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식사시 혈당 수준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비반추영양학 분야에서 연구중인 학생입니다. 저희는 in vivo실험을 수행합니다. 그런데 실험동물에 여러 종류의 diet를 급여하고 조직을 채취하는데 조직을 채취하는 날 절식을 시키지 않고 그냥 사료를 제공을 하였습니다. 보통은 절식 후에 hormone측정위에 serum를 얻는데 저희는 그냥 사료를 제거하지 않고 혈액 및 조직을 채취하였습니다. sampling 동안에 배속에 사료가 한 가득있는 실험동물도 있었구요. 그리고 호르몬 결과 glucose 수준이 여러 그룹 있긴한데 control에서 보통 300~500mg/dL 정도 나왔습니다. 실험군과의 실험적인 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도 있고 (여러 그룹이 있음) 비슷한 것도 있습니다. 실험적으로 볼때는 normal group에서 glucose level이 500mg/dL에 대해서는 절식을 시키지 않고 ssmpling을 해서 큰 의미를 두고 있지 않지만 누군가 혹시나 glucose의 수준이 너무 높아서 혹시 다른 당뇨나 같은 질병이 발생했다고 생각하는 물음이 있어서 이렇게 도움을 청합니다. 여러 논문에서는 절식후나 식후 혈당을 측정한 사례가 대부분이고 현재 저희와 같은 경우는 많이 없어서 여러 전문가의 의견과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diet
  • glucos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한재석님의 답변

    첫번째, 500mg/dl라는 수치는 상당히 높은 수치인데요. 먼저 물어보고 싶은 것은 원래 이 동물의 혈당이 그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비록 non-fasting으로 혈당을 재셨지만 그래도 이 수치는 보통이라고 보기가 힘듭니다. 당뇨가 아닌 정상 쥐 (또는 사람)의 경우 아무리 밥을 먹어도 그렇게까지 높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물론 동물이 다르기때문에 뭐라 할 수 없지만 한번 확인해 보심이 중요할 듯 합니다. 그리고 절식 (Fasting)을 하지 않더라도 혈당을 재서 그 데이타를 쓸 수 있습니다. (non-fasting glucose)라고 명기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그런데 질문하신 분의 경우 non-fasting이라고 해도 너무 높은 혈당이 나타났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 듯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비반추영양학 분야에서 연구중인 학생입니다. >저희는 in vivo실험을 수행합니다. >그런데 실험동물에 여러 종류의 diet를 급여하고 조직을 채취하는데 조직을 채취하는 날 절식을 시키지 않고 그냥 사료를 제공을 하였습니다. 보통은 절식 후에 hormone측정위에 serum를 얻는데 저희는 그냥 사료를 제거하지 않고 혈액 및 조직을 채취하였습니다. sampling 동안에 배속에 사료가 한 가득있는 실험동물도 있었구요. >그리고 호르몬 결과 glucose 수준이 여러 그룹 있긴한데 control에서 보통 300~500mg/dL 정도 나왔습니다. 실험군과의 실험적인 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도 있고 (여러 그룹이 있음) 비슷한 것도 있습니다. 실험적으로 볼때는 normal group에서 glucose level이 500mg/dL에 대해서는 절식을 시키지 않고 ssmpling을 해서 큰 의미를 두고 있지 않지만 누군가 혹시나 glucose의 수준이 너무 높아서 혹시 다른 당뇨나 같은 질병이 발생했다고 생각하는 물음이 있어서 이렇게 도움을 청합니다. >여러 논문에서는 절식후나 식후 혈당을 측정한 사례가 대부분이고 현재 저희와 같은 경우는 많이 없어서 여러 전문가의 의견과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 >감사합니다.
    첫번째, 500mg/dl라는 수치는 상당히 높은 수치인데요. 먼저 물어보고 싶은 것은 원래 이 동물의 혈당이 그 정도인지 궁금합니다. 비록 non-fasting으로 혈당을 재셨지만 그래도 이 수치는 보통이라고 보기가 힘듭니다. 당뇨가 아닌 정상 쥐 (또는 사람)의 경우 아무리 밥을 먹어도 그렇게까지 높이 올라가지 않습니다. 물론 동물이 다르기때문에 뭐라 할 수 없지만 한번 확인해 보심이 중요할 듯 합니다. 그리고 절식 (Fasting)을 하지 않더라도 혈당을 재서 그 데이타를 쓸 수 있습니다. (non-fasting glucose)라고 명기하시면 될 듯 싶습니다. 그런데 질문하신 분의 경우 non-fasting이라고 해도 너무 높은 혈당이 나타났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 듯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비반추영양학 분야에서 연구중인 학생입니다. >저희는 in vivo실험을 수행합니다. >그런데 실험동물에 여러 종류의 diet를 급여하고 조직을 채취하는데 조직을 채취하는 날 절식을 시키지 않고 그냥 사료를 제공을 하였습니다. 보통은 절식 후에 hormone측정위에 serum를 얻는데 저희는 그냥 사료를 제거하지 않고 혈액 및 조직을 채취하였습니다. sampling 동안에 배속에 사료가 한 가득있는 실험동물도 있었구요. >그리고 호르몬 결과 glucose 수준이 여러 그룹 있긴한데 control에서 보통 300~500mg/dL 정도 나왔습니다. 실험군과의 실험적인 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도 있고 (여러 그룹이 있음) 비슷한 것도 있습니다. 실험적으로 볼때는 normal group에서 glucose level이 500mg/dL에 대해서는 절식을 시키지 않고 ssmpling을 해서 큰 의미를 두고 있지 않지만 누군가 혹시나 glucose의 수준이 너무 높아서 혹시 다른 당뇨나 같은 질병이 발생했다고 생각하는 물음이 있어서 이렇게 도움을 청합니다. >여러 논문에서는 절식후나 식후 혈당을 측정한 사례가 대부분이고 현재 저희와 같은 경우는 많이 없어서 여러 전문가의 의견과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 >감사합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달님의 답변

    어떤 종류의 동물을 사용하였는지 모르지만 300-500 mg/dl정도의 혈중포도당농도라면 당연히 당뇨병에 걸려있을때 나타나는 수치입니다. 제가 알기에는 아무리 절식을 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정상동물이 이정도 높은 혈중포도당농도를 나타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아마도 당뇨병에 걸린 동물이거나 동물을 sacrifice할 때의 방법에 문제가 있는 경우인 것 같습니다. sacrifice시 CO2 gas를 사용할 경우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비반추영양학 분야에서 연구중인 학생입니다. >저희는 in vivo실험을 수행합니다. >그런데 실험동물에 여러 종류의 diet를 급여하고 조직을 채취하는데 조직을 채취하는 날 절식을 시키지 않고 그냥 사료를 제공을 하였습니다. 보통은 절식 후에 hormone측정위에 serum를 얻는데 저희는 그냥 사료를 제거하지 않고 혈액 및 조직을 채취하였습니다. sampling 동안에 배속에 사료가 한 가득있는 실험동물도 있었구요. >그리고 호르몬 결과 glucose 수준이 여러 그룹 있긴한데 control에서 보통 300~500mg/dL 정도 나왔습니다. 실험군과의 실험적인 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도 있고 (여러 그룹이 있음) 비슷한 것도 있습니다. 실험적으로 볼때는 normal group에서 glucose level이 500mg/dL에 대해서는 절식을 시키지 않고 ssmpling을 해서 큰 의미를 두고 있지 않지만 누군가 혹시나 glucose의 수준이 너무 높아서 혹시 다른 당뇨나 같은 질병이 발생했다고 생각하는 물음이 있어서 이렇게 도움을 청합니다. >여러 논문에서는 절식후나 식후 혈당을 측정한 사례가 대부분이고 현재 저희와 같은 경우는 많이 없어서 여러 전문가의 의견과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 >감사합니다.
    어떤 종류의 동물을 사용하였는지 모르지만 300-500 mg/dl정도의 혈중포도당농도라면 당연히 당뇨병에 걸려있을때 나타나는 수치입니다. 제가 알기에는 아무리 절식을 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정상동물이 이정도 높은 혈중포도당농도를 나타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아마도 당뇨병에 걸린 동물이거나 동물을 sacrifice할 때의 방법에 문제가 있는 경우인 것 같습니다. sacrifice시 CO2 gas를 사용할 경우 전형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비반추영양학 분야에서 연구중인 학생입니다. >저희는 in vivo실험을 수행합니다. >그런데 실험동물에 여러 종류의 diet를 급여하고 조직을 채취하는데 조직을 채취하는 날 절식을 시키지 않고 그냥 사료를 제공을 하였습니다. 보통은 절식 후에 hormone측정위에 serum를 얻는데 저희는 그냥 사료를 제거하지 않고 혈액 및 조직을 채취하였습니다. sampling 동안에 배속에 사료가 한 가득있는 실험동물도 있었구요. >그리고 호르몬 결과 glucose 수준이 여러 그룹 있긴한데 control에서 보통 300~500mg/dL 정도 나왔습니다. 실험군과의 실험적인 결과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도 있고 (여러 그룹이 있음) 비슷한 것도 있습니다. 실험적으로 볼때는 normal group에서 glucose level이 500mg/dL에 대해서는 절식을 시키지 않고 ssmpling을 해서 큰 의미를 두고 있지 않지만 누군가 혹시나 glucose의 수준이 너무 높아서 혹시 다른 당뇨나 같은 질병이 발생했다고 생각하는 물음이 있어서 이렇게 도움을 청합니다. >여러 논문에서는 절식후나 식후 혈당을 측정한 사례가 대부분이고 현재 저희와 같은 경우는 많이 없어서 여러 전문가의 의견과 도움을 받고 싶습니다. > >감사합니다.

    sampling 시에 Co2 gas를 사용하였습니다. 암튼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