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07-10
org.kosen.entty.User@3c846814
서영호(yhseo94)
- 1
protein chip이나 Lab-on-a-chip에 대해서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기본이 항원, 항체 등의 단백질을 고정하는 것으로 시작한다는 것정도 알고 있습니다.
고정되는 바닥에 따라서 다양한 linker등이 사용되고 있는것 같구요.
목적은 특정 항원을 검출하는 센서에 대한 연구를 하고자 합니다.
어쨌든, 아주 초보입니다.
관련하여 좋은 자료가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antibody
- protein
- immobilization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1
-
답변
강정혜님의 답변
2009-07-15- 0
문의하신 chip 같은 진단이나 연구 분석 방법은 고체 지지체 위에 단백질 고정화 및 반응성 유지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고정화 후 생물학적 활성 유지가 특히 중요합니다. 단백질 고정화 방법은 보통 3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물리적 흡착 2) 공유결합 같은 화학적 결합 3) 표면위에 spacer나 linker를 먼저 코팅하고 결합 또한 비특이적 반응을 최소화시켜야 검출감도를 높이고, 분석평가에서 신뢰성을 얻기 때문에 이 두가지를 고려해야 합니다. 더 필요하신 것이 있으시면 참조한 논문을 찾아보시거나 혹은 메일주세요 ^^ 1. Peluso, p. and Wilsom, D.S. (2003), Optimizing antibody immobilization strategies for the construction of protein microarrays, Anal. Biochem. 312, 113-124 2. S. Y. Seong (2002), Microimmunoassay using a protein chip: optimizing conditions for protein immobilization, Clin, Vaccine. Immunol. 9, 927-930 3. Avseenko, N. V. and Morozova, T. Y. (2001), Immobilization of proteins in immunochemical microchips fabricated by electrospray technique, Anal. Chem. 73, 6047-60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