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나눔

분체의 굴절률

안녕하십니까 전에도 비슷한 질문을 올린적이 있었는데 혹시나 하여 다시 올려봅니다. 동일한 물질이고 형상이 동일할 때 그 물질의 크기와 관계없이 동일한 굴절률을 적용할 수 있는 건지요?? 그리고 10마이크론 이하의 분체에 대하여 따로 굴절률을 측정할 수 있는 장비나 방법을 알고계시면 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 굴절률
  • 분체
지식의 출발은 질문, 모든 지식의 완성은 답변! 
각 분야 한인연구자와 현업 전문가분들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답변 2
  • 답변

    박진남님의 답변

    Cole-Parmer 카탈로그를 뒤져보시면, 1. 굴절률 측정에 사용하는 표준용액(standard sloution)이 있습니다. 이 용액에 대상분말을 넣고, 대상 분말이 투명하게 보이는 용액이 동일한 굴절률 용액입니다. 2. 코팅하는 쪽에서는 실제로 대상분말을 이용하여 유리기판에 적절한 두께로 코팅한 후, 이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굴절률을 추정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 >전에도 비슷한 질문을 올린적이 있었는데 혹시나 하여 다시 올려봅니다. > >동일한 물질이고 형상이 동일할 때 그 물질의 크기와 관계없이 > >동일한 굴절률을 적용할 수 있는 건지요?? > >그리고 10마이크론 이하의 분체에 대하여 따로 굴절률을 > >측정할 수 있는 장비나 방법을 알고계시면 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Cole-Parmer 카탈로그를 뒤져보시면, 1. 굴절률 측정에 사용하는 표준용액(standard sloution)이 있습니다. 이 용액에 대상분말을 넣고, 대상 분말이 투명하게 보이는 용액이 동일한 굴절률 용액입니다. 2. 코팅하는 쪽에서는 실제로 대상분말을 이용하여 유리기판에 적절한 두께로 코팅한 후, 이의 반사율을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굴절률을 추정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십니까 > >전에도 비슷한 질문을 올린적이 있었는데 혹시나 하여 다시 올려봅니다. > >동일한 물질이고 형상이 동일할 때 그 물질의 크기와 관계없이 > >동일한 굴절률을 적용할 수 있는 건지요?? > >그리고 10마이크론 이하의 분체에 대하여 따로 굴절률을 > >측정할 수 있는 장비나 방법을 알고계시면 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안우영(wy711) 2009-07-25

    흠...액을 이용한 것 중에 Becke line method 말고 다른 방법이 있었군요.. 감사합니다

  • 답변

    이응신님의 답변

    굴절률의 정의를 생각해보면 답이 나올 듯 합니다. 굴절률은 매질에서의 광속과 진공에서의 광속 비율입니다. 빛이 지나갈때 입자를 통과하는 시간과 진공을 진행하는 시간을 합산할 때 분체 입자의 크기에 따라 진행시간이 달라지므로 분체 입자의 크기에 따라 굴절률이 당연히 달라지겠지요. 분체의 입자크기와 굴절률의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장비는 아마도 꽤 많이 나와있을 것입니다. 또 관련 논문도 많으므로 관련 학회에서 검색해보면 나올 것입니다. 분체에 레이저를 쏘아 굴절률을 계산하는데... 분체에 빛이 지나갈 때 굴절(defraction)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회절(diffraction)과 산란(scattering) 등이 동시에 일어나므로 레이저의 빛으로 굴절된 성분을 뽑아내어 굴절률을 계산하는 방법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래서 관련 논문들이 많고 장비도 고가겠지요. >안녕하십니까 > >전에도 비슷한 질문을 올린적이 있었는데 혹시나 하여 다시 올려봅니다. > >동일한 물질이고 형상이 동일할 때 그 물질의 크기와 관계없이 > >동일한 굴절률을 적용할 수 있는 건지요?? > >그리고 10마이크론 이하의 분체에 대하여 따로 굴절률을 > >측정할 수 있는 장비나 방법을 알고계시면 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굴절률의 정의를 생각해보면 답이 나올 듯 합니다. 굴절률은 매질에서의 광속과 진공에서의 광속 비율입니다. 빛이 지나갈때 입자를 통과하는 시간과 진공을 진행하는 시간을 합산할 때 분체 입자의 크기에 따라 진행시간이 달라지므로 분체 입자의 크기에 따라 굴절률이 당연히 달라지겠지요. 분체의 입자크기와 굴절률의 변화를 측정하는 실험장비는 아마도 꽤 많이 나와있을 것입니다. 또 관련 논문도 많으므로 관련 학회에서 검색해보면 나올 것입니다. 분체에 레이저를 쏘아 굴절률을 계산하는데... 분체에 빛이 지나갈 때 굴절(defraction)만 일어나는 것이 아니고 회절(diffraction)과 산란(scattering) 등이 동시에 일어나므로 레이저의 빛으로 굴절된 성분을 뽑아내어 굴절률을 계산하는 방법이 상당히 어렵습니다. 그래서 관련 논문들이 많고 장비도 고가겠지요. >안녕하십니까 > >전에도 비슷한 질문을 올린적이 있었는데 혹시나 하여 다시 올려봅니다. > >동일한 물질이고 형상이 동일할 때 그 물질의 크기와 관계없이 > >동일한 굴절률을 적용할 수 있는 건지요?? > >그리고 10마이크론 이하의 분체에 대하여 따로 굴절률을 > >측정할 수 있는 장비나 방법을 알고계시면 좀 알려주셨으면 합니다.
    안우영(wy711) 2009-07-25

    네~ 답변감사합니다. 논문쪽을 더 자세히 검토해보아야겠네요