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6-16
org.kosen.entty.User@3e36b9a5
최승학(senghak)
- 1
항상 좋은 정보 감사드립니다.
오늘 자료를 찾다 보니 유기용제들에 대해 evaporation rate라는 지표를 사용하여 휘발성 정도를 표현하는 방법이 있는것을 보았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일반적으로 vapour pressure를 보면 대강의 휘발성 정도를 알수 있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Acetone의 경우 vapor pressure가 25도에서 231.5 torr, 점도는 0.303cP 그리고 specific gravity는 0.784 이며 THF의 경우 vapor pressure가 25도에서 162.2 torr, 점도는 0.46cP 그리고 specific gravity는 0.889입니다.
제 생각으로는 당연히 acetone의 evaporation rate가 높을것 같은데 동일한 BuOAc을 기reference material로 했을때 THF가 6.3, acetone이 5.7이라고 합니다. 여러 자료를 찾아봐도 THF가 acetone보다 evaporation rate가 높은데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
- vapor pressure
- evapor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09-06-17- 0
자료상 보기에는 Acetone의 증발이 빠를 것 같으나, 분자간의 결합력에서 Acetone이 TFH보다 높으므로 증발이 낮게 나옵니다. 첨부 자료의 dipole moment를 보시면 TFH는 1.63이고 Acetone은 C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CH3 radical이 붙어 있어서 2.88로 나옵니다.따라서 결합력(attraction forces)에서 acetone이 높게 나오므로 evaporation rate가 THF가 높게 나옵니다.
감사합니다. 그런데 vapour pressur에 반영이 되어야 하는부분이 아닌가요? 결합력에 차이가 있다면 증기압에도 차이가 있어야 할것 같은데...감사합니다. 첨부 자료 확인해 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