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pbs가 보라색으로 변하면서 세포가 죽는 현상-

배지를 씻어내려고 pbs를 플라스크에 뿌렸는데요- pbs가 보라색으로 변하면서 cell이 모두 죽었습니다.- pbs가 무엇에 오염되서 이런건지..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pbs
  • cell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3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첨가하신 것이 PBS가 아니라 MTT assay 용 시약이라면 먼저 시약의 색깔이 노란색을 띄므로 PBS와는 금방 구별을 하실 수 있었을 겁니다. 그리고 MTT assay용 시약을 처리한 경우 세포가 금방 죽거나 하지는 않으며, 이 시약이 세포 내로 유입되어 formazan crystal이란 보라색의 결정을 형성하고 이를 유기용매의 처리를 통하여 세포와 더불어 용해시켰을 경우에 보라색을 띄게 되는 것 입니다. 제 생각에는 아마도 배시 성분에 포함되어 있던 지시약의 색이 강염기성 물질 (예를 들면, 세포 파쇄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NaOH sol. 등)에 의해 보라색으로 변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강염기성 물질을 처리하면 세포의 경우도 용해되어 버립니다. >배지를 씻어내려고 pbs를 플라스크에 뿌렸는데요- > >pbs가 보라색으로 변하면서 cell이 모두 죽었습니다.- > >pbs가 무엇에 오염되서 이런건지.. >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첨가하신 것이 PBS가 아니라 MTT assay 용 시약이라면 먼저 시약의 색깔이 노란색을 띄므로 PBS와는 금방 구별을 하실 수 있었을 겁니다. 그리고 MTT assay용 시약을 처리한 경우 세포가 금방 죽거나 하지는 않으며, 이 시약이 세포 내로 유입되어 formazan crystal이란 보라색의 결정을 형성하고 이를 유기용매의 처리를 통하여 세포와 더불어 용해시켰을 경우에 보라색을 띄게 되는 것 입니다. 제 생각에는 아마도 배시 성분에 포함되어 있던 지시약의 색이 강염기성 물질 (예를 들면, 세포 파쇄용으로 많이 사용하는 NaOH sol. 등)에 의해 보라색으로 변한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물론 강염기성 물질을 처리하면 세포의 경우도 용해되어 버립니다. >배지를 씻어내려고 pbs를 플라스크에 뿌렸는데요- > >pbs가 보라색으로 변하면서 cell이 모두 죽었습니다.- > >pbs가 무엇에 오염되서 이런건지.. >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심용호님의 답변

    어떤류의 세포에 어떤 PBS를 넣었고, 얼마후 색이 발색됐는지 알수는 없지만.. 질문하신 내용을 볼때, 보라색하면 떠오르는것은 MTT 용액 처리시 나타나는 색인데요.. 실험실에는 많은 종류의 PBS 용액이 돌아다니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내용물에 대한 라벨을 꼭 붙여야하고, 더러는 사용자마다 개인 PBS 용액을 이용하는 실험실이 많습니다. 공용으로 사용하는 실험실은 동료들의 실수로 의한 오염도 고려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어떤 이유를 찾는것 보다는. 지금 사용하신 모든 용액들을 살균처리된 새로운 용기들에 다시 만들어서 실험하는 것이 더 빠릅니다. 모두... 하나씩 확인 하려 들다가는 시간만 낭비하고, 이유를 알아도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번 더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해결될 것이라 믿습니다. ^0^ 이래도 이상하면 세포라든가 구매한 제품들을 테스트 해봐야겠죠. ^0^ >배지를 씻어내려고 pbs를 플라스크에 뿌렸는데요- > >pbs가 보라색으로 변하면서 cell이 모두 죽었습니다.- > >pbs가 무엇에 오염되서 이런건지.. >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어떤류의 세포에 어떤 PBS를 넣었고, 얼마후 색이 발색됐는지 알수는 없지만.. 질문하신 내용을 볼때, 보라색하면 떠오르는것은 MTT 용액 처리시 나타나는 색인데요.. 실험실에는 많은 종류의 PBS 용액이 돌아다니니 주의하셔야 합니다. 내용물에 대한 라벨을 꼭 붙여야하고, 더러는 사용자마다 개인 PBS 용액을 이용하는 실험실이 많습니다. 공용으로 사용하는 실험실은 동료들의 실수로 의한 오염도 고려해야 합니다.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어떤 이유를 찾는것 보다는. 지금 사용하신 모든 용액들을 살균처리된 새로운 용기들에 다시 만들어서 실험하는 것이 더 빠릅니다. 모두... 하나씩 확인 하려 들다가는 시간만 낭비하고, 이유를 알아도 의미가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한번 더 실험을 실시함으로써 해결될 것이라 믿습니다. ^0^ 이래도 이상하면 세포라든가 구매한 제품들을 테스트 해봐야겠죠. ^0^ >배지를 씻어내려고 pbs를 플라스크에 뿌렸는데요- > >pbs가 보라색으로 변하면서 cell이 모두 죽었습니다.- > >pbs가 무엇에 오염되서 이런건지.. >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전정용님의 답변

    윗분이 말씀하신것처럼 MTT assay 에서 사용되는 시약에 의해 보라색으로 변합니다 PBS 자체로는 색이 변하지 않는데 색이 변했다면 PBS에 뭔가가 섞여 있었다고밖에 볼수가 없습니다. MTT 이외에 culture상에 오염이 되면 과산화수소 용액을 부으면 보라색으로 변합니다. PBS 내에 뭐가 섞여있었는지 확인해 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배지를 씻어내려고 pbs를 플라스크에 뿌렸는데요- > >pbs가 보라색으로 변하면서 cell이 모두 죽었습니다.- > >pbs가 무엇에 오염되서 이런건지.. >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윗분이 말씀하신것처럼 MTT assay 에서 사용되는 시약에 의해 보라색으로 변합니다 PBS 자체로는 색이 변하지 않는데 색이 변했다면 PBS에 뭔가가 섞여 있었다고밖에 볼수가 없습니다. MTT 이외에 culture상에 오염이 되면 과산화수소 용액을 부으면 보라색으로 변합니다. PBS 내에 뭐가 섞여있었는지 확인해 보시는게 좋을듯합니다. >배지를 씻어내려고 pbs를 플라스크에 뿌렸는데요- > >pbs가 보라색으로 변하면서 cell이 모두 죽었습니다.- > >pbs가 무엇에 오염되서 이런건지.. >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