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07
org.kosen.entty.User@4b9a56bd
조상은(aniel)
- 2
GC/MS 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는데,
프탈레이트 모분자와 그의 대사체 17종을 동시분석을 하게 생겼습니다.
소변샘플도 몇가지 해야하구요.
GC 분석을 해보신 분들께 포괄적인 분석절차에 대하여 물어보고 싶습니다.
우선 17종의 표준물질을(구입한 시약) 하나씩 그에따른 크로마토그램과 문헌을 참고하여 m/z값을 질량분석을 한 후, 적절히 retention time을 분리하고. 17종을 몽땅 섞어서 제대로 분리되고, mass 확인을 합니다.
그런후, 소변을 전처리 한 후, 위 방법대로 한다.
이런 순으로 잡으면 되나요.
- 프탈레이트
- GC/MS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2009-07-08- 0
>GC/MS 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는데, >프탈레이트 모분자와 그의 대사체 17종을 동시분석을 하게 생겼습니다. >소변샘플도 몇가지 해야하구요. > >GC 분석을 해보신 분들께 포괄적인 분석절차에 대하여 물어보고 싶습니다. >우선 17종의 표준물질을(구입한 시약) 하나씩 그에따른 크로마토그램과 문헌을 참고하여 m/z값을 질량분석을 한 후, 적절히 retention time을 분리하고. 17종을 몽땅 섞어서 제대로 분리되고, mass 확인을 합니다. >그런후, 소변을 전처리 한 후, 위 방법대로 한다. >이런 순으로 잡으면 되나요. > > > > Standard 구입이 가능하다면 모든 종을 확보해서 standard mass spectrum을 확보하는것이 가장 좋습니다. 요즘에는 GC/MS/MS가 보편화 되어 있어서 굳이 retention time이 겹쳐지더라도 SRM이나 MRM 모드로 분석하면 동시 분석이 가능합니다. 실제 urine에 있는 pthalate 분자들을 정량 또는 정성 분석하기 위해서 건강한 사람의 urine(pthalate가 전혀 없는 상태이어야 함)을 background matrix로 설정해서 standard pthaltes를 농도별로 spiking합니다. 이것을 이용해서 standard curve를 설정하게 됩니다. 이후 urine 검체에 acetonitrile이나 acetone같은 유기용매로 deproteination시킨후에 ethylacetate나 methylene chloride같은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좀 더 정제하기 위해서는 solid phase extractor를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후 농축하고 methanol같은 알콜류에 녹인후에 injector로 주입해서 분석하면 됩니다. -
답변
안길홍님의 답변
2010-01-31- 0
>GC/MS 에 대해 잘 알지도 못하는데, >프탈레이트 모분자와 그의 대사체 17종을 동시분석을 하게 생겼습니다. >소변샘플도 몇가지 해야하구요. > >GC 분석을 해보신 분들께 포괄적인 분석절차에 대하여 물어보고 싶습니다. >우선 17종의 표준물질을(구입한 시약) 하나씩 그에따른 크로마토그램과 문헌을 참고하여 m/z값을 질량분석을 한 후, 적절히 retention time을 분리하고. 17종을 몽땅 섞어서 제대로 분리되고, mass 확인을 합니다. >그런후, 소변을 전처리 한 후, 위 방법대로 한다. >이런 순으로 잡으면 되나요. > > > > 위 방법대로 GC/MS로 분석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