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stress-induced crystallization을 연구하기위한 유변학적 방법이 무엇인가요?

제목 그대로 stress-induced crystallization을 연구하기 위한 유변학적 방법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 crystallization
  • 유변학
  • 결정화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성일님의 답변

    >제목 그대로 stress-induced crystallization을 연구하기 위한 유변학적 방법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 >저는 산업결정화 전공이지만, 고분자 관련 결정화는 많은 경험이 없지만, 제너럴한 범위에서 답변드립니다. 고분자가 crystalline이나 semicrystalline이 되기 위해서는 핵생성 및 결정성장 단계에서 분자배향이 일정하게 조성되는 단계를 거쳐야하는데 이 과정을 어떻게 제어하느냐에 따라 물성이 변화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결정화공정에서는 과포화도가 핵생성 및 결정성장 모델을 정의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임. 과포화도를 제어하는 기술에 따라서 냉각결정화, 비용매-용매혼합결정화, 증발결정화, 추출결정화, 부가결정화, 초음파를 이용한 결정화, 테일러메이드방법에 의한 결정화 등등으로 분류됨. 고분자 stress-induced crystallization에 적용되는 기술은 용융결정화와 용액결정화 등을 들 수 있음. 용융결정화에서 과포화도제어(유변학적 방법)요소는 과냉각도(super-cooling), 냉각속도(cooling rate)가 중요하며 때에 따라서는 교반속도 및 방법, 계면활정제등이 사용될 수 있음. 용액결정화에서 과포화도제어(유변학적 방법)요소는 용매종류, 용매조성비, 과냉각도(super-cooling), 냉각속도(cooling rate), 교반방법 및 속도가 중요하며 때에 따라서는 계면활정제등이 사용될 수 있음. 공통사항으로, 물성및 최종제품사양에 따른 결정화 장치 형태도 중요함. 유변학적인 변수를 과포화도의 인자에 포괄시켜 핵생성 및 결정성장 모델식 도출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편리함(Mersmann(독일)의 Crystallization technology handbook 참조) 이상입니다.
    >제목 그대로 stress-induced crystallization을 연구하기 위한 유변학적 방법에 대해 알고싶습니다. > >저는 산업결정화 전공이지만, 고분자 관련 결정화는 많은 경험이 없지만, 제너럴한 범위에서 답변드립니다. 고분자가 crystalline이나 semicrystalline이 되기 위해서는 핵생성 및 결정성장 단계에서 분자배향이 일정하게 조성되는 단계를 거쳐야하는데 이 과정을 어떻게 제어하느냐에 따라 물성이 변화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결정화공정에서는 과포화도가 핵생성 및 결정성장 모델을 정의하는데 아주 중요한 요소임. 과포화도를 제어하는 기술에 따라서 냉각결정화, 비용매-용매혼합결정화, 증발결정화, 추출결정화, 부가결정화, 초음파를 이용한 결정화, 테일러메이드방법에 의한 결정화 등등으로 분류됨. 고분자 stress-induced crystallization에 적용되는 기술은 용융결정화와 용액결정화 등을 들 수 있음. 용융결정화에서 과포화도제어(유변학적 방법)요소는 과냉각도(super-cooling), 냉각속도(cooling rate)가 중요하며 때에 따라서는 교반속도 및 방법, 계면활정제등이 사용될 수 있음. 용액결정화에서 과포화도제어(유변학적 방법)요소는 용매종류, 용매조성비, 과냉각도(super-cooling), 냉각속도(cooling rate), 교반방법 및 속도가 중요하며 때에 따라서는 계면활정제등이 사용될 수 있음. 공통사항으로, 물성및 최종제품사양에 따른 결정화 장치 형태도 중요함. 유변학적인 변수를 과포화도의 인자에 포괄시켜 핵생성 및 결정성장 모델식 도출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편리함(Mersmann(독일)의 Crystallization technology handbook 참조) 이상입니다.
    서미래(ilvy23) 2009-06-08

    감사합니다 ^^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