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혈청에서 적혈구 분리 방법

엽산 분석을 위해 rat의 혈청을 사용하는데요. 채취를 제대로 못했는지 혈청 내의 적혈구가 파괴되어 붉은색으로 액의 색이 변해버렸는데 적혈구를 제거 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가르쳐 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꼭 부탁드려요~!!
  • 혈청
  • 적혈구
  • 분리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전정용님의 답변

    혈액 채취후에 아이스 상태나 냉장상태에서 1~2시간 정도 방치하여 원심분리하거나 상온에서 혈액이 응고 될때까지 방치한 후에 원심분리하시면 적혈구를 제대로 분리하실 수 있을겁니다. 그 이외에 파괴된 적혈구는 ammonium sulfate로 제거합니다 http://www.eng.umd.edu/~nsw/ench485/lab6a.htm#Procedures 참고하세요 >엽산 분석을 위해 rat의 혈청을 사용하는데요. > >채취를 제대로 못했는지 혈청 내의 적혈구가 파괴되어 붉은색으로 액의 색이 변해버렸는데 > >적혈구를 제거 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가르쳐 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꼭 부탁드려요~!!
    혈액 채취후에 아이스 상태나 냉장상태에서 1~2시간 정도 방치하여 원심분리하거나 상온에서 혈액이 응고 될때까지 방치한 후에 원심분리하시면 적혈구를 제대로 분리하실 수 있을겁니다. 그 이외에 파괴된 적혈구는 ammonium sulfate로 제거합니다 http://www.eng.umd.edu/~nsw/ench485/lab6a.htm#Procedures 참고하세요 >엽산 분석을 위해 rat의 혈청을 사용하는데요. > >채취를 제대로 못했는지 혈청 내의 적혈구가 파괴되어 붉은색으로 액의 색이 변해버렸는데 > >적혈구를 제거 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가르쳐 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꼭 부탁드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일반적으로 병원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혈액의 생화학적 검사를 위한 혈청 (Serum)의 분리법은 채혈 샘플을 실온 (25도씨)에서 30분가량 방치하여 혈액을 응고시킨 후 원심분리 (5,000 rpm X 10분)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하여 사용합니다. 또한, 혈장 (Plasma)의 경우 EDTA 또는 헤파린이 처리된 채혈관을 이용하여 혈액의 응고를 방지한 상태에서 원심분리를 통하여 혈구 세포와 혈장을 깨끗하게 분리하실 수 있습니다. 때때로, 소량의 혈액 샘플의 경우 4도씨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서 혈청을 분리하기도 합니다만, 혈액이 응고되기 전에 냉장보관을 할 경우 혈청의 분리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방법이 보다 일반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적혈구의 용혈로 인한 헤모글로빈은 윗 분이 언급하신 ammonium sulfate를 이용하셔서 분리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엽산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 물질이므로 실온에서 혈액을 응고시킨 후에도 24시간 정도 안정하다는 실험 보고가 있었습니다. 참고하세요. >엽산 분석을 위해 rat의 혈청을 사용하는데요. > >채취를 제대로 못했는지 혈청 내의 적혈구가 파괴되어 붉은색으로 액의 색이 변해버렸는데 > >적혈구를 제거 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가르쳐 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꼭 부탁드려요~!!
    일반적으로 병원 등에서 주로 사용하는 혈액의 생화학적 검사를 위한 혈청 (Serum)의 분리법은 채혈 샘플을 실온 (25도씨)에서 30분가량 방치하여 혈액을 응고시킨 후 원심분리 (5,000 rpm X 10분)하여 상등액만을 분리하여 사용합니다. 또한, 혈장 (Plasma)의 경우 EDTA 또는 헤파린이 처리된 채혈관을 이용하여 혈액의 응고를 방지한 상태에서 원심분리를 통하여 혈구 세포와 혈장을 깨끗하게 분리하실 수 있습니다. 때때로, 소량의 혈액 샘플의 경우 4도씨에서 1시간 이상 방치한 후 원심분리를 통해서 혈청을 분리하기도 합니다만, 혈액이 응고되기 전에 냉장보관을 할 경우 혈청의 분리가 원활하게 일어나지 않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방법이 보다 일반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적혈구의 용혈로 인한 헤모글로빈은 윗 분이 언급하신 ammonium sulfate를 이용하셔서 분리하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엽산의 경우 비교적 안정적인 물질이므로 실온에서 혈액을 응고시킨 후에도 24시간 정도 안정하다는 실험 보고가 있었습니다. 참고하세요. >엽산 분석을 위해 rat의 혈청을 사용하는데요. > >채취를 제대로 못했는지 혈청 내의 적혈구가 파괴되어 붉은색으로 액의 색이 변해버렸는데 > >적혈구를 제거 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가르쳐 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꼭 부탁드려요~!!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현선님의 답변

    >엽산 분석을 위해 rat의 혈청을 사용하는데요. > >채취를 제대로 못했는지 혈청 내의 적혈구가 파괴되어 붉은색으로 액의 색이 변해버렸는데 > >적혈구를 제거 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가르쳐 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꼭 부탁드려요~!! 신선한 혈액을 빠르게 분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으로는 혈청과 백혈구 적혈구 모두 분리 가능한 방법입니다. 시그마 제품에 HISTOPAQUE(H8889) 이라는게 있는데 간단히 방법을 알려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단 위에서 말씀드린 제품을 바닥이 둥근 tube(주로 flow cytomety에서 사용하는 tube)에 ml정도 넣고 상온에 둡니다. 2. 그 다음 채취한 혈액을 먼저 넣은 용액에 띄우듯이 넣습니다. 3. 저울로 질량을 재서 밸런스를 맞춥니다. 4. centrifuge를 rpm1500, 15분, no breake로 설정하고 돌립니다. 여기서 breake를 0으로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5. 끝나면 조심스럽게 살짝 꺼냅니다. 6. 그럼 맨위는 혈청, 그다음은 백혈과, HISTOPAQE, 적혈구 순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위에 분들도 답변 잘 하셨지만, 다른 혈구도 분리하고 빠르게 진행하여 혈액상태를 신선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추천합니다.
    >엽산 분석을 위해 rat의 혈청을 사용하는데요. > >채취를 제대로 못했는지 혈청 내의 적혈구가 파괴되어 붉은색으로 액의 색이 변해버렸는데 > >적혈구를 제거 하는 방법에 대해 자세히 가르쳐 주시면 정말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꼭 부탁드려요~!! 신선한 혈액을 빠르게 분리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방법으로는 혈청과 백혈구 적혈구 모두 분리 가능한 방법입니다. 시그마 제품에 HISTOPAQUE(H8889) 이라는게 있는데 간단히 방법을 알려드리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일단 위에서 말씀드린 제품을 바닥이 둥근 tube(주로 flow cytomety에서 사용하는 tube)에 ml정도 넣고 상온에 둡니다. 2. 그 다음 채취한 혈액을 먼저 넣은 용액에 띄우듯이 넣습니다. 3. 저울로 질량을 재서 밸런스를 맞춥니다. 4. centrifuge를 rpm1500, 15분, no breake로 설정하고 돌립니다. 여기서 breake를 0으로 설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5. 끝나면 조심스럽게 살짝 꺼냅니다. 6. 그럼 맨위는 혈청, 그다음은 백혈과, HISTOPAQE, 적혈구 순으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위에 분들도 답변 잘 하셨지만, 다른 혈구도 분리하고 빠르게 진행하여 혈액상태를 신선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을 추천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