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수소결합

제가 사용하고자하는 천연고분자가 상당히 많은 양의 OH 그룹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OH 그룹 때문에 일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intra- 혹은 inter- molecular chain 들끼리 자기 맘대로 hydrogen bonding을 형성해서 어려움이 있습니다. 물리적인 혹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이 수소결합을 끓어 버리고 싶은데...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 수소결합
  • 수소결합
  • 수소결합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제가 사용하고자하는 천연고분자가 상당히 많은 양의 OH 그룹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그런데 이 OH 그룹 때문에 일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 >intra- 혹은 inter- molecular chain 들끼리 자기 맘대로 hydrogen bonding을 형성해서 어려움이 있습니다. > >물리적인 혹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이 수소결합을 끓어 버리고 싶은데... >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Hydroxyl group이 많이 있는 폴리머라면 derivatization을 시켜보시기 바랍니다. 즉 수소결합력이 없는 다양한 치환체들을 조사하시어 유도체화 반응을 고려해 보세요. 한가지 방법으로 methyl group을 치환체로 연결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네요. 만약 사용하는 폴리머가 물에 잘 녹는 물질이라면 특정 pH에서 +나 - charge를 보일 수 있는 치환체 결합시에 전체적인 conformation에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제가 사용하고자하는 천연고분자가 상당히 많은 양의 OH 그룹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그런데 이 OH 그룹 때문에 일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 >intra- 혹은 inter- molecular chain 들끼리 자기 맘대로 hydrogen bonding을 형성해서 어려움이 있습니다. > >물리적인 혹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이 수소결합을 끓어 버리고 싶은데... >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Hydroxyl group이 많이 있는 폴리머라면 derivatization을 시켜보시기 바랍니다. 즉 수소결합력이 없는 다양한 치환체들을 조사하시어 유도체화 반응을 고려해 보세요. 한가지 방법으로 methyl group을 치환체로 연결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겠네요. 만약 사용하는 폴리머가 물에 잘 녹는 물질이라면 특정 pH에서 +나 - charge를 보일 수 있는 치환체 결합시에 전체적인 conformation에 변화가 생길 수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제가 사용하고자하는 천연고분자가 상당히 많은 양의 OH 그룹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그런데 이 OH 그룹 때문에 일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 >intra- 혹은 inter- molecular chain 들끼리 자기 맘대로 hydrogen bonding을 형성해서 어려움이 있습니다. > >물리적인 혹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이 수소결합을 끓어 버리고 싶은데... >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고분자 자체가 가지고 있는 OH기는 공유결합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를 취환하여 제거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제가 사용하고자하는 천연고분자가 상당히 많은 양의 OH 그룹을 가지고 있습니다. > >그런데 이 OH 그룹 때문에 일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 >intra- 혹은 inter- molecular chain 들끼리 자기 맘대로 hydrogen bonding을 형성해서 어려움이 있습니다. > >물리적인 혹은 화학적인 방법으로 이 수소결합을 끓어 버리고 싶은데... >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고수님들의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고분자 자체가 가지고 있는 OH기는 공유결합을 이루고 있으므로 이를 취환하여 제거한다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