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10
org.kosen.entty.User@19c973a1
김태훈(eosaeolus)
- 2
첨부파일
P3HT를 용액으로 만들고 나서 유리판에 코팅을 한 뒤 PL Test (Shimadzu사 제품)를 실시하였습니다.
그런데 그래프가.. 다른 논문들에서 본 PL Test는 평평한 모습을 보이다가 peak부분에서만 값이 치솟는 경향을 보이는데, 제가 측정한 샘플에서는 510nm에서 excite시키고 측정을 했더니 피크 이외의 부분이 일정하지 않고 짧은 파장에서는 큰 값을 가지다가 장파장으로 갈수록 작은 값을 가지더군요..
이해를 돕기위해 급하게 graph를 그림파일로 만들어서 올려봅니다.
원래 PL Test를 하면 저렇게 excited 영역 근처에서는 큰 값을 가지고 떨어질 수록 작은 값을 갖는건가요? 그러면 실제로 사용 할 때에는 저 부분을 background처리해서 다 값을 빼주고 써야하나요?
원래 이런쪽을 연구하는 실험실이 아니라 어디 물어볼 때가 마땅치가 않아서 답답하네요.. 부탁드립니다.
- PL
- photoluminescence
- 고분자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문태호님의 답변
2009-07-12- 0
말씀하셨듯이 일반적인 PL 개형이 아니고, 문제가 있습니다. 시료 자체가 발광 강도가 있는 것인지 의심스럽네요. S/N Ratio가 안 좋은 것을 보면 Ref.인 유리판만 PL 측정을 해보시고, 발광강도가 어느 정도가 있는 표준 시료등을 이용하여 System도 Check 해보세요~ >P3HT를 용액으로 만들고 나서 유리판에 코팅을 한 뒤 PL Test (Shimadzu사 제품)를 실시하였습니다. >그런데 그래프가.. 다른 논문들에서 본 PL Test는 평평한 모습을 보이다가 peak부분에서만 값이 치솟는 경향을 보이는데, 제가 측정한 샘플에서는 510nm에서 excite시키고 측정을 했더니 피크 이외의 부분이 일정하지 않고 짧은 파장에서는 큰 값을 가지다가 장파장으로 갈수록 작은 값을 가지더군요.. > >이해를 돕기위해 급하게 graph를 그림파일로 만들어서 올려봅니다. > >원래 PL Test를 하면 저렇게 excited 영역 근처에서는 큰 값을 가지고 떨어질 수록 작은 값을 갖는건가요? 그러면 실제로 사용 할 때에는 저 부분을 background처리해서 다 값을 빼주고 써야하나요? > >원래 이런쪽을 연구하는 실험실이 아니라 어디 물어볼 때가 마땅치가 않아서 답답하네요.. 부탁드립니다. -
답변
Dong-HoonWon님의 답변
2009-07-14- 0
필터를 사용하셨나요? 저도 이쪽은 잘 모르지만...... 제가 판단하기에는 아마도 필터를 사용하지 않으신것 같습니다. 필터를 사용해 보세요.... 필터를 사용하시면 510nm 에서 excitation으로 인한 피크가 사라질겁니다. >P3HT를 용액으로 만들고 나서 유리판에 코팅을 한 뒤 PL Test (Shimadzu사 제품)를 실시하였습니다. >그런데 그래프가.. 다른 논문들에서 본 PL Test는 평평한 모습을 보이다가 peak부분에서만 값이 치솟는 경향을 보이는데, 제가 측정한 샘플에서는 510nm에서 excite시키고 측정을 했더니 피크 이외의 부분이 일정하지 않고 짧은 파장에서는 큰 값을 가지다가 장파장으로 갈수록 작은 값을 가지더군요.. > >이해를 돕기위해 급하게 graph를 그림파일로 만들어서 올려봅니다. > >원래 PL Test를 하면 저렇게 excited 영역 근처에서는 큰 값을 가지고 떨어질 수록 작은 값을 갖는건가요? 그러면 실제로 사용 할 때에는 저 부분을 background처리해서 다 값을 빼주고 써야하나요? > >원래 이런쪽을 연구하는 실험실이 아니라 어디 물어볼 때가 마땅치가 않아서 답답하네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