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tio2 졸겔법으로 합성시

TiO2를 졸겔법으로 합성하여 파우더를 만들때 출발물질은 TTIP와 H20를 사용하고 용매로는 에탄올 촉매로는 질산을 사용하여 실험하러 합니다 refluxing과정까지 끝마친 졸상태에서 aging과정을 거쳐 겔상태를 마친후 건조와 소성을 시켜서 만든 파우더랑 aging과정 없이 졸상태에서 바로 소성을 시켜 만든 파우더랑 차이가 어떠케 나나요 ? 숙성공정을 해주는 이유를 잘 모르겠어요 그리고 숙성과정다음에 침전물위에 액체는 건조과정을 통해 날려버리는건가요?
  • tio2
  • 졸겔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김성일님의 답변

    일반적으로, 숙성공정은 결정성장과정으로 보시면 될 겁니다. 졸겔법에서 핵생성이 이루어지고 숙성과정을 거치면 핵이 성장하게 되는데 이과정을 결정화공정에서는 결정성장이라 합니다. 졸겔법을 통한 최종 product의 결정 크기, 형상, 수율등을 최적 spec.으로 제조하려면, 핵생성과 숙성(결정성장)과정의 조건을 최적화해야 할 것임. 이때 과포화도의 개념을 적용하여 제어하면 편리함. 이상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일반적으로, 숙성공정은 결정성장과정으로 보시면 될 겁니다. 졸겔법에서 핵생성이 이루어지고 숙성과정을 거치면 핵이 성장하게 되는데 이과정을 결정화공정에서는 결정성장이라 합니다. 졸겔법을 통한 최종 product의 결정 크기, 형상, 수율등을 최적 spec.으로 제조하려면, 핵생성과 숙성(결정성장)과정의 조건을 최적화해야 할 것임. 이때 과포화도의 개념을 적용하여 제어하면 편리함. 이상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