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04
org.kosen.entty.User@5ed9a3c8
박승훈(tarackps)
- 4
제가 지금 MBR에 대해 공부를 하고있는데요
이게 장점이
.경제적처리공정
.소유부지 면적 감소
.처리수질의 안정성
.유지관리 용이
.잉여슬러지 발생량 감소등 그밖에 여러가지가 있는걸로 압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처리에 있어서
질산화 측면에서는 탁월하나 인제거 관점에는 불리한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막요염 현상등을 들수있는데
제가 생각하기에는 경제적이나 면적감소 안정성 유지관리용이 머 이런거 많아봐야
막오염부분이 아직 확실히 좋다고 나온것은 없는것으로 알고 있으며
인제능력이 떨어지면 경쟁력 측면에서 많이 떨어지는것 같은게 저의 생각입니다.
MBR의 경쟁력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및 생각좀 정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역사나 배경 원리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보충설명해주시면 더욱 감사..
- MBR
- 경쟁력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9-06-30- 0
첨부 자료를 참고바랍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10-01-12- 0
>제가 지금 MBR에 대해 공부를 하고있는데요 >이게 장점이 >.경제적처리공정 >.소유부지 면적 감소 >.처리수질의 안정성 >.유지관리 용이 >.잉여슬러지 발생량 감소등 그밖에 여러가지가 있는걸로 압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처리에 있어서 >질산화 측면에서는 탁월하나 인제거 관점에는 불리한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막요염 현상등을 들수있는데 > >제가 생각하기에는 경제적이나 면적감소 안정성 유지관리용이 머 이런거 많아봐야 >막오염부분이 아직 확실히 좋다고 나온것은 없는것으로 알고 있으며 >인제능력이 떨어지면 경쟁력 측면에서 많이 떨어지는것 같은게 저의 생각입니다. >MBR의 경쟁력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및 생각좀 정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역사나 배경 원리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보충설명해주시면 더욱 감사.. > 답변: 1970년대의 제1세대 MBR에서 1990년대의 제2세대를 거쳐 제 3세대의 MBR로 접어 들었습니다. 경제성에 많은 발전을 해 온 것이 사실입니다. 제 3세대는 제2세대 흡입펌프를 이용하는 방식에서 막분리 장치의 상부 수두를 이용해 동력 소모를 줄이고 활성슬러지에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해 파울링을 제어하는 방식. 특징으로는 부지 소요 면적이 이전 기술보다 작고, 정밀여과막을 주로 사용하며, 자연압(대기압), 사이폰을 이용해 낮은 동력(0.06~0.13 kwh㎥)이 소요되도록 되어 있습니다. 위 사이트에서 국내 발전현황 및 전망에 대해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합니다. -
답변
이익환님의 답변
2010-01-12- 0
>제가 지금 MBR에 대해 공부를 하고있는데요 >이게 장점이 >.경제적처리공정 >.소유부지 면적 감소 >.처리수질의 안정성 >.유지관리 용이 >.잉여슬러지 발생량 감소등 그밖에 여러가지가 있는걸로 압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처리에 있어서 >질산화 측면에서는 탁월하나 인제거 관점에는 불리한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막요염 현상등을 들수있는데 > >제가 생각하기에는 경제적이나 면적감소 안정성 유지관리용이 머 이런거 많아봐야 >막오염부분이 아직 확실히 좋다고 나온것은 없는것으로 알고 있으며 >인제능력이 떨어지면 경쟁력 측면에서 많이 떨어지는것 같은게 저의 생각입니다. >MBR의 경쟁력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및 생각좀 정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역사나 배경 원리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보충설명해주시면 더욱 감사.. > 답변: 이론적인 면과 비교하여 관련회사 사이트에서 현실적인 면을 확인해 보세요..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26- 0
>제가 지금 MBR에 대해 공부를 하고있는데요 >이게 장점이 >.경제적처리공정 >.소유부지 면적 감소 >.처리수질의 안정성 >.유지관리 용이 >.잉여슬러지 발생량 감소등 그밖에 여러가지가 있는걸로 압니다 >하지만 단점으로는 처리에 있어서 >질산화 측면에서는 탁월하나 인제거 관점에는 불리한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리고 막요염 현상등을 들수있는데 > >제가 생각하기에는 경제적이나 면적감소 안정성 유지관리용이 머 이런거 많아봐야 >막오염부분이 아직 확실히 좋다고 나온것은 없는것으로 알고 있으며 >인제능력이 떨어지면 경쟁력 측면에서 많이 떨어지는것 같은게 저의 생각입니다. >MBR의 경쟁력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및 생각좀 정리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역사나 배경 원리에 대해서도 자세하게 보충설명해주시면 더욱 감사.. > BMR의 장점을 설명한 자료 첨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