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5-06
org.kosen.entty.User@724431c7
문창훈(windkail)
- 3
안녕하세요. 단백질의 표식방법 중 궁금한게 있어서 글 남깁니다.
제가 보는 논문에서 단백질을 표식할때 (35)S-methionine을 넣던데 이것을 쓰는이유가
궁금합니다. 또한 이 methionine을 이용한 표식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날씨가 좋은데 다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methionine
- 표식
- 단백질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09-05-11- 2
단백질의 표지 방법으로는 유기 염료를 이용한 방법 (대표적으로 SDS/PAGE 후에 단백질의 확인에 사용하는 coomassie blue staining)과 방사능 동위 원소 표지 방법 (Radioactive labeling methods), 형광 표지법, 화학발광 표지법 등을 들수 있습니다. 그 중에서 방사능 표지는 3H, 14C, 35S, 32P, 33P, 125I를 단백질에 결합시켜서 전기 영동을 한 후 필름을 이용하여 신호를 검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감마선을 방출하는 동위 원소는 autoradiograhpy를, 베타선을 방출하는 동위 원소는 fluorography를 이용하여 검출합니다. 최근에는 storage phosphor imagers와 microchannel plate analyzers가 방사능 표지된 단백질 검출을 위해 필름 대신 사용되고 있으며,생체 내 대사 실험에 많이 사용되어 온 위 기술은 dynamic range가 넓고 민감성이 높은 반면,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제시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세포 대사과정 중에 병합된 [35S]methionine과 같은 방사능 동위 원소는 DNA fragmentation을 유도하고 p53 tumor suppressor 단백질을 증가시키며 세포 및 핵의 형태를 변형시키고 세포 주기를 멈추게 하거나 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고 합니다. 또한, 인체에 유해하여 관리 및 조작 시의 어려움으로 현재 그 사용이 감소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자세한 사항 (35S-methionine의 표지법)은 관련 논문을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아래의 참고논문은 14C와 35S의 비교실험으로 참고가 될 것으로 생각됩니다. Comparison of 14C-amino acid mixture and [35S]methionine labeling of cellular proteins from mouse fibroblast C3H10T1/2 cells by two-dimensional gel electrophoresis.Electrophoresis. 1991 Sep;12(9):658-66. >안녕하세요. 단백질의 표식방법 중 궁금한게 있어서 글 남깁니다. > >제가 보는 논문에서 단백질을 표식할때 (35)S-methionine을 넣던데 이것을 쓰는이유가 > >궁금합니다. 또한 이 methionine을 이용한 표식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 >날씨가 좋은데 다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9-05-07- 0
>안녕하세요. 단백질의 표식방법 중 궁금한게 있어서 글 남깁니다. > >제가 보는 논문에서 단백질을 표식할때 (35)S-methionine을 넣던데 이것을 쓰는이유가 > >궁금합니다. 또한 이 methionine을 이용한 표식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 >날씨가 좋은데 다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보통 commercial한 sulfur-35 labelling reagent(예를 들어서, t-Butoxycarbonyl-L-[35S]-methionine, N-hydroxysuccinimidyl ester)를 사용해서, 최대의 치환율을 얻기위해서, 치환반응이 얼음속에 pre-cooled된 reaction vessel에서 수행되는것이 바람직합니다. 이때 단백질 농도는 5-10mg/ml정도에서 0.1M borate buffer (pH8.5)에 단백질을 녹인 상태에서 수행합니다. 약 30분 후에 치환반응을 끝내기 위해서 0.1M borate buffer (pH 8.5)에 0.2M glycine을 100mL 첨가해서 반응을 중지시킵니다. 그런후에 labeled된 단백질을 chromatograpy로 정제하면 됩니다. 이 때 가장 좋은 정제 크로마토그래피는 FPLC입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2-01- 0
>안녕하세요. 단백질의 표식방법 중 궁금한게 있어서 글 남깁니다. > >제가 보는 논문에서 단백질을 표식할때 (35)S-methionine을 넣던데 이것을 쓰는이유가 > >궁금합니다. 또한 이 methionine을 이용한 표식법에 대해서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 >날씨가 좋은데 다들 즐거운 하루 보내세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첨부자료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