with a Teflon septum-lined screw cap. Sodium amalgam (Sigma-Aldrich, cat. no. 451894-10G) (4?6 particles) was added, and the vial was wrapped with foil to exclude light. The cap was loosened, a needle from the N2 source was inserted through the septum into the airspace above the solution, and N2 was allowed to flow for ~20 s before the cap was tightened and the needle removed. The solution was placed on a vortex mixer for ~5 min until the solution became colorless (foil removed temporarily). Two times during this mixing period, the vial was purged with N2 as above. -
답변
조윤환님의 답변
2009-05-06- 0
언급되는 물질들이 생소해 정확한 것은 모르겠으나 N2를 purging 하라는 뜻입니다. 올려 주신 프로토콜은 Pentacarboxylporphyrin I dihydrochloride를 KOH에 녹여 HCl을 제거한 다음 이를 Na-amalgam과 반응시켜 Pentaporphyrin으로 전환시키는 과정인가 봅니다. 화합물 이름으로 추측컨데 Pentacarboxylporphyrin는 carboxyl group(COOH)를 5개 가진 포피린 유도체인가 봅니다. 이것에서 carboxyl group이 모두 제거된 물질이 Pentaporphyrin 이고요. Na-amalgam은 환원성 제거반응(reductiv elimination)을 잘 유도하는 reagnet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엔 CO2가 제거되는 decarboxylation을 유도해서 alkene(이중결합)이 생성될 겁니다. Na-amalgam을 이용한 환원성 제거반응의 경우 전자의 교환이 매우 활발하게 일어나는 반응으로, 일종의 라디칼 반응(radical reaction)으로 이해하시면 쉬울 듯 합니다. 이 경우 라디칼과 잘 반응하는 화학종, 즉 radical scavenger 같은 것이 존재할 경우 반응이 중간에 멈춰 버려 의도한 방향으로 진행하지 않게 됩니다. 공기 중에 존재하는 산소 역시 이러한 화학종 중 하나 입니다. 프로토콜에서 질소를 주입하라고 한 것은 바로 이런 이유에섭니다. vail에 용액을 주입하고 남은 공간은 공기로 채워 집니다. 때문에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산소를 제거해 주어야 반응이 잘 진행될 수 있겠죠? vial cap을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주입하라고 되어 있는 것은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액체질소를 주입하라는 말은 아니라 질소 기체를 주입하라는 말입니다. 액체 질소 말고 압력조절장치가 달려있는 질소 가스통(cylinder)을 사용해야 합니다. 쉽게 말하면 질소를 흘려 주는 겁니다. cap을 느슨하게 푼 상태에서 질소를 주사바늘을 이용해 vial에 주입하면, 질소가 흐르면서 vial 내부에 공기를 가지고 나가버리죠. 그러면 질소만 남게 되겠죠. 충분히 흘려 주시는 것 잊지 마시구요. 질소의 압력이 너무 세면 실험을 시작도 못해보고 망칠 수 있습니다. 증류수만 가진고 미리 연습해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참고로 용액을 제조할 때 사용할 증류수에도 산소가 녹아 있으므로 용존 산소를 미리 제거하여 사용하시면 더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겁니다. 용존 산소는 0.25 um 여과지로 여과 한 후 초음파를 인가하거나 헬륨을 purging하면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용존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헬륨 purging은 그냥 흘려주는 위 프로토콜과 달리 다공체를 이용해서 증류수 내부로 가스를 흘려 주어야 합니다. 헬륨 기포를 만들어 증류수 내에 존재하는 산소를 쫓아내는 것이라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시약의 산화 방지 목적으로 시약중의 용종산소 및 바이알의 head space의 공기를 질소개스로 치환시키기 위해 질소개스를 주입하는 것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