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09
org.kosen.entty.User@27f16d95
고재영(nazca71)
- 3
천연물에서 유효성분을 분리하는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타켓으로 하는 천연물에 탄닌성분이 많습니다, 유효성분을 분리하고자 LH-20를 썼더니 전체적으로 물질 elution 속도가 매우 느리며 아예 컬럼에 색깔이 먹어서 제거도 잘 안되더군요. 보통 LH-20가 저분자 물질을 분리하는데 쓰인다고 해서 방법을 바꾸어
sephadex G시리즈를 써보려고 합니다. G시리즈 보통 분리하는 물질의 분자량에 따라 다른것을 쓴다고 여러 참고자료 나와 있는데요.
첫번째 목적은 추출물 내에 탄닌성분제거 입니다. 물론 추출물에 화학적 처리를 최소화 하는 방향에서요. 만약 G시리즈를 썼을때 분자량이 큰 탄닌성분은 어떻게 분리되는지 또 작은 저분자 물질들은 용출이 빨리 되는지 아니면 큰 분자 물질들이 다 용출된후 나오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두번째는 탄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 방법은 무엇인지요.
감사합니다.
- 천연물
- 탄닌
- sephadex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2009-06-09- 0
잘 아시다시피 탄닌은 gallic acid나 flavone 등을 기본으로 하는 거대 분자의 폴리페놀입니다. 이 때문에 종종 유효성분과 결합하고 있는 경우도 있으며, 분리 과정에서 목적하시는 유효성분의 소실을 가져올 수도 있기 때문에 정제시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습니다. 참고하실 만한 자료를 두 가지 첨부하였습니다. 하나는 sephadex G25를 이용한 tea extracts의 size exclusion chromatography와 관련된 자료이며, 다른 하나는 collagen fiber adsorbant를 이용한 식물 추출물 내의 탄닌 제거에 관련된 자료입니다. 또한, "Preparative chromatography technique (Springer)"라는 서적을 참고하시면 고전적인 탄닌 제거 방법에 대해서 자세한 설명을 접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물에서 유효성분을 분리하는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타켓으로 하는 천연물에 탄닌성분이 많습니다, 유효성분을 분리하고자 LH-20를 썼더니 전체적으로 물질 elution 속도가 매우 느리며 아예 컬럼에 색깔이 먹어서 제거도 잘 안되더군요. 보통 LH-20가 저분자 물질을 분리하는데 쓰인다고 해서 방법을 바꾸어 >sephadex G시리즈를 써보려고 합니다. G시리즈 보통 분리하는 물질의 분자량에 따라 다른것을 쓴다고 여러 참고자료 나와 있는데요. > >첫번째 목적은 추출물 내에 탄닌성분제거 입니다. 물론 추출물에 화학적 처리를 최소화 하는 방향에서요. 만약 G시리즈를 썼을때 분자량이 큰 탄닌성분은 어떻게 분리되는지 또 작은 저분자 물질들은 용출이 빨리 되는지 아니면 큰 분자 물질들이 다 용출된후 나오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두번째는 탄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 방법은 무엇인지요. > >감사합니다. >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25- 0
첨부파일
>천연물에서 유효성분을 분리하는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타켓으로 하는 천연물에 탄닌성분이 많습니다, 유효성분을 분리하고자 LH-20를 썼더니 전체적으로 물질 elution 속도가 매우 느리며 아예 컬럼에 색깔이 먹어서 제거도 잘 안되더군요. 보통 LH-20가 저분자 물질을 분리하는데 쓰인다고 해서 방법을 바꾸어 >sephadex G시리즈를 써보려고 합니다. G시리즈 보통 분리하는 물질의 분자량에 따라 다른것을 쓴다고 여러 참고자료 나와 있는데요. > >첫번째 목적은 추출물 내에 탄닌성분제거 입니다. 물론 추출물에 화학적 처리를 최소화 하는 방향에서요. 만약 G시리즈를 썼을때 분자량이 큰 탄닌성분은 어떻게 분리되는지 또 작은 저분자 물질들은 용출이 빨리 되는지 아니면 큰 분자 물질들이 다 용출된후 나오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두번째는 탄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 방법은 무엇인지요. > >감사합니다. > 참고자료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25- 0
>천연물에서 유효성분을 분리하는 실험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타켓으로 하는 천연물에 탄닌성분이 많습니다, 유효성분을 분리하고자 LH-20를 썼더니 전체적으로 물질 elution 속도가 매우 느리며 아예 컬럼에 색깔이 먹어서 제거도 잘 안되더군요. 보통 LH-20가 저분자 물질을 분리하는데 쓰인다고 해서 방법을 바꾸어 >sephadex G시리즈를 써보려고 합니다. G시리즈 보통 분리하는 물질의 분자량에 따라 다른것을 쓴다고 여러 참고자료 나와 있는데요. > >첫번째 목적은 추출물 내에 탄닌성분제거 입니다. 물론 추출물에 화학적 처리를 최소화 하는 방향에서요. 만약 G시리즈를 썼을때 분자량이 큰 탄닌성분은 어떻게 분리되는지 또 작은 저분자 물질들은 용출이 빨리 되는지 아니면 큰 분자 물질들이 다 용출된후 나오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두번째는 탄닌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효과적 방법은 무엇인지요. > >감사합니다. > Sephadex G의 경우는 분자량이 큰 물질이 분자량이 작은 물질보다 더 빨이 용출되게 됩니다. 이런 이유는 Sephadex자체가 다공성 dextran계통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죠..탄닌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Sephadex G로 분리하는것이 효과적으로 제거될 것입니다. 물론 착색이 될 경우에는 depacking해서 washing을 한 후에 사용하면 괜찮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