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ubiquitin proteasome system

ubiquitin proteasome system이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입니까? Ubiquitin-proteasome system 은 세포 내 단백질들의 수명 조절을 통하여 세포주기, 유전자 전사, 세포 내 신호전달, DNA repair 등 다양한 생체 반응을 제어, 대사 작용을 조절하며, refolding or degradation에 있어서 misfolded proteins을 tagging해서 세포내 QC를 담당한다고 하는데...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이 시스템이 종양 바이러스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아시는 분 답변 좀 부탁드려요 급급급...
  • ubiquitin
  • proteasome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장성재님의 답변

    예를들어, 자궁경부암의 주된 위험 요인이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의 경우, 2개의 발암성 단백질인 E6 와 E7를 코드화하며, 상기 단백질들은 모두 HPV를 매개로 한 세포의 불멸화 및 세포 형질 전환에 관계합니다. 발암성 E6 단백질은 야생형의 p53 종양 억제 단백질에 결합하여 유비퀴틴(ubiquitin) 경로를 통하여 p53을 분해시키며, 한편, E7 단백질은 직접 Rb 단백질에 결합하여 과인산화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결국, 종양 억제인자의 소실로인해 종양의 발달=암화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용: http://www.snupharm.ac.kr/molpath/laboratory/outline2_1.asp) >ubiquitin proteasome system이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입니까? >Ubiquitin-proteasome system 은 세포 내 단백질들의 수명 조절을 통하여 세포주기, 유전자 전사, 세포 내 신호전달, DNA repair 등 다양한 생체 반응을 제어, 대사 작용을 조절하며, refolding or degradation에 있어서 misfolded proteins을 tagging해서 세포내 QC를 담당한다고 하는데... >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 >이 시스템이 종양 바이러스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 >아시는 분 답변 좀 부탁드려요 급급급...
    예를들어, 자궁경부암의 주된 위험 요인이 인간 유두종 바이러스(human papilloma virus; HPV)의 경우, 2개의 발암성 단백질인 E6 와 E7를 코드화하며, 상기 단백질들은 모두 HPV를 매개로 한 세포의 불멸화 및 세포 형질 전환에 관계합니다. 발암성 E6 단백질은 야생형의 p53 종양 억제 단백질에 결합하여 유비퀴틴(ubiquitin) 경로를 통하여 p53을 분해시키며, 한편, E7 단백질은 직접 Rb 단백질에 결합하여 과인산화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보고된 바 있습니다. 결국, 종양 억제인자의 소실로인해 종양의 발달=암화로 이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인용: http://www.snupharm.ac.kr/molpath/laboratory/outline2_1.asp) >ubiquitin proteasome system이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입니까? >Ubiquitin-proteasome system 은 세포 내 단백질들의 수명 조절을 통하여 세포주기, 유전자 전사, 세포 내 신호전달, DNA repair 등 다양한 생체 반응을 제어, 대사 작용을 조절하며, refolding or degradation에 있어서 misfolded proteins을 tagging해서 세포내 QC를 담당한다고 하는데... >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 >이 시스템이 종양 바이러스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 >아시는 분 답변 좀 부탁드려요 급급급...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답변

    이상후님의 답변

    >ubiquitin proteasome system이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입니까? >Ubiquitin-proteasome system 은 세포 내 단백질들의 수명 조절을 통하여 세포주기, 유전자 전사, 세포 내 신호전달, DNA repair 등 다양한 생체 반응을 제어, 대사 작용을 조절하며, refolding or degradation에 있어서 misfolded proteins을 tagging해서 세포내 QC를 담당한다고 하는데... >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 >이 시스템이 종양 바이러스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 >아시는 분 답변 좀 부탁드려요 급급급... Proteosome의 주 기능은 peptide bond를 분해하는 화학반응의 하나인 proteolysis에 의해 불필요하거나 손상된 단백질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분해과정을 통해서 약 7~8개의 아미노산 길이의 펩타이드를 만들게 되는데, 이것은 새로운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분해되어질 단백질들은 ubiquitin이라 불리우는 작은 단백질에 의해서 일종의 tagging되어지게 되는데, 그 tagging 반응이 ubiquitin ligase라 불리는 효소에 의해 촉매됩니다. 결국 proteosome들의 액션에 의해서 세포내 단백질들의 농도조절을 통해 여러가지의 세포내 대사과정을 조절하게 됩니다. 윗분의 답변처럼 ubiquitin이 우선 E1 protein에 결합해서 E2 protein을 바뀌게 되고, 이미 분해되어질 단백질에 결합된 E3 protein에 E2가 결합해서 polyubiquitin형태로 분해되어질 단백질에 결합한 후에 proteosome에서 분해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Proteosome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첨부 자료를 참고하세요). 참고적으로 윗분께서 답변해주신 내용외에도, 최근에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의 Ulrich Schubert박사팀의 연구결과내용으로는, proteosome을 화학적으로 차단한 결과 발아 상태에 이른 바이러스 입자와 세포막이 서로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과정이 저해를 받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막에 의해 단단히 싸이지 않고 느슨하게 둘러 싸임으로써 세포 자체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결국 proteosome 저해를 통해 바이러스가 하나의 세포로부터 다른 세포로 이동해 이를 감염시키는 작용이 저해를 받게 되어진다고 보고 되고 있습니다.
    >ubiquitin proteasome system이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입니까? >Ubiquitin-proteasome system 은 세포 내 단백질들의 수명 조절을 통하여 세포주기, 유전자 전사, 세포 내 신호전달, DNA repair 등 다양한 생체 반응을 제어, 대사 작용을 조절하며, refolding or degradation에 있어서 misfolded proteins을 tagging해서 세포내 QC를 담당한다고 하는데... >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인지... > >이 시스템이 종양 바이러스와 무슨 상관이 있나요? > >아시는 분 답변 좀 부탁드려요 급급급... Proteosome의 주 기능은 peptide bond를 분해하는 화학반응의 하나인 proteolysis에 의해 불필요하거나 손상된 단백질을 분해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분해과정을 통해서 약 7~8개의 아미노산 길이의 펩타이드를 만들게 되는데, 이것은 새로운 단백질 합성에 사용되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분해되어질 단백질들은 ubiquitin이라 불리우는 작은 단백질에 의해서 일종의 tagging되어지게 되는데, 그 tagging 반응이 ubiquitin ligase라 불리는 효소에 의해 촉매됩니다. 결국 proteosome들의 액션에 의해서 세포내 단백질들의 농도조절을 통해 여러가지의 세포내 대사과정을 조절하게 됩니다. 윗분의 답변처럼 ubiquitin이 우선 E1 protein에 결합해서 E2 protein을 바뀌게 되고, 이미 분해되어질 단백질에 결합된 E3 protein에 E2가 결합해서 polyubiquitin형태로 분해되어질 단백질에 결합한 후에 proteosome에서 분해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Proteosome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첨부 자료를 참고하세요). 참고적으로 윗분께서 답변해주신 내용외에도, 최근에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Allergy and Infectious Diseases)의 Ulrich Schubert박사팀의 연구결과내용으로는, proteosome을 화학적으로 차단한 결과 발아 상태에 이른 바이러스 입자와 세포막이 서로 상호작용을 나타내는 과정이 저해를 받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바이러스 입자가 세포막에 의해 단단히 싸이지 않고 느슨하게 둘러 싸임으로써 세포 자체로부터 이탈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결국 proteosome 저해를 통해 바이러스가 하나의 세포로부터 다른 세포로 이동해 이를 감염시키는 작용이 저해를 받게 되어진다고 보고 되고 있습니다.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