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FT-IR로 OH기 분석(free OH와 수소결합된 OH기 구분)

첨부파일


FT-IR로 OH기를 분석하던 중.. 문헌에는 Free OH는 3700~3450cm-1 // intermolecular bonded OH는 3150~3550cm-1 라고 나와있던데요.. 제가 찍은 것은 개질 전에는 3248cm-1이었는데 개질 후에는 3434cm-1입니다. 이것을... 개질 전에는 수소결합(intermolecular bonded)된 OH기들 이었다가 개질 후에는 free OH기들로 바뀌었다고 해석해도 괜찮을까요? 너무 끼워 맞춘 느낌이 들기도 하네요..^^;
  • FT-IR
  • OH group
  • Free OH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FT-IR로 OH기를 분석하던 중.. > >문헌에는 >Free OH는 3700~3450cm-1 // intermolecular bonded OH는 3150~3550cm-1 라고 나와있던데요.. > > >제가 찍은 것은 개질 전에는 3248cm-1이었는데 개질 후에는 3434cm-1입니다. > >이것을... 개질 전에는 수소결합(intermolecular bonded)된 OH기들 이었다가 >개질 후에는 free OH기들로 바뀌었다고 해석해도 괜찮을까요? > >너무 끼워 맞춘 느낌이 들기도 하네요..^^; > 개질반응이 OH group에 targeting이 되었다면 해석이 맞을 수는 있을거 같군요.. 하지만 개질 전후의 IR 측정에 사용된 시료의 양의 차이가 날 경우에는 OH stretching region이 단지 분석 양의 차이만으로도 약간은 차이가 날 수 있으니 1-2차례 반복 실험으로 재확인이 필요할거 같습니다.
    >FT-IR로 OH기를 분석하던 중.. > >문헌에는 >Free OH는 3700~3450cm-1 // intermolecular bonded OH는 3150~3550cm-1 라고 나와있던데요.. > > >제가 찍은 것은 개질 전에는 3248cm-1이었는데 개질 후에는 3434cm-1입니다. > >이것을... 개질 전에는 수소결합(intermolecular bonded)된 OH기들 이었다가 >개질 후에는 free OH기들로 바뀌었다고 해석해도 괜찮을까요? > >너무 끼워 맞춘 느낌이 들기도 하네요..^^; > 개질반응이 OH group에 targeting이 되었다면 해석이 맞을 수는 있을거 같군요.. 하지만 개질 전후의 IR 측정에 사용된 시료의 양의 차이가 날 경우에는 OH stretching region이 단지 분석 양의 차이만으로도 약간은 차이가 날 수 있으니 1-2차례 반복 실험으로 재확인이 필요할거 같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FT-IR로 OH기를 분석하던 중.. > >문헌에는 >Free OH는 3700~3450cm-1 // intermolecular bonded OH는 3150~3550cm-1 라고 나와있던데요.. > > >제가 찍은 것은 개질 전에는 3248cm-1이었는데 개질 후에는 3434cm-1입니다. > >이것을... 개질 전에는 수소결합(intermolecular bonded)된 OH기들 이었다가 >개질 후에는 free OH기들로 바뀌었다고 해석해도 괜찮을까요? > >너무 끼워 맞춘 느낌이 들기도 하네요..^^; > 첨부자료
    >FT-IR로 OH기를 분석하던 중.. > >문헌에는 >Free OH는 3700~3450cm-1 // intermolecular bonded OH는 3150~3550cm-1 라고 나와있던데요.. > > >제가 찍은 것은 개질 전에는 3248cm-1이었는데 개질 후에는 3434cm-1입니다. > >이것을... 개질 전에는 수소결합(intermolecular bonded)된 OH기들 이었다가 >개질 후에는 free OH기들로 바뀌었다고 해석해도 괜찮을까요? > >너무 끼워 맞춘 느낌이 들기도 하네요..^^; > 첨부자료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