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합금을 압연을 하려고 하는데..

합금을 한 후, 압연을 하려고 하는데 자꾸 깨짐 현상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압연을 하기 전에, SEM으로 이미지 분석을 하니, 상당히 엉망이여서 금속 합금 만드는 과정을 공부하는 도중, Hume-Rothery's rule 을 알게되었습니다. 여기서 결정구조가 동일해야 완전 고용체가 된다고 했는데, 압연을 하기 위해서는 합금이 완전 고용체가 되야 한다고 들었는데, 확실한 증거가 없어 교수님께 설득할 수 없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즉 간결하게 말하면, 압연을 하기 위해 합금이 완전 고용체가 되어야 하는 이유가 첨부된 자료를 좀 올려주시던지, 어디에서 보면 된다고 알려 주셨으면 합니다.
  • 합금
  • 압연
  • 고용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합금시에 금속의 주기율표를 보고 금속 상호간의 상용성을 보아야 합니다(속칭 금속간에 궁합이 맞다,맞지 않다 라고들 말합니다). 이를 Hume-Rothery rules라고 합니다. 이러한 상용성이 맞지 않으면 합금이 brittle하여 부서러지는 경향이 있거나 또는 부서러집니다.
    합금시에 금속의 주기율표를 보고 금속 상호간의 상용성을 보아야 합니다(속칭 금속간에 궁합이 맞다,맞지 않다 라고들 말합니다). 이를 Hume-Rothery rules라고 합니다. 이러한 상용성이 맞지 않으면 합금이 brittle하여 부서러지는 경향이 있거나 또는 부서러집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임영진님의 답변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아.. 그래도 제가 이해가 부족해서.. 어떻게 참고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하려고 하는 것은 Ni0.66Mn0.33 인데, 매번 깨짐 현상이 일어나서 결정구조가 Ni은 FCC, Mn은 BCC 여서 완전 고용이 되지 않아서 계속 깨짐 현상이 일어나는 것 같은데, 확실하지 않아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릴꼐요.
    좋은 자료 감사합니다... 아.. 그래도 제가 이해가 부족해서.. 어떻게 참고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제가 하려고 하는 것은 Ni0.66Mn0.33 인데, 매번 깨짐 현상이 일어나서 결정구조가 Ni은 FCC, Mn은 BCC 여서 완전 고용이 되지 않아서 계속 깨짐 현상이 일어나는 것 같은데, 확실하지 않아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릴꼐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비철금속을 합금할 때 금속의 성질을 사전에 충분히 검토함이 필요합니다. Ni0.66Mn0.33으로 하고자 하는데 이는 Ni2Mn1로써 합금후의 e/a는 (8x2+7x1)/3=7.66 으로써 합금의 상태도에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Hume-Rothery rule의 15%rule에서 Ni의 원자 반경:150pm,MN:127pm로 Ni내에 Mn이 치밀하게 들어가야 되는데,이온반경의 차이가 상당히 높은 것 같습니다. Mn금속의 특징은 3d금속중에서 결속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오고 있으며,hardness,strength,toughness가 높은 금속입니다. Ni3Mn1로 바꾸어서 조성을 하여 보시든지 또는 Ni2-Mn1-X1(X:Al,In,Ga)와 같은 조성을 취하여보는 것은 어떻겠습니까.여기에서 X는 결속력을 높여주는 역활을 합니다. 이때의 e/a:(8x2+7x1+3x1)/4=6.5가 나오며,ferro의 특성치에도 일치합니다.
    비철금속을 합금할 때 금속의 성질을 사전에 충분히 검토함이 필요합니다. Ni0.66Mn0.33으로 하고자 하는데 이는 Ni2Mn1로써 합금후의 e/a는 (8x2+7x1)/3=7.66 으로써 합금의 상태도에서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오고 있습니다. 그리고 Hume-Rothery rule의 15%rule에서 Ni의 원자 반경:150pm,MN:127pm로 Ni내에 Mn이 치밀하게 들어가야 되는데,이온반경의 차이가 상당히 높은 것 같습니다. Mn금속의 특징은 3d금속중에서 결속력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오고 있으며,hardness,strength,toughness가 높은 금속입니다. Ni3Mn1로 바꾸어서 조성을 하여 보시든지 또는 Ni2-Mn1-X1(X:Al,In,Ga)와 같은 조성을 취하여보는 것은 어떻겠습니까.여기에서 X는 결속력을 높여주는 역활을 합니다. 이때의 e/a:(8x2+7x1+3x1)/4=6.5가 나오며,ferro의 특성치에도 일치합니다.
    DELETED(kosen77) 2009-05-07

    ㅌㅌㅌㅌㅌ

    DELETED(kosen77) 2009-05-07

    ㅅㅅㅅㅅ

    DELETED(kosen77) 2009-05-07

    5555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합금을 한 후, 압연을 하려고 하는데 자꾸 깨짐 현상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압연을 하기 전에, SEM으로 이미지 분석을 하니, 상당히 엉망이여서 금속 합금 만드는 과정을 공부하는 도중, Hume-Rothery's rule 을 알게되었습니다. >여기서 결정구조가 동일해야 완전 고용체가 된다고 했는데, 압연을 하기 위해서는 합금이 완전 고용체가 되야 한다고 들었는데, 확실한 증거가 없어 교수님께 설득할 수 없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즉 간결하게 말하면, 압연을 하기 위해 합금이 완전 고용체가 되어야 하는 이유가 첨부된 자료를 좀 올려주시던지, 어디에서 보면 된다고 알려 주셨으면 합니다. > 금속결정들의 유동응력이 원자의 결합강도에 기초한 계산에 의한 이론적인 전단강도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타납니다. 그 이유는 금속결정 내에 존재하고 있는 전위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즉 금속결정에 외력이 가해지면 전위의 이동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상적인 전단강도보다도 훨씬 작은 응력에 의해서도 금속결정의 변형이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모든 강화기구는 특별히 놓은 온도의 creep에서 부가되는 인자인 입계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전위의 이동도를 감소시키고, 전위가 결정내에서 어떤 거리만큼 움직이는데 필요한 응력을 상승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용매원자의 격자에 용질원자가 고용되면 순금속바도 강한 합금이 됩니다. 이는 고용체를 형성하면 그것이 치환형 고용체이건 침입형 고용체이건 간에 격자의 뒤틀림 현상이 생기고 따라서 용질원자의 근처에 응력장이 형성됩니다. 참고할 만한 자료 첨부합니다.
    >합금을 한 후, 압연을 하려고 하는데 자꾸 깨짐 현상이 일어납니다. >그래서 압연을 하기 전에, SEM으로 이미지 분석을 하니, 상당히 엉망이여서 금속 합금 만드는 과정을 공부하는 도중, Hume-Rothery's rule 을 알게되었습니다. >여기서 결정구조가 동일해야 완전 고용체가 된다고 했는데, 압연을 하기 위해서는 합금이 완전 고용체가 되야 한다고 들었는데, 확실한 증거가 없어 교수님께 설득할 수 없어서 이렇게 글을 올립니다. > >즉 간결하게 말하면, 압연을 하기 위해 합금이 완전 고용체가 되어야 하는 이유가 첨부된 자료를 좀 올려주시던지, 어디에서 보면 된다고 알려 주셨으면 합니다. > 금속결정들의 유동응력이 원자의 결합강도에 기초한 계산에 의한 이론적인 전단강도에 비해 상당히 낮게 나타납니다. 그 이유는 금속결정 내에 존재하고 있는 전위 때문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즉 금속결정에 외력이 가해지면 전위의 이동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기 때문에 이상적인 전단강도보다도 훨씬 작은 응력에 의해서도 금속결정의 변형이 생기는 것입니다. 따라서 모든 강화기구는 특별히 놓은 온도의 creep에서 부가되는 인자인 입계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전위의 이동도를 감소시키고, 전위가 결정내에서 어떤 거리만큼 움직이는데 필요한 응력을 상승시키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용매원자의 격자에 용질원자가 고용되면 순금속바도 강한 합금이 됩니다. 이는 고용체를 형성하면 그것이 치환형 고용체이건 침입형 고용체이건 간에 격자의 뒤틀림 현상이 생기고 따라서 용질원자의 근처에 응력장이 형성됩니다. 참고할 만한 자료 첨부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