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09
org.kosen.entty.User@30651feb
홍상훈(hshun69)
- 4
저는 대학의 연구시설(크린룸)을 운영하고 있는 fab manager입니다.(Cleanroom)
우리가 bench marking을 할만한 해외연구센터를 추천하여주십시요.
기본 연구테마는 크린룸 기반의
- 반도체,
- 디스플레이,
- PV(solar cell)
- 나노(바이오를 중심으로)
- 연구테마간의 fusion(융합)기술입니다.
제가 눈여겨 볼 내용은 장비 및 시설 등의 H/W 뿐만 아니라
연구시설의 운영방식, 관련기관(산업체, 관, 학, 연)간의 역할분담, 연구분야간의 융합
기술(협동과정) 등을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반도체
- 디스플레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4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9-06-10- 0
독일의 연구소로써 Fraunhofer-Gesellschaft(FhG)를 추천합니다. 국내에서는 한국생산기술연구원이 FhG와 상호 기술교류에 대하여 MOU를 체결하여 협력하고 있습니다. Site를 접속하시어 전체를 살펴보시고,필요하다면 직접 연락후 방문하여 견학 및 알고자하는 내용에 대하여 관계자로 부터 설명을 들을 수 있습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9-06-10- 0
FhG와 기술사항을 포함한 제반 사항에 대하여 MOU를 체결할 수 있다면, 학교의 연구 기반에 대한 대외image는 세계적으로도 매우 높은 인식도를 얻을 수 있으며, 만일 FhG와 MOU체결을 전제로 한다면 학교에서 알고자 하는 내용에 대하여 사전에 자세한 check-list를 만들어서 이를 FhG에 보내어 상세한 내역의 답변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contact-international). 그리고 MOU가 체결된다면 학교에서 매년 몇명의 학생을 독일에 보내어 대략1주일 정도 견학 및 실습을 할 수 있도록 조치함도 필요합니다(student training). 참고로 FhG는 지금 귀 학교에서 희망하는 사항에서 세계적으로 선도적 연구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
답변
김도형님의 답변
2009-06-11- 0
프랑스 소피아 앙티폴리스를 추천합니다. 워낙 잘 알려져있는 연구단지라 인터넷 상에서도 자료는 많이 찾으실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또 다른 하나는 Ecole Polytechnique(학/연), 파리11대학(학), THALES(산), ALCATEL(산) 등 파리 남부 지역에 위치한 연구기관들이 맺고 있는 공동연구 시스템인데 예를 들어 클린룸은 11대학에 있고 분석 장비는 각 기관이 보유한 설비를 함께 이용하며 공동연구를 하는 시스템입니다. 주요 연구주제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태양전지입니다. 잘 동작하고 있는 시스템이기는 한데 문제는 이런 시스템이 외부에 잘 알려지지도 않았고 어떤 하나의 joint 기관 등에서 조정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자료를 구하기가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이유는 프랑스의 경우 이런 네크워크가 자연스럽게 형성되어 이렇게 여러 기관이 협력연구를 하는 시스템이 잘 구성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다시 말씀드려 워낙 자연스러운 일이기 때문에 특별히 조정기관 같은 것이 없더라도 다수 기관의 협력연구가 잘 되는 것이지요. 두서없이 적고나니 도움이 별로 안되는 것 같아 죄송합니다... >저는 대학의 연구시설(크린룸)을 운영하고 있는 fab manager입니다.(Cleanroom) >우리가 bench marking을 할만한 해외연구센터를 추천하여주십시요. >기본 연구테마는 크린룸 기반의 > - 반도체, > - 디스플레이, > - PV(solar cell) > - 나노(바이오를 중심으로) > - 연구테마간의 fusion(융합)기술입니다. > >제가 눈여겨 볼 내용은 장비 및 시설 등의 H/W 뿐만 아니라 >연구시설의 운영방식, 관련기관(산업체, 관, 학, 연)간의 역할분담, 연구분야간의 융합 >기술(협동과정) 등을 알고 싶습니다. > >감사합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10-01-28- 0
>저는 대학의 연구시설(크린룸)을 운영하고 있는 fab manager입니다.(Cleanroom) >우리가 bench marking을 할만한 해외연구센터를 추천하여주십시요. >기본 연구테마는 크린룸 기반의 > - 반도체, > - 디스플레이, > - PV(solar cell) > - 나노(바이오를 중심으로) > - 연구테마간의 fusion(융합)기술입니다. > >제가 눈여겨 볼 내용은 장비 및 시설 등의 H/W 뿐만 아니라 >연구시설의 운영방식, 관련기관(산업체, 관, 학, 연)간의 역할분담, 연구분야간의 융합 >기술(협동과정) 등을 알고 싶습니다. > >감사합니다. 영국 임페리얼 컬리지, 프랑스 라스미아CNRS, 독일 페르디낸드 브라운 연구소 등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