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압전재료에 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설계를 하던 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서 문의 드립니다. 압전재료를 이용해서 압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led를 밝히는 설계를 하고 있는데요. 제가 받은 정보에는 응력에 대한 전류, 전하량의 수치가 엑셀파일로 나와있습니다. 그리고 압전종이의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sample No : C08-1127-001(90degree) young`s modulus : 3.75GPa sample thickness : 19~20um the value of piezoelectric charge constant : d31 그런데 여기서 제가 궁금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저와 같이 설계를 하는 조원이 압전재료에 힘을 가해서 발생하는 전류와 전하를 찾아 charge(전하)와 induced current(전류)의 값을 찾아내었습니다. 그뒤 물리학 때 배웠던 평행판 축전지의 축전용량을 구하는 식인 C=Q/V 식과 C=e*A/d (d:판사이의 간격 e:두판사이의 유전체 재료의 유전율 A:축전판의 넓이) 을 같다고 놓고 식을 전개해서 V(전압)를 알아내었고 W=VI식을 써서 전력을 계산해 내었습니다. 그런데 저 식을 압전종이의 전력을 계산해 내는데 쓸수가 있는지 궁급합니다. 평행판 축전지는 말그래로 두 평행판이 떨어져 있거나 두 평행판사이에 유전체가 있을때 쓸 수 있는것 아닌가요? 저는 압전종이를 하나의 물질로 알고 있습니다. 제가 잘못알고 있는 건지 아니면 저식을 이용하면 안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추가로 다른 방법으로 전압을 구해야 한다면 그 방법도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이상입니다~^^:
  • 압전재료
  • 압전종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축전용량을 계산하는 것은 맞으나,piezo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의 역활을 하므로 발전용량이 나와야합니다. V=IR,P=VI=I^2R와 같은 식은 발전된 power에서 외부에 저항을 연결하였을 때 사용하는 식으로써 외부회로에 관한 식입니다. film의 상수가 나와 있는데, 이러한 수치와 film에는 AC를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주파수 f=1/(2πRC)를 적용합니다. 이때 C는 축전용량으로써 위의 용량과 같으며, 주파수와 공명(resonance)을 맞추어 주어야 합니다. 이하 이와 같이 적용하는 예제들이 첨부 piezo film-technical manual에 나와 있으므로 직접 계산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축전용량을 계산하는 것은 맞으나,piezo는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기의 역활을 하므로 발전용량이 나와야합니다. V=IR,P=VI=I^2R와 같은 식은 발전된 power에서 외부에 저항을 연결하였을 때 사용하는 식으로써 외부회로에 관한 식입니다. film의 상수가 나와 있는데, 이러한 수치와 film에는 AC를 연결하여 사용하는데 주파수 f=1/(2πRC)를 적용합니다. 이때 C는 축전용량으로써 위의 용량과 같으며, 주파수와 공명(resonance)을 맞추어 주어야 합니다. 이하 이와 같이 적용하는 예제들이 첨부 piezo film-technical manual에 나와 있으므로 직접 계산하여 보시기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정대용님의 답변

    >설계를 하던 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서 문의 드립니다. > >압전재료를 이용해서 압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led를 밝히는 설계를 하고 있는데요. > >제가 받은 정보에는 응력에 대한 전류, 전하량의 수치가 엑셀파일로 나와있습니다. > >그리고 압전종이의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sample No : C08-1127-001(90degree) >young`s modulus : 3.75GPa >sample thickness : 19~20um >the value of piezoelectric charge constant : d31 > >그런데 여기서 제가 궁금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저와 같이 설계를 하는 조원이 압전재료에 힘을 가해서 발생하는 전류와 전하를 찾아 > >charge(전하)와 induced current(전류)의 값을 찾아내었습니다. > >그뒤 물리학 때 배웠던 평행판 축전지의 축전용량을 구하는 식인 > > C=Q/V 식과 C=e*A/d (d:판사이의 간격 e:두판사이의 유전체 재료의 유전율 A:축전판의 넓이) > >을 같다고 놓고 식을 전개해서 V(전압)를 알아내었고 W=VI식을 써서 전력을 계산해 내었습니다. > >그런데 저 식을 압전종이의 전력을 계산해 내는데 쓸수가 있는지 궁급합니다. > >평행판 축전지는 말그래로 두 평행판이 떨어져 있거나 두 평행판사이에 유전체가 > >있을때 쓸 수 있는것 아닌가요? > >저는 압전종이를 하나의 물질로 알고 있습니다. > >제가 잘못알고 있는 건지 아니면 저식을 이용하면 안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추가로 다른 방법으로 전압을 구해야 한다면 그 방법도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상입니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에 관한 자료를 찾아 읽어보시면 잘 이해가 될 것입니다. 한국재료학회지와 www.k-mrs.or.kr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에서 발행하는 2008년, 2007년 관련 내용이 나온 것으로 생각됩니다.
    >설계를 하던 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서 문의 드립니다. > >압전재료를 이용해서 압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led를 밝히는 설계를 하고 있는데요. > >제가 받은 정보에는 응력에 대한 전류, 전하량의 수치가 엑셀파일로 나와있습니다. > >그리고 압전종이의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sample No : C08-1127-001(90degree) >young`s modulus : 3.75GPa >sample thickness : 19~20um >the value of piezoelectric charge constant : d31 > >그런데 여기서 제가 궁금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저와 같이 설계를 하는 조원이 압전재료에 힘을 가해서 발생하는 전류와 전하를 찾아 > >charge(전하)와 induced current(전류)의 값을 찾아내었습니다. > >그뒤 물리학 때 배웠던 평행판 축전지의 축전용량을 구하는 식인 > > C=Q/V 식과 C=e*A/d (d:판사이의 간격 e:두판사이의 유전체 재료의 유전율 A:축전판의 넓이) > >을 같다고 놓고 식을 전개해서 V(전압)를 알아내었고 W=VI식을 써서 전력을 계산해 내었습니다. > >그런데 저 식을 압전종이의 전력을 계산해 내는데 쓸수가 있는지 궁급합니다. > >평행판 축전지는 말그래로 두 평행판이 떨어져 있거나 두 평행판사이에 유전체가 > >있을때 쓸 수 있는것 아닌가요? > >저는 압전종이를 하나의 물질로 알고 있습니다. > >제가 잘못알고 있는 건지 아니면 저식을 이용하면 안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추가로 다른 방법으로 전압을 구해야 한다면 그 방법도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상입니다~^^: 압전 에너지 하베스팅, piezoelectric energy harvesting에 관한 자료를 찾아 읽어보시면 잘 이해가 될 것입니다. 한국재료학회지와 www.k-mrs.or.kr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에서 발행하는 2008년, 2007년 관련 내용이 나온 것으로 생각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설계를 하던 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서 문의 드립니다. > >압전재료를 이용해서 압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led를 밝히는 설계를 하고 있는데요. > >제가 받은 정보에는 응력에 대한 전류, 전하량의 수치가 엑셀파일로 나와있습니다. > >그리고 압전종이의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sample No : C08-1127-001(90degree) >young`s modulus : 3.75GPa >sample thickness : 19~20um >the value of piezoelectric charge constant : d31 > >그런데 여기서 제가 궁금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저와 같이 설계를 하는 조원이 압전재료에 힘을 가해서 발생하는 전류와 전하를 찾아 > >charge(전하)와 induced current(전류)의 값을 찾아내었습니다. > >그뒤 물리학 때 배웠던 평행판 축전지의 축전용량을 구하는 식인 > > C=Q/V 식과 C=e*A/d (d:판사이의 간격 e:두판사이의 유전체 재료의 유전율 A:축전판의 넓이) > >을 같다고 놓고 식을 전개해서 V(전압)를 알아내었고 W=VI식을 써서 전력을 계산해 내었습니다. > >그런데 저 식을 압전종이의 전력을 계산해 내는데 쓸수가 있는지 궁급합니다. > >평행판 축전지는 말그래로 두 평행판이 떨어져 있거나 두 평행판사이에 유전체가 > >있을때 쓸 수 있는것 아닌가요? > >저는 압전종이를 하나의 물질로 알고 있습니다. > >제가 잘못알고 있는 건지 아니면 저식을 이용하면 안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추가로 다른 방법으로 전압을 구해야 한다면 그 방법도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상입니다~^^: Energy harvesting에 관련된 자료 첨부해 드립니다.
    >설계를 하던 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서 문의 드립니다. > >압전재료를 이용해서 압력을 전기에너지로 변환하여 led를 밝히는 설계를 하고 있는데요. > >제가 받은 정보에는 응력에 대한 전류, 전하량의 수치가 엑셀파일로 나와있습니다. > >그리고 압전종이의 정보는 다음과 같습니다. > >sample No : C08-1127-001(90degree) >young`s modulus : 3.75GPa >sample thickness : 19~20um >the value of piezoelectric charge constant : d31 > >그런데 여기서 제가 궁금한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 >저와 같이 설계를 하는 조원이 압전재료에 힘을 가해서 발생하는 전류와 전하를 찾아 > >charge(전하)와 induced current(전류)의 값을 찾아내었습니다. > >그뒤 물리학 때 배웠던 평행판 축전지의 축전용량을 구하는 식인 > > C=Q/V 식과 C=e*A/d (d:판사이의 간격 e:두판사이의 유전체 재료의 유전율 A:축전판의 넓이) > >을 같다고 놓고 식을 전개해서 V(전압)를 알아내었고 W=VI식을 써서 전력을 계산해 내었습니다. > >그런데 저 식을 압전종이의 전력을 계산해 내는데 쓸수가 있는지 궁급합니다. > >평행판 축전지는 말그래로 두 평행판이 떨어져 있거나 두 평행판사이에 유전체가 > >있을때 쓸 수 있는것 아닌가요? > >저는 압전종이를 하나의 물질로 알고 있습니다. > >제가 잘못알고 있는 건지 아니면 저식을 이용하면 안되는지 알고 싶습니다. > >추가로 다른 방법으로 전압을 구해야 한다면 그 방법도 알려주셨으면 좋겠습니다. > >이상입니다~^^: Energy harvesting에 관련된 자료 첨부해 드립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