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ALP, LDH, SGOT, SGPT

ALP(Alkaline phosphatase), LDH(Lactate dehydrogenase), SGOT, SGPT 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가지가 뭘보기위해 하는 실험인지라도 알고싶습니다. 또한 나온결과를 어떻게 해석하고 이해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실험해서 나온 data값이 뭘말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ALP
  • LDH
  • SGOP
  • SGPT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ALT(또는 SGPT)와 AST(또는 SGOT)는 염증 소치라고 불리며, 간에 염증이 생겨 간세포가 파괴되면 간세포 안에 있던 이들 효소가 혈액 중으로 유출되어 수치가 높게 나타나게 됩니다. 급성간염일 때는 이들 수치가 1천 단위 이상 올랐다가 회복과 함께 낮아지므로 급성간염의 진단과 평가에 유용한 지표입니다. 만성간염의 경우에는 수십-수백대 정도로 정상보다 높은 상태에서 오르락 내리락하며 변동하게 됩니다. 이 수치들은 심장병이나 근육질환에서도 상승하고 지방간, 간경변증, 간암과 같은 질환에서도 상승할 수 있으며 변동의 범위가 넓으므로 AST, ALT가 약간 상승하였다고 하여 간질환이 있거나 악화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 하겠습니다. 실제로 간경변환자라도 간기능 검사가 정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 밖에도 황달의 정도를 알기 위해 혈중 빌리루빈을 측정하는데, 빌리루빈이 많이 상승할수록 간질환의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ALP (alkaline phosphatase)는 담즙정체나 종양과 같은 간실질의 침윤성 질환(예: 종양)에서 상승하고 감마 GTP는 흔히 지방간 수치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알콜성 간질환의 진단에 사용됩니다. 혈청 알부민과 프로트롬빈은 간에서 합성되는 생리필수 단백질로써 급성이나 만성의 간질환이 심한 경우 감소하게 되므로 간질환의 예후를 판별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또한, LDH (lactate dehtdrogense; 젖산 탈수소효소)의 경우도 정상수치는 100~200 U/L이며, 심근경색을 비롯한 심장 질환 및 근육 질환 또는 간질환에서도 수치가 상승하고, 악성 종양세포에서 다량 생성되므로 암의 존재를 파악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AST,ALT의 정상 수치는 통상 40~50 U/L입니다 {GOT(AST:정상수치40 U/L), GPT(ALT:정상수치40 U/L)}. >ALP(Alkaline phosphatase), LDH(Lactate dehydrogenase), SGOT, SGPT 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가지가 뭘보기위해 하는 실험인지라도 알고싶습니다. >또한 나온결과를 어떻게 해석하고 이해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실험해서 나온 data값이 뭘말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ALT(또는 SGPT)와 AST(또는 SGOT)는 염증 소치라고 불리며, 간에 염증이 생겨 간세포가 파괴되면 간세포 안에 있던 이들 효소가 혈액 중으로 유출되어 수치가 높게 나타나게 됩니다. 급성간염일 때는 이들 수치가 1천 단위 이상 올랐다가 회복과 함께 낮아지므로 급성간염의 진단과 평가에 유용한 지표입니다. 만성간염의 경우에는 수십-수백대 정도로 정상보다 높은 상태에서 오르락 내리락하며 변동하게 됩니다. 이 수치들은 심장병이나 근육질환에서도 상승하고 지방간, 간경변증, 간암과 같은 질환에서도 상승할 수 있으며 변동의 범위가 넓으므로 AST, ALT가 약간 상승하였다고 하여 간질환이 있거나 악화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 하겠습니다. 실제로 간경변환자라도 간기능 검사가 정상으로 나타나는 경우들이 있습니다. 이 밖에도 황달의 정도를 알기 위해 혈중 빌리루빈을 측정하는데, 빌리루빈이 많이 상승할수록 간질환의 예후가 좋지 않습니다. ALP (alkaline phosphatase)는 담즙정체나 종양과 같은 간실질의 침윤성 질환(예: 종양)에서 상승하고 감마 GTP는 흔히 지방간 수치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알콜성 간질환의 진단에 사용됩니다. 혈청 알부민과 프로트롬빈은 간에서 합성되는 생리필수 단백질로써 급성이나 만성의 간질환이 심한 경우 감소하게 되므로 간질환의 예후를 판별하는데 유용한 지표입니다. 또한, LDH (lactate dehtdrogense; 젖산 탈수소효소)의 경우도 정상수치는 100~200 U/L이며, 심근경색을 비롯한 심장 질환 및 근육 질환 또는 간질환에서도 수치가 상승하고, 악성 종양세포에서 다량 생성되므로 암의 존재를 파악하는데 이용되기도 한다. AST,ALT의 정상 수치는 통상 40~50 U/L입니다 {GOT(AST:정상수치40 U/L), GPT(ALT:정상수치40 U/L)}. >ALP(Alkaline phosphatase), LDH(Lactate dehydrogenase), SGOT, SGPT 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가지가 뭘보기위해 하는 실험인지라도 알고싶습니다. >또한 나온결과를 어떻게 해석하고 이해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실험해서 나온 data값이 뭘말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김범수님의 답변

    >ALP(Alkaline phosphatase), LDH(Lactate dehydrogenase), SGOT, SGPT 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가지가 뭘보기위해 하는 실험인지라도 알고싶습니다. >또한 나온결과를 어떻게 해석하고 이해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실험해서 나온 data값이 뭘말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LDH(Lactate Dehydrogenase 젖산 탈수소 효소):정상수치는 100~200u/L 악성 종양세포에서 다량 생성되므로 암의 존재를 파악하는데 이용됨 GOT(AST:정상수치40u/L), GPT(ALT:정상수치40u/L) : 간이 손상받으면 간세포에서 혈액으로 흘러나와 혈중치가늘어나게 되므로 수치가 상승하므로 혈액검사로서 간장을 체크하는 좋은 방법 ALP(Alkaline Phosphatase)의 정상수치는 30~115u/L 이 수치는 담즙정체,폐쇄성 황달,간암 등에서 높게 상승하며 바이러스성 간염,간경변에서 AST,ALT와 함께 상승
    >ALP(Alkaline phosphatase), LDH(Lactate dehydrogenase), SGOT, SGPT 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4가지가 뭘보기위해 하는 실험인지라도 알고싶습니다. >또한 나온결과를 어떻게 해석하고 이해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실험해서 나온 data값이 뭘말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 LDH(Lactate Dehydrogenase 젖산 탈수소 효소):정상수치는 100~200u/L 악성 종양세포에서 다량 생성되므로 암의 존재를 파악하는데 이용됨 GOT(AST:정상수치40u/L), GPT(ALT:정상수치40u/L) : 간이 손상받으면 간세포에서 혈액으로 흘러나와 혈중치가늘어나게 되므로 수치가 상승하므로 혈액검사로서 간장을 체크하는 좋은 방법 ALP(Alkaline Phosphatase)의 정상수치는 30~115u/L 이 수치는 담즙정체,폐쇄성 황달,간암 등에서 높게 상승하며 바이러스성 간염,간경변에서 AST,ALT와 함께 상승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